• 제목/요약/키워드: perceived severity

검색결과 243건 처리시간 0.024초

종합병원 신규간호사의 태움, 건강증진생활양식, 신체증상이 직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Workplace Bullying, Health Promotion Lifestyle, and Physical Symptoms on Occupational Stress of New Nurses in General Hospitals)

  • 김경순;차지은;김영임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2-20
    • /
    • 2019
  • Purpose: This descriptive study aimed to explore the effects of bullying, health promotion lifestyles, and physical symptoms on the occupational stress of new nurses in general hospitals. Method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57 new nurses in fivegeneral hospitals with 100 to 399 beds in Gyeonggi-do. Data were collected from January to February, 2018,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and analyzed using the SPSS software version 20. Results: A total of 60.5% of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bullying, and 38.2% experienced bullying more than 10 times a month. The perceived severity of bullying was severe (32.4%) and the nurses' first bullying experience began within the first six months (47.7%). Their occupational stress was scored 3.1. The regression model for occupational stressors was significant (F=23.86, p<.001), and the total explanatory power was 46.8%. The variables affecting occupational stress were bullying awareness (${\beta}=-.30$, p<.001), preceptor satisfaction (${\beta}=-.30$, p<.001), and health promotion lifestyles (${\beta}=-.26$, p=.001). Conclusion: It is important to reduce the incidence of bullying in order to help new nurses with high occupational stress. Stress management programs are needed to improve relationships between new nurses and preceptors and to encourage their health promotion lifestyles.

고무풍선 중 니트로스아민류의 효과적 위해성 소통 전략에 관한 연구 (Effective Risk Communication Strategies for N-Nitrosamines in Rubber Balloons)

  • 김현경;이기영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228-235
    • /
    • 2023
  • Background: As the public interest in chemical substances found in daily life has increased, environmental health education content has been developed and related studies have been conducted. However, there is still insufficient research on methodologies for environmental health education.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xplore risk communication strategies by focusing on N-nitrosamines in rubber balloons. Methods: In this study, two different health messages were composed: a gain-framed message emphasizing the advantages of practicing the health behavior and a loss-framed message emphasizing the negative consequences of not practicing the health behavior. The effect of the message containing risk information was evaluated by measuring the health beliefs and health behavior potential for female caregivers. As the Environmental Health Act defines a child as "a person under the age of 13," a total of 131 women with children under the age of 13 were studied. Results: The age, awareness, and interest of the participants in the gain frame group and these in the loss frame group were similar. In terms of message framing effect, the gain-framed message was more effective in terms of health belief and potential health behavior than was the loss-framed message. As a result of an independent t-test, among the six variables of health belief model the message effec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the level of p<0.05 in three variables: perceived severity (t=2.287, df=129, p=0.024), self-efficacy (t=2.123, df=129, p=0.036), and health behavior potential (t=2.094, df=129, p=0.038). Conclusions: This study presented a direction for effective environmental health education by studying the effects of risk communication messages based on scientific evidence. It is necessary to extend the scope of environmental health education research by expanding research into various household products.

Exercise Using Isokinetic Strength Training Equipment and Physical Function Improvement

  • Hyon-Min Tae;Su-Yeong Eom;Byoung-Kwon Lee;Dae-Sung Park
    • Physical Therapy Rehabilitation Science
    • /
    • 제13권1호
    • /
    • pp.8-17
    • /
    • 2024
  • Objective: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isokinetic strength training and the enhancement of physical function in older adults. It also evaluates the effectiveness of isokinetic strength training equipment. Method: This study randomly divided twenty healthy adults into two groups.The experimental group engaged in isokinetic strength training for 30 minutes, three times a week, over a four-week period. In contrast, the control group did not participate in any exercise regimen. We assessed several outcome measures including physical functions (sit-to-stand test, flexibility, Timed Up and Go test), grip strength, balance, thigh circumference, the Korean version of the 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PHQ-9), and the Korean version of the Western Ontario and McMaster Universities Osteoarthritis Index (WOMAC). Additionally, the experimental group's self-perceived improvement in lower limb condition was evaluated using the Global Rating of Change (GROC) scale.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various aspects: reduced sit-to-stand test duration (7.00±2.05 seconds), increased flexibility (4.69±3.90 cm), improved grip strength (1.54±1.74 kg), increased thigh circumference (left: 1.29±1.19 cm, right: 1.19±1.27 cm), enhanced Timed Up and Go test performance (-1.47±0.86 seconds), better balance (eyes open stance: -8.08±4.03 cm, eyes closed stance: -0.27±0.13 cm/s), and a decrease in depression severity (-0.15±1.51 points). Furthermore, significant increases were observed in the experimental group's maximal isokinetic strength at 90°/s for both flexion (19.62±7.03 Nm) and extension (19.60±14.65 Nm) over the study period. Conclus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isokinetic strength training equipment can significantly enhance physical functions in seniors when incorporated into an exercise regimen.

전반적인 스트레스평가 척도 한국판의 타당도 및 신뢰도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Global Assessment of Recent Stress Scale)

  • 고경봉;박중규
    • 정신신체의학
    • /
    • 제8권2호
    • /
    • pp.201-211
    • /
    • 2000
  • 연구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스트레스인자지각 척도인 Global Assessment of Recent Stress(GARS) Scale의 한국판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평가하고자 하는데 있다. 방법 : 이 척도에 대한 요인분석은 스트레스인자 8문항에 대한 maximum-likelihood factor analysis후 사각회전(oblique rotation)을 시행하였다. 이 자료들을 요인분석한 결과 1개의 하위요인만이 추출되었다. 상기 척도의 신뢰도는 정상인 69명에게 2주 간격으로 검사-재검사를 시행, 분석한 결과 두 기간간의 8개 스트레스인자 점수의 상관계수가 .85~.95로 모두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 한편 내적 일치도는 전체적인 스트레스접수를 제외한 7개 문항의 내적 일치도를 산출한 결과 Cronbach's $\alpha$는 .86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공존타당도는 스트레스반응척도, perceived stress questionnaire(PSQ), symptom checklist-9G-R(SCL-9G-R)의 신체화, 불안, 우울, 적대감척도, 전체지표의 총점과 본 척도의 각 8개 문항의 점수 및 척도 전체접수간의 상관성을 각각 비교한 결과 모두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변별타당도는 환자군 242명(불안장애 71명, 우울장애 73명, 신체형장애 47명, 정신신체장애 51명)과 정상군 215명간에 스트레스인자척도 점수를 각각 비교함으로써 이루어졌다. 환자군은 정상군보다 질병 및 상해 영역과 전반적인 스트레스지각점수가 각각 유의하게 더 높았다. 불안장애군이 정상군보다 질병 및 상해 영역의 스트레스지각점수가 유의하게 더 높았고, 우울장애군은 정상군보다 전반적인 스트레스지각점수가 유의하게 더 높았다. 한편 우울장애군은 정신신체장애군보다 대인관계 영역의 스트레스지각점수와 전반적인 스트레스지각점수가 각각 유의하게 더 높았다. 결론 : 이상의 결과들은 전반적인 스트레스평가 척도가 신뢰도 및 타당도가 모두 유의한 수준으로 스트레스에 관련된 분야의 연구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도구임을 시사해 준다. 또한 우울장애군이 정신신체장애군에 비해 스트레스인자에 대한 지각이 더 높음을 시사해 준다.

  • PDF

일부 치위생과 학생의 임상실습 시 경험하는 피로수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elf Perceived Fatigue of Dental Hygiene Students in Clinical Practice)

  • 한세영;한양금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325-331
    • /
    • 2014
  • 본 연구는 임상실습을 경험한 치위생과 재학생 262명을 대상으로 피로수준을 파악하여 임상실습을 효과적으로 수 행할 수 있도록 하고자 2013년 1월부터 9월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 분석하였다.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조사대상자의 피로수준의 하위영역별 평균점수는 전반적 피로도가 $41.74{\pm}9.06$점, 일상생활기능장애가 $28.34{\pm}7.03$점, 상황적 피로도가 $22.45{\pm}7.21$점으로 나타났다. 2. 피로수준은 주관적 건강상태가 건강하지 못하다는 군에서(p=0.000), 전공만족도가 불만족군에서(p=0.000), 임상실습만족도가 불만족군에서(p=0.000) 임상실습기간은 5주 이상 군에서(p=0.000), 1일 평균 환자수는 100명 이상인 군에서(p=0.000), 직원갈등은 갈등이 있는 군에서(p=0.000), 규칙적 운동여부는 규칙적인 운동을 하지 않는 비운동군에서(p=0.016) 유의하게 높았다. 3.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피로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주관적인 건강상태, 임상실습만족도, 임상실습기간, 1일 평균 환자수, 직원갈등이 유의한 변수로 선정되었으며 이들 변수에 대한 설명력은 44.5%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치위생과 학생들의 피로수준을 감소시켜 임상실습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임상실습교육자들이 공동체 의식을 가지고 임상실습 시 피로 개선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실천과 같은 노력이 시급할 것으로 본다. 또한 피로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변수를 확인하는 추후 심층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지역사회 보건사업에서 발견된 고혈압환자의 치료실태와 관련요인 (Treatment Status and Its Related Factors of the Hypertensives Detect ed Through Community Health Promotion Program)

  • 감신;김인기;천병렬;이상원;이경은;안순기;진대구;이경수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6권2호
    • /
    • pp.133-146
    • /
    • 2001
  • 본 연구는 경상북도 도농 복합형 1개 시의 건강증진사업 일환으로 1998년 12월에서 1999년 4월 초 사이에 농촌지역 주민 6,977명을 대상으로 실시된 고혈압사업을 통해, 새로이 발견된 고혈압 환자 282명을 대상으로 추적하여 1개월간의 치료 실태와 고혈압 환자로 판명되기 이전에 가지고 있던 고혈압에 대한 건강신념과 고혈압 환자로 판명된 후의 치료순응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고혈압으로 진단받고 1개월간 지속적으로 치료한 사람은 11.7%였으며, 간헐적 치료군은 11.4%로 치료경험군은 23.1%였다. 연령이 증가할수록 치료경험률이 높았으며, 학력이 낮을수록 치료경험률이 높았다(p<0.01). 미치료군의 미치료 이유는 아픈데가 없어 치료할 필요를 느끼지 못했다가 45.6%로 가장 높았고, 혈압이 크게 높지 않아 치료할 필요가 없었다가 43.2%였다. 연령이 증가할수록 아픈데가 없어 치료할 필요를 느끼지 못했다라는 응답의 비율이 높았다(p<0.01). 치료경험군의 주 치료기관은 보건기관(보건소, 보건지소)이 57.9%로 가장 높았고, 병의원이 29.8%, 약국과 한의원 등의 기타 기관이 12.3%였다. 환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주 치료기관의 차이는 없었다. 고혈압이라는 질환이 심각하다고 느끼는 사람의 치료경험률이 27.7%로 그렇지 않은 사람의 20.4%에 비해 높았지만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다. 치료의 부작용이 없을 것이라고 생각할수록, 치료 비용이 적게 들것이라고 생각할수록 치료경험률이 높았으나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다. 고혈압으로 진단 받기 이전에 두통과 같은 고혈압 증상을 경험한 사람일수록 고혈압 치료를 경험하는 비율이 높았다(p<0.05). 주위에 고혈압으로 인해 중풍 등의 합병증을 앓고 있는 사람이 있는 경우 지속적 치료율이 14.3%, 간헐적 치료율이 20.6%인 반면, 없는 경우는 지속적 치료율 11.4%, 간헐적 치료율 8.7%로 차이가 있었으며 (p<0.05), 고혈압에 대해 지난 1년간 보건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경우 지속적 치료율이 17.0%, 간헐적 치료율이 20.8%로 고혈압에 대해 보건교육을 받은 경험이 없는 경우의 지속적 치료율 10.6%, 간헐적 치료율 7.8%에 비해 고혈압 치료경험률이 유의하게 높았다(p<0.01). 지속적 치료와 간헐적 치료를 합하여 치료경험으로 한 후 치료경험유무를 종속변수로 한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치료경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보건교육 경험유무와 주위에 고혈압으로 인해 중풍 등의 합병증을 앓고 있는 사람 유무로 보건교육경험이 있는 경우, 주위에 고혈압으로 인해 중풍 등의 합병증을 앓고 있는 사람이 있는 경우 치료경험률이 유의하게 높았다(p<0.05). 이상의 결과 고혈압 환자에게 본인이 고혈압 환자임을 주지시키고, 평소에 보건교육을 통해 고혈압에 대한 정확한 지식과 합병증에 대한 위험을 알리고, 고혈압 환자에 대한 지속적인 관찰과 관심이 중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대장암 검진 행동 촉진을 위한 메시지 전략 (Message Strategy to Promote Colorectal Cancer Screening Behavior)

  • 이지선;오의금;이향규;김상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2호
    • /
    • pp.357-367
    • /
    • 2017
  • 본 연구는 대장암 검진 정보 콘텐츠에 대한 효과적, 설득적 메시지 유형을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도된 비동등성 대조군 사후설계의 유사실험 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일개 산업장 근로자 176명이었으며, 메시지 프레이밍(이득, 손실 및 일반메시지)에 따라 분류된 대상자에게 차별적으로 중재프로그램을 시행하였고, 실험중재 후 대장암 검진 관련 건강신념 및 iFOBT(immunoassay Fecal Occult Blood Test) kit 수거률을 확인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1.0 program을 이용하여 $x^2$ test 및 one-way ANOVA 통계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대장암 검진 건강신념은 손실메시지군에서 지각된 민감성 및 심각성이 높았으며, 이득메시지군에서 지각된 유익성이 높았다. iFOBT 수거률은 손실메시지군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장암 검진을 주제로 하는 암정보 콘텐츠를 구성 하는데 유용한 이론적 근거가 될 것으로 기대되며, 메시지 유형에 따른 실질적 효과를 사전에 예상하고, 제시함으로써 실무적 도움 역시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성분 헌혈자가 혈소판 반출시 지각하는 불편감 (The Perceived Discomfort of Plateletpheresis Donors)

  • 김상돌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577-587
    • /
    • 1997
  • Purpose : To collect and interpret basic data involving the discomfort level of platelet donors and to see which nursing interventions would help make plateletpheresis more comfortable. Methods : Using "the Platelet Donor's Discomfort Scale" developed by the researcher herself and reviewed by an expert panel, the severity of discomfort as well as factors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this discomfort were analyzed. This scale contained 59 items and each item was scored by the 4-point Likert manner. Between March 1, 1996 and May 31, 1996, 500 platelet donors(16 years of age and older)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he Statistical methods used were factor analysis, t-test, and ANOV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mean of the platelet donor's discomfort scale was 130, range 69-207, possible score ranging from 59-236. 2. The platelet donor's discomfort scale had psychological, environmental, physical, and time-related factors. The time- related factor was the highes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development of the discomfort. 3. In looking at the psychological and environmental factors of the discomfort scores, the 16-20 age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ratings than those of the 26-30 age group. The students' group had higher scores than the soldier's group, and those who used the V-50, MCS -3P, or the PCS Plus machines had higher scores than those who used the COBE Spectra machine(P<.05, respectively), 4. In relation to the physical factor of the discomfort score, the youngest group felt significantly more discomfort, the student's group had a higher score than the soldier's group, and those who used the V-50, MCS-3P, or or the PCS Plus machines had higher scores than those who used the COBE Spectra machine(P<.05, respectively). 5. The time related factor of the discomfort score had the highest scores in every variable, however,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 found between any of the variables(P>.05). Conclusion : 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can be oserved that the time-related factor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discomfort. The age and job of the donor, as well as the type of machine used, were significant variables in predicting the level of discomfort, regardless of psychological, environmental, and physical factors. This data could be used to determine nursing interventions that would relieve some of the discomfort of patients, as well as donors, undergoing plateletpheresis. Furthermore, consideration of the donor's time, introduction of a platelet donor pool system, publicity and education about platelet donation are required.

  • PDF

도심지 대단면 복합지반 NATM 과 TBM 터널공법의 비교위험도 분석 (Comparative risk analysis of NATM and TBM for mixed-face large-diameter urban tunneling)

  • 김영근;문준식;심재범;이승복;최창림;천윤철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13권1호
    • /
    • pp.19-32
    • /
    • 2011
  • 터널 공사 중 많은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는 불확실한 지반상태 및 터널 공법에 따른 여러 리스크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전반적인 위험도 평가를 터널 설계 시 반드시 수행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도심지 및 하저터널 구간의 터널공법으로 NATM 또는 쉴드 TBM 적용시 공법별 발생할 수 있는 리스크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우선 연구대상 지역의 주요 리스크 항목을 선정한 후 공법적용시 발생 가능한 리스크와 그 영향을 검토하고, 각각의 리스크 발생가능성과 터널공사에 미치는 위험도에 따라 정량적으로 등급화 하였다. 이러한 리스크 분석을 통하여 주요 위험도 영향을 고려한 공사비 및 공기분석을 수행하고 터널공법별 비교위험도를 평가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복합지반으로 구성된 도심지 대단면 터널에 대해 리스크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안전하고 경제적인 터널공법을 선정하였다. 단, 본 연구는 국한된 지층 및 특별조건에서의 비교위험도를 평가한 결과임을 밝혀둔다.

노인 치매 환자의 통증 역치 및 통증 경험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Pain Threshold and Pain Experience in Elderly Patients with Dementia)

  • 방현철;박기창;김민혁;이영복;노현진
    • 정신신체의학
    • /
    • 제21권2호
    • /
    • pp.140-146
    • /
    • 2013
  • 연구목적 본 연구는 치매 군과 비치매 군의 통증 역치 및 통증 경험의 특성을 비교 하고자 한다. 방 법 2010년 강원 조기치매 검진사업의 일환으로 시행된 것으로, 연구 대상은 지역사회 거주중인 65세 이상 노인 8,302명이었다. 이 중, 한국판 간이정신상태검사(MMSE-KC) 점수가 저하 된 1259명을 선별했고, 이중 365명이 한국형 치매 진단평가 도구(CERAD-K)를 이용한 정밀검진을 받았다. 검사 결과 및 전문의의 판단 하에 정상, 경도인지장애, 치매 군으로 진단 후, 최종 비치매 군 90명, 치매 군 57명이(경도-중등도 알츠하이머형 치매) 분석되었다. 압통각계(Pressure algometer)를 이용하여 실험적으로 통증 역치를 측정했고, 자가보고식 검사인 Brief pain inventory(BPI)를 이용하여 통증 경험(통증 심도, 통증 방해도)을 조사했다. 집단 간 차이 분석은 Pearson Chi-Square와, 혼란변인(성별, 나이, 교육수준, GDS, 당뇨)을 보정한 ANCOVA검정을 시행했다. 결 과 인구학적 특성상 치매 환자 군에서 여성이 많고, 연령이 높고, 교육 연수가 낮았다. 통증 역치는 두 군에서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BPI결과에서 비치매 군이 어깨 통증, 전체 통증 개수, '통상적 일'의 통증으로 인한 방해를 의미 있게 더 많이 호소했다(p<0.05). 그러나 두 군에서 통증 유병률 및 치료는 차이가 없었다. 결 론 치매 군은 비치매 군보다 통증을 더 적게 경험했다. 이는 치매 환자의 통증 역치는 보존되었으나, 내성이 증가한다는 선행 연구를 뒷받침 하는 증거로 여겨진다. 따라서, 치매 환자를 위한 적극적인 통증 사정 및 치료를 제안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