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ceived ease of use

검색결과 718건 처리시간 0.041초

IPTV 도입에 따른 국내 양방향 방송 매체간 경쟁 관계 비교 : 적소 이론의 적용 (Competitive Analysis Among Interactive Broadcasting Media in Korea Affected by the Introduction of IPTV : Adopting the Niche Theory)

  • 한은정;서보밀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219-244
    • /
    • 2010
  • IPTV의 시장 진출 이후 양방향 방송 특성을 중심으로 한정된 미디어 수용자의 매체 선택을 둘러싼 유료 방송 시장의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IPTV 도입 이후 변화된 유료 방송 시장의 경쟁 구조를 양방향 방송 매체간 경쟁 관계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적소 이론에 의한 경쟁 관계 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IPTV와 기존 유료 방송 매체인 케이블방송, 위성방송간의 경쟁 관계를 양방향 방송의 충족 기회 특성에 따라 분석하였다. 양방향 방송에 대한 수용자의 기대 가치 차원은 사용 용이성, 상호작용성, 선택의 다양성, 경제성의 4가지로 제시하였으며, 적소 이론에 의해 수용자의 각 매체 별 활용 정도, 매체간 유사성 정도, 매체간 경쟁 우위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이들 분석 결과에 의해 IPTV와 타 방송 매체와의 경쟁 구도를 살펴보고, IPTV가 유료 방송 시장에서 경쟁 우위를 확보하기 위한 성공 전략을 제시하였다.

카드뉴스 이용자의 정보추구성향과 뉴스 리터러시가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기술수용모델(TAM) 모델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information seeking style and news literacy of card news users on recommendation intention: Focused on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 최명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141-148
    • /
    • 2019
  • 이 연구에서는 기술수용모델(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을 적용하여 카드뉴스 이용자의 정보추구성향과 뉴스 리터러시가 지각된 용이성과 지각된 유용성에 미치는 영향, 지각된 용이성과 지각된 유용성이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카드 뉴스 이용 경험이 있는 대학생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통계분석은 구조방정식모델(SEM)을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정보추구성향은 지각된 용이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뉴스 리터러시는 지각된 용이성과 지각된 유용성 모두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각된 용이성은 지각된 유용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각된 용이성과 지각된 유용성 모두는 추천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공지능 기반 음성비서 서비스의 지속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인공지능에 대한 신뢰와 프라이버시 염려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Effects on the continuous use intention of AI-based voice assistant services: Focusing on the interaction between trust in AI and privacy concerns)

  • 장창기;허덕원;성욱준
    • 정보화정책
    • /
    • 제30권2호
    • /
    • pp.22-45
    • /
    • 2023
  • AI 기반 음성비서 서비스 이용에 관한 연구에서는 서비스 이용 경험으로 인한 이용자의 신뢰 및 프라이버시 보호와 관련된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AI에 대한 개인의 신뢰와 온라인 프라이버시 염려가 AI 기반 음성비서의 지속적인 사용에 미치는 영향, 특히 상호 작용의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설문문항을 구성하고 응답자 405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인공지능에 대한 사용자의 신뢰와 개인정보보호 관심이 인공지능 기반 음성비서 서비스 도입 및 지속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Heckman 선택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로 첫째, 인공지능 기반 음성비서 서비스 이용행태는 기술수용 촉진요인인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이용편의성, 사회적 영향에 의해 긍정적인 영향을 받았다. 둘째, 인공지능에 대한 신뢰는 인공지능 기반 음성비서 서비스 이용행태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지속 이용의도에는 정(+)의 영향을 미쳤다. 셋째, 프라이버시 염려 수준은 AI에 대한 신뢰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지속적인 이용의도를 억제하는 효과(β=-0.153)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디지털 정부를 구현하기 위한 거버넌스로서 기술에 대한 신뢰를 높이고 프라이버시에 대한 사용자의 우려를 완화할 수 있는 이용자 의견수렴과 조치를 통한 이용자 경험을 강화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수단으로서 인공지능 기반의 정책서비스를 도입할 때, 인공지능 기술의 적용 범위를 공론화 과정을 통해 투명하게 공개하고, 프라이버시 문제가 사후적으로 추적 및 평가될 수 있는 제도의 마련과 프라이버시의 보호를 고려한 알고리즘의 개발이 필요하다.

사용자 리뷰를 통한 소셜커머스와 오픈마켓의 이용경험 비교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Social Commerce and Open Market Using User Reviews in Korean Mobile Commerce)

  • 채승훈;임재익;강주영
    • 지능정보연구
    • /
    • 제21권4호
    • /
    • pp.53-77
    • /
    • 2015
  • 국내 모바일 커머스 시장은 현재 소셜커머스가 이용자 수 측면에서 오픈마켓을 압도하고 있는 상황이다. 산업계에서는 모바일 시장에서 소셜커머스의 성장에 대해 빠른 모바일 시장진입, 큐레이션 모델 등을 주요 성공요인으로 제시하고 있지만, 이에 대한 학계의 실증적인 연구 및 분석은 아직 미미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 리뷰를 바탕으로 모바일 소셜커머스와 오픈마켓의 사용자 이용경험을 비교 분석하는 탐험적인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본 연구는 구글 플레이에 등록된 국내 소셜커머스 주요 3개 업체와 오픈마켓 주요 3개 업체의 모바일 앱 리뷰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는 LDA 토픽모델링을 통해 1만여건에 달하는 모바일 소셜커머스와 오픈마켓 사용자 리뷰를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편리성 토픽으로 분류한 뒤 감정분석과 동시출현단어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국내 모바일 커머스 상에서 오픈마켓 이용자들에 비해 소셜커머스 이용자들이 서비스와 이용편리성 측면에서 더 긍정적인 경험을 하고 있음을 증명하였다. 소셜커머스는 '배송', '쿠폰', '할인'을 중심으로 서비스 측면에서 이용자들에게 긍정적인 이용경험을 이끌어내고 있는 반면, 오픈마켓의 경우 '로그인 안됨', '상세보기 불편', '멈춤'과 같은 기술적 문제 및 불편으로 인한 이용자 불만이 높았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사용자 리뷰를 통해 서비스 이용경험을 효과적으로 비교 분석할 수 있는 탐험적인 실증연구법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LDA 토픽모델링과 기술수용모형을 통해 사용자 리뷰를 서비스와 기술 토픽으로 분류하여 효과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소셜커머스와 오픈마켓의 경쟁 및 벤치마킹 전략에 중요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월경곤란시 여자중학생이 지각하는 스트레스 및 그 대응에 관한 소고 (A Review on Stress and Coping Level at Dysmenorrhea Perceived by Middle School Girls in Seoul)

  • 정문희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45-51
    • /
    • 199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ress and coping level as a result of dysmenorrhea which was experienced by girls. For the collection of data, the girls from the 1st to the 3rd grade in middle school in Seoul were selected through a random sampling technique.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the 1st. to the 14th of June, 1991 by the use of questionnaires made after a pilot study. The final subjects for analysis were restricted to only those who had experienced me~arche, the number of which totaled 1,131. The stress, coping level, and other variables, were tested and analysed by descriptive statistics (eg,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The obtained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chronological start for menarche was at a mean age of 13.1 The respondents who had experienced menarche numbered $70.9\%$ of the 1st grades and $96.2\%$ of the 2nd grades in middle school, otherwise the starting age for menarche was in the 4th grade in primary school. 2. Their menstrual cycle and period were longer than adult's one. The number of students studied who had experienced dysmenorrhea during their menstrual cycle were 860, and 650 of those revealed that their mothers or sisters had experienced similar problems. 3. The subjects who were late or head left early rather than being absent from school every menstruation cycle were more stressful. The results are thought to show that the girl's perception of dysmenorrhea seems to be more sensitive than adult's one. 4,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perception of menstrual flow and strees level. It means that an increase in the stress of dysmenorrhea was associated with decreased menstrual bleeding. The degree of hypochondrical concern assessed by the girls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to stress and coping level. When the girls perceived high stress as a result of dysmenorrhea, they worried about their physical health more. The above results lead us to the suggestion that the starting point of early education with a school program is appropriate for the 4th grade in primary school. Especially if the girls in middle school should be required to give the information about correct knowledge and sufficient self -care management of menstruation monthly, if this could be implemented the loss in school days among the students due to dysmenorrhea would be minimized with more ease.

  • PDF

국가기록원 기록정보서비스에 대한 이용자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Users' Perception of Reference Services in National Archives of Korea)

  • 김지현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67-187
    • /
    • 2012
  • 본 연구는 국가기록원의 분원인 서울기록정보센터의 방문이용자들을 대상으로 기록정보서비스에 대한 그들의 인식과 경험을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북미에서 수행된 아카이브 매트릭스 프로젝트(Archival Metrics Project)의 이용자 설문지를 수정 보완하여 설문 도구로 활용하였으며, 이용자와 직원에 대한 면담도 실시하였다. 47명의 설문 데이터와 이용자 1명 및 직원 2명에 대한 면담데이터 분석 결과, 이용자의 방문목적이 조상의 토지소유 확인을 위한 증거자료 수집에 집중되어 있으며 이용되는 기록의 유형도 토지 임야관련 자료에 편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직원에 대한 이용자의 인식은 긍정적인 편이었으며 직원이 기꺼이 도움을 제공하고 친절하다는 의견을 나타냈다. 그러나 기록의 소장여부 에 있어 직원이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한다는 의견이 있었고 직원 역시 기록 부존재에 대한 사실 확인이 어렵다는 것을 문제점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나라기록포털의 유용성과 이용의 용이성에 대한 이용자 평가는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용자들은 나라기록포털에서의 검색이 매우 불편하다는 의견을 보였다. 이용자들은 국가기록원 서비스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만족한다고 응답하였으나 몇몇 이용자들은 보다 신속한 업무 처리와 비공개자료의 기준을 명확히 할 것을 제안하였다.

스마트 전시환경에서 부스 추천시스템의 사용자 의도에 관한 조사연구 (Analyzing the User Intention of Booth Recommender System in Smart Exhibition Environment)

  • 최재호;상균영;문현실;최일영;김재경
    • 지능정보연구
    • /
    • 제18권3호
    • /
    • pp.153-169
    • /
    • 2012
  • 전시회는 새로운 상품이나 서비스를 현재 고객들과 미래의 잠재고객들에게 홍보하기 위해 개최하는 효과적인 마케팅 수단으로 중요하다. 기업들은 전시회에 참여를 통해 현재 고객 및 잠재고객들과 대면접촉을 함으로써 기업의 이미지 제고 및 새로운 판로를 확보할 수 있다. 이처럼 전시회의 경제적 중요성이 커짐에 따라, 전시주최자들은 참여기업 및 참관객을 유치하기 위하여 새로운 IT 기술을 전시회에 적용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연구자들 또한 참관객의 관람패턴을 분석하기 위하여 다양한 연구를 시도하고 있다. 최근에는 스마트 기술이 발전함으로써 전시 공간 내에서 참관객의 활동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어 온라인 전시환경처럼 오프라인 전시회를 방문한 참관객의니즈를 실시간으로 추론하여 참관객의 선호에 적합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부스 추천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새로운 기술 개발 측면에서 시스템의 성능을 개선하려는 연구는 지속적으로 진행되어 왔으나 향후 시스템의 개발 방향 및 보급 활성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들이 부족한 실정이다. 부스 추천시스템은 스마트 전시환경에서 새로 도입되는 기술로 부스 추천시스템에 대한 참관객의 수용 후 재사용 의도는 TAM 관점보다는 부스 추천시스템이 참관객의 선호에 적합한 추천정보를 제공하는가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문헌 고찰을 통해 전시환경에서의 부스 추천시스템에 대한 참관객의 만족 및 재사용 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도출하여 연구모형을 설계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 스마트 전시환경에서 부스 추천시스템의 개발과 보급 전략에 있어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11년 11월 DMC 컬처 오픈 행사에서 부스 추천시스템을 사용한 참관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회귀분석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참관객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부스 추천시스템의 효과성, 편의성, 추천품질, 의외성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스 추천시스템에 대한 참관객의 만족은 재사용 의도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가 가지는 의의는 다음과 같다. 먼저,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스마트 전시환경에서 부스 추천시스템에 대한 참관객의 지속적인 서비스 이용을 유도하기 위한 전략을 수립할 때 고려해야 할 주요한 요인을 실증연구를 통해 구체화시켰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스마트 전시환경에서 부스 추천시스템이 성공적으로 도입 및 활용되기 위해서는 참관객의 수용 전후 차별화된 관리가 필요함을 본 연구결과를 통해 제시하였다.

공공부문 사물인터넷의 지각된 사회적 유용성 및 지속사용의도 향상을 위한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Perceived Social Usefulness and Continuous Use Intention of the Internet of things in the Public Sector)

  • 윤승정;김민용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6권1호
    • /
    • pp.115-141
    • /
    • 2017
  • 본 연구는 최근 지속적으로 주목 받고 있는 사물인터넷 중 공공 부문에 대한 핵심적인 기술수용요인을 찾고자 한다. 기존연구에서는 사물인터넷은 디지털 시스템을 작동하기 위해 인간의 개입이 거의 관여하지 않는 반면 사람에게 전달하는 많은 산출물(정보)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전통적으로 사용해 온 디지털 시스템과 매우 다르다고 정의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전통적인 디지털 시스템은 사람이 주체이지만, 사물인터넷은 디지털 시스템을 작동하기 위하여 인간이 객체가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사물과 사물간의 네트워크만을 가지고도 디지털 시스템을 작동하게 할 수 있다는 것을 말한다. 결국 이러한 장점들이 그 기능을 발휘하여 공공부문에서 사물인터넷을 통하여 사회적 비용을 상당히 줄이는 성과도 최근 보고된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많은 사물인터넷의 강점에도 불구하고 사물인터넷에 대한 사용자의 기술수용요인을 구체적으로 밝힌 연구는 거의 없다. 이는 사물인터넷의 개발 시에 목적성에만 부합하면 된다는 개념을 말하고 있다. 만약 이러한 목적 부합적인 개발에만 집중하게 되면, 사용자가 어떤 기술을 사용하고 있는지 구체적인 이유에 대하여 간과하게 되어 향후 사용자들은 지속적 사용을 거부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1986년부터 2003년까지 기술수용모델에 대한 도입, 확인, 확장, 정교화의 4단계 과정을 거친 검증모형을 활용하여 공공부문에 사물인터넷 개발 시에 반드시 반영해야 할 요인들을 사용자들로부터 찾고자 한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공공사물인터넷의 결과에 대한 설명력이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유일하게 지각된 사회적 유용성과 사용용이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사용자에게 사용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확보한 경우 지속사용의도를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을 정리하면, 공공사물인터넷 서비스가 제공될 때는 결과에 대하여 사용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으며, 사람과 사물이 그리고 사람 간에 그 결과에 대하여 상호소통이 가능해야 함을 의미한다. 이는 현재 제공 되고 있는 공공 사물인터넷에 결과에 대한 이해를 위해 사용자 노력이 많이 필요하다는 것을 말한다.

  • PDF

5G 서비스의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Usage Intentions of 5G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 정만수;홍대식;지용구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35-176
    • /
    • 2020
  • 본 연구는 5G 서비스 초기 시장에서 통합적으로 확장된 기술수용모형을 기반으로 가입자 집단과 미가입자 집단의 5G 서비스의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도출하고 비교 분석을 하였다. 선행 연구를 고찰하고 영향 요인의 명확한 규명을 위하여, 5G 서비스의 기술적 요인과 사회적 요인, 개인적 요인들로 구성되는 외생변수들과 매개변수들 및 종속변수 간의 영향 관계를 분석해 가설을 설정하고 변수들의 측정 항목을 정의하여, 5G 서비스의 이용의도에 관한 연구 모형을 설계하였다. 5G 서비스 가입자 집단과 미가입자 집단 별로, 각 245명을 대상으로 측정 항목에 대한 설문을 조사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결과, 두 집단에 공통으로, 지각된 용이성이 지각된 유용성과 유희성에, 지각된 유용성과 유희성 및 개인 혁신성이 지속적 이용의도 및 수용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이용비용은 지각된 유용성에 부의 영향을 미쳤다. 가입자 집단에서는 네트워크 품질과 광고가 지각된 유용성과 유희성에, 스마트폰 품질과 사회적 영향력이 지각된 용이성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특히 개인 혁신성이 지각된 유용성에 부의 영향을 미쳤다. 미가입자 집단에서는 네트워크 품질과 광고가 지각된 용이성에, 스마트폰 품질은 지각된 유용성과 유희성에, 자아 효능감은 지각된 용이성과 유용성 및 유희성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개인 혁신성은 지각된 유희성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이 파악되었다. 두 집단에 공통으로 지각된 유희성, 개인 혁신성, 지각된 유용성의 순으로 이용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5G 초기 과도기적인 서비스에서 네트워크 품질과 스마트폰 품질의 신념변수에 미치는 영향은 집단 간 상반되는 결과를 보였으며, 서비스 품질은 사회적 요인 및 개인적 요인의 신념변수에 대한 영향에 관여를 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서비스스케이프에 대한 고객수용이 공동창조 및 공유가치와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 구조: 테마파크서비스를 중심으로 (The Impact Structure on Co-Creation, Shared Value and Customer Satisfaction of Customer Acceptance for Servicescape: Focusing on Theme Park Service)

  • 안연식
    • 서비스연구
    • /
    • 제10권1호
    • /
    • pp.97-107
    • /
    • 2020
  • 본 연구는 서비스에서 서비스스케이프에 대한 고객수용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테마파크를 중심으로 실증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서비스스케이프에 대해 고객이 인지하는 유용성 및 이용상의 편리함의 정도는 서비스에 대한 공동창조 활동과 공유 가치의 창출 과정을 거쳐서 궁극적으로는 고객만족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러한 구조적 영향 관계를 실증하기 위해서 서비스 경영을 수강하는 대학 학부 및 대학원 학생 총 247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통해 분석한 결과, 서비스스케이프에 대한 고객의 수용이, 서비스의 공동창조 활동에 영향을 미치며 공유 가치를 창출하여 비로소 만족도 제고에 기여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를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서비스스케이프에서 테마파크 직원들의 복장이나 및 상징물 등 유용성을 고려해야 하며, 시설 자체의 편의성 등이 중요하므로 서비스스케이프에 대한 지속적 관리 및 투자가 필요하다. 그리고 현장에 실시간적 정보의 표출 등으로 고객이 서비스 활용함에 불편이 없어야 하고 공유가치 창출을 통해서 고객만족도를 높일 수 있음을 밝혀주고 있다. 본 연구는 대규모의 현장이 존재하고 다수 고객의 분포가 실시간적으로 변화하는 특성을 갖는 테마파크를 중심으로 실증되었기 때문에 다른 서비스에 적용하는데 제약이 있으며, 다양한 분야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많은 전문역량이 투입되고 재해석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