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er acceptance

검색결과 96건 처리시간 0.025초

Relationship of Parenting Style and Perceived Value of Characterized Children's Fashion Products

  • Kang, Keangyoung;Kim, K.P. Johnson;Kim, Hyeyoung
    • 패션비즈니스
    • /
    • 제17권3호
    • /
    • pp.15-29
    • /
    • 2013
  • In the children's market, characters are applied to products to stimulate children to buy a product directly or to implore their parents to buy it for them. To sell characterized products, marketers consider both parents and children. This research was designed to identify which parenting style factors affect the evaluation of characterized children's fashion products and to test how parenting style affects the evaluation of value importance of characterized children's fashion products. The parenting style factors studied were first categorized as communication, children's social acceptance, educational involvement, and media exposure. Responses from 259 parents residing in Woodbury, MN, and Ellicott City, MD, were used for data analysis. A factor analysis and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Parents with high "Susceptibility to child peer pressure" attached importance to "Social Value" when buying characterized products. On the other hand, parents who were highly involved in their child's life and frequently intervened in their "Child's TV-viewing" attached importance to educational value. Educational value was a unique contributor to the evaluation of characterized products as compared to other fashion products. Marketers can therefore leverage both the social and educational value of characterized products.

농촌지역 다문화가정 아동과 부모의 문화적응이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cculturation of Children and Par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on the Self-Esteem of Children in Rural Areas)

  • 정정화;이강이
    • 아동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47-64
    • /
    • 2014
  •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examining the acculturation process of children and par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hich can affect the self-esteem of the children concerned. The participants from each family consisted of the fathers, mothers, and school-age children of 179 households.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 the following: (1) First, the multicultural children scored higher than the average in self-esteem in most areas except school life. Furthermore, the children and parents had a comparatively positive attitude toward acculturation (2) Second, the children's level of self-esteem had significant correlations only with the acculturation of mothers as opposed to fathers. (3) Third, the impacts of acculturation of the children and their parents on the children's self-esteem followed different patterns according to the sub-areas of self-esteem. Specifically, the self-esteem for overall self-value and family relations rose when the multicultural acceptance attitude of mothers was high. However, area of peer relations was affected only by the acculturation of children. The area concerning school life was high when the mother-culture propagation attitude of mothers was low.

Performance Based Seismic Design - State of Practice 2012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 Klemencic, Ron;Fry, J. Andrew;Hooper, John;Baxter, Robert;Morgen, Brian;Solberg, Kevin;Zaleski, Krzysztof
    • 국제초고층학회논문집
    • /
    • 제1권3호
    • /
    • pp.149-154
    • /
    • 2012
  • This paper presents a summary of the state of the practice for Performance Based Seismic Design (PBSD) in the United States. While it is not included in the prescriptive provisions of the United States' building codes, the PBSD procedure has been successfully implemented for two decades. The recent publication of the Guidelines for Performance-Based Seismic Design of Tall Buildings by the Pacific Earthquake Engineering Research Center (PEER) illustrates the fact that the engineering community has embraced this procedure and provides a thoughtful set of recommendations to building designers who intend to implement PBSD. The key parameters currently required for a PBSD also are outlined, such as seismic hazard definition, modeling procedures, and acceptance criteria. These Guidelines will serve as the basis for many PBSD projects in the coming years and as such are a common reference used throughout this paper. Finally, a brief summation of recent PBSD projects in the United States is presented.

간호대학생의 카데바 실습에 관한 통합적 고찰 (An integrative review on cadaver practice among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 안경주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25권1호
    • /
    • pp.8-19
    • /
    • 202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nursing students related to their cadaver practice through an integrative review. Methods: An integrative review was conducted using Whittemore and Knafl's framework published in 2005. The key words, "nursing students & cadaver" and "nursing students & anatomy" were used to search peer-reviewed publications in six databases. Among 373 searched articles, 15 articles were selected after excluding articles that did not meet the inclusion criteria. The literature quality was moderate (levels C and B). Results: The results from the 15 selected studies were integrated and classified into seven themes: "anxiety and discomfort," "gratitude and respect for donors," "dignity of the human body and life," "acceptance of death," "getting closer to the nursing profession," "enhanced understanding and memory of the human body" and "enhancement of learning motivation." Conclusion: In conclusion, cadaver practice provided an opportunity to form values about the dignity of life and death, helped nursing students understand the human body, and motivated them to approach the profession of nursing. It is suggested to develop integrated cadaver practice programs that incorporate bioethics, spiritual nursing, and the vocation of the nursing profession.

다문화통합어린이집 내 이주배경아동-한국가정아동 간 또래상호작용 증진을 위한 음악극 프로그램 개발 (A Musical Play Program for Promoting Interaction Between Immigrant and Korean Preschoolers)

  • 김찬미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9권1호
    • /
    • pp.21-41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통합어린이집을 이용하는 미취학 이주배경아동을 대상으로 이주배경 아동-한국가정아동 간 또래상호작용 증진을 위한 다문화 수용성 기반 음악극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가능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1단계에서는 선행연구 고찰, 2단계는 프로그램 개발, 3단계에서는 프로그램에 대한 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4단계에서는 문화적 차이에 대한 수용, 개방된 상호작용 단계, 적극적인 관용적 태도를 중요한 중재 요인으로 도출하여 음악극 프로그램을 구성하였고, 이를 다문화통합어린이집의 이주배경아동과 한국가정아동을 대상(평균 연령 6.9세)으로 30분씩 주 2회, 총 6회 시행하였다. 5단계에서는 실제 적용가능성 평가를 위해 유아교사 2인과 음악치료사 1인에게 검증을 받아 프로그램의 적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대상자들 간 또래상호작용과 다문화수용이 모두 증가하였고, 유아교사들은 프로그램의 현장 적용가능성을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이주배경아동과 한국가정아동의 다문화 수용성 하위영역 점수 변화를 분석한 결과 이주배경아동과 한국가정아동은 관계성에서의 유의한 향상을 보인 반면, 전체 점수 차이는 한국가정아동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음악극을 적용한 프로그램이 다문화통합어린이집을 이용하는 이주배경아동 및 한국가정아동의 다문화 수용성과 또래상호작용을 증진시키는 데 적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지각된 유용성과 사용용이성이 기업 이러닝 교육의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자기효능감과 업무환경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Learning Transfer on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in Enterprise e-Learning - Focused on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and Work Environment -)

  • 박대범;구자원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7권3호
    • /
    • pp.1-25
    • /
    • 2018
  • 본 연구는 이러닝 학습 경험이 있는 국내외 기업 종업원 390명을 대상으로 지각된 유용성, 사용용이성, 자기효능감 및 업무환경이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였다. 또한 각 요인의 학습전이에 대한 직접효과와 더불어 자기효능감과 업무환경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이러닝 학습자의 지각된 유용성과 사용용이성은 자기효능감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보였으며, 상사 및 동료 지원과 조직 분위기에도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자기효능감은 학습전이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보였으며, 상사 및 동료 지원과 조직 분위기도 학습전이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각된 유용성 또한 학습전이에 유의미한 영향을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하지만 지각된 사용용이성은 학습전이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매개효과 분석결과 자기효능감과 업무환경은 각각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사용용이성과 학습전이에 대해 모두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시사점은 첫째, 기업교육에서 보편화된 이러닝에 대해 기술수용 단계를 벗어나 수용 후 실질적인 학습전이 효과에 대한 영향요인을 반영한 새로운 연구 모형을 제시하였다. 기술수용모델에서 외부 특성요인에 대한 매개변수로 사용되는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사용 용이성을 독립변수로, 외부 특성요인으로 연구되었던 자기효능감과 조직 환경을 매개변수로 사용한 연구모형을 도출하였다. 둘째, 기술수용과 학습전이에 관한 연구는 단일국가를 대상으로 한 연구들이 대부분이다. 26개 국가의 표본을 대상으로 다양한 샘플을 사용하여 연구 모형을 검증함으로써 신뢰성을 높였다. 셋째, 기존의 연구에서 지각된 유용성과, 사용용이성을 수용의향 및 학습전이의 주요 결정요인으로 고려하였다. 본 연구는 수용된 정보기술에 대해 학습자 및 환경 요인의 매개효과를 탐색하여 지각된 유용성, 사용용이성의 학습전이에 대한 경로를 강화하고 보완하였다. 본 연구에서 활용된 다양한 국가의 표본 분석을 기반으로 향후 국제비교연구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소비자의 블록체인 기반 저작권 유통 플랫폼 수용의도와 이용행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User's Acceptance of Blockchain-based Copyright Distribution Platforms and Its Usage)

  • 유영환;박현숙
    • 산경연구논집
    • /
    • 제10권3호
    • /
    • pp.59-72
    • /
    • 2019
  • Purpose - Blockchain technology, which has the characteristics of credibility, security, integrity and decentralization, has brought innovation to internet platforms that mediate peer to peer transactions, as well as changes to the contents distribution services. Blockchain-based copyright distribution platforms can solve problems which have been articulated on prior internet social networks: increased market dominance of platform business because of centralization with no reward to creators who upload on platforms, and lack of fairness, such as unfair profit distribution between the copyright holder and businesses. With this background, the current research confirmed the factors that affect the intention of usage and behaviors, targeting potential users of blockchain-based copyright distribution platform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Centered around the UTAUT2 Model, the research model was designed with 'Perceived Security' added as Construct, and 'Age' and 'Knowledge Level' added as moderating variables. For data, 607 responses were collected by an online survey, and 601 responses were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We analyzed the research model and sample by using SPSS 23.0 and AMOS 23.0 on the collected responses. Results - First, results of research on whether Constructs make positive effects on Intention of use is: social influence, facilitating conditions, habit, and perceived security had positive effects on intention of use, and performance expectancy, effort expectancy, hedonic motivation, and economic value did not. Second, results of the research on whether facilitating condition, habit, and intention of use made an impact on using behaviors, it was shown that only habit and intention of use made positive effects. Third, in two groups divided by age above or under 40, group effort expectancy, intention of use, habit, and intention of use had controlling effects, and facilitating condition, intention of use, perceived security, and intention of use had effects in both groups. Conclusions - The research shows that no matter how great a blockchain-based platform is, if advantages of blockchain are not proved in various industries and utilized in real life like the internet, blockchain-based distribution systems will develop slowly. Rather than a short-term inducement emphasizing technology, there is a need for a strategic approach that can foster the environment.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력에 관한 연구 -IT기반 사회의 가정생활건강성과 학교생활만족도를 중심으로- (A Study of Influence on Adolescent Psychological Well-Being - Focusing on Strengths of Family Life and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in the IT-based Society)

  • 곽미정;김영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3호
    • /
    • pp.49-57
    • /
    • 2013
  • 본 연구는 IT기반 사회에서 청소년들의 가정생활건강성과 학교생활만족도가 고등학생들의 심리적 안녕감에 대한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청소년환경의 주된 생활공간인 가정과 학교의 관련요인이 청소년들의 심리적 안녕감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부산의 K인문계 고등학교 251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다중회귀분석을 적용하였다. 첫째, 청소년들의 가정에서의 시간공유는 청소년들의 긍정적 대인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정의 유대감은 청소년들의 긍정적 대인관계, 삶의 목적 및 개인적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가정 내에서의 의사소통의 만족은 환경에 대한 통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들의 학교생활만족은 심리적 안녕감의 자아수용과 환경에 대한 통제 및 삶의 목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교우관계는 심리적 안녕감의 긍정적인 대인관계와 자율성 측면에, 수업일반은 심리적 안녕감의 자율성 측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가정생활건강성과 학교생활만족도의 요인들이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나아가 청소년정책의 방안에도 고려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생물학에서 진화론의 역할에 대한 인식 향상을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eacher Education Programs to Promote Evolutionary Theory as a Unifying Theory in Biolog)

  • 이순남;차희영;장경애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4권8호
    • /
    • pp.767-778
    • /
    • 2014
  • 많은 생물학자들은 진화론이 생물학에서 중심적이고 가장 강력한 이론임을 주장해 왔다. 이에 본 연구는 진화론의 생물학을 통합하는 역할에 대한 인식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사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확인하였다. 교사교육프로그램의 내용 요소는 '진화 수용 향상', '진화 개념 강화', '진화의 통합성 인식 및 실천'의 3단계로 구성하였고, 방법 요소는 교육현장 실천성, 체험 및 활동, 자기성찰과 동료평가, 팀별과제 해결, 원활한 질문과 피드백으로 하여 총 6주(18시간)용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H대학교 대학원생인 현직 생물교사 6인과 예비 생물교사 7인을 대상으로 교사교육을 진행하였고, 단일 집단 사전 사후 검사 설계 방법을 사용해 효과를 검정하였다. 그 결과 개발된 교사교육프로그램은 진화의 가치를 반영한 생명과학 수업이 진행되기 위한 발판인 교사의 인식변화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프로그램을 경험한 교사들은 진화의 과학적 타당성에 대한 의심을 버리게 됐고, 진화를 과학 지식으로서 수용하였다. 또한 과학적으로 진화 기작을 설명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게 되었으며, 전반적인 진화 지식의 향상 및 진화에 대한 관심 증가는 교사가 진화 지식에 대한 자신감을 가질 수 있게 하였다. 교사들은 진화가 갖는 생물학에서의 중요성과 통합적 역할에 대해 분명하게 인지하고, 이러한 관점으로 생명과학 수업을 진행하는 것이 학생들의 흥미와 이해를 돕는 방식이라는 것에 동의하게 되었다. 교사교육프로그램을 통해 진화의 통합적 역할을 인지하고 이를 수업에 반영하겠다는 실천의지를 보인 교사들이 실제로 학교 현장에 돌아갔을 때, 이를 효과적으로 반영하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후속될 필요가 있다.

단도박자의 생활고 극복과정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A Grounded Theory Study on the Recovering Gambling Addicts' Overcoming Process of Their Hardships of Life)

  • 강준혁;엄다원;이혁구
    • 사회복지연구
    • /
    • 제48권4호
    • /
    • pp.121-156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회복을 어렵게 만드는 단도박자의 생활고 극복과정을 탐구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 단도박 후 생활고를 극복한 총 10명의 연구참여자들과 1:1 심층면담을 수행했다. 면담을 통해 수집한 자료는 Strauss와 Corbin(1990; 1998)이 제안한 근거이론(grounded theory) 절차에 따라 분석했다. 분석 결과 131개의 개념을 구성했으며, 구성된 개념을 다시 32개의 하위범주와 14개의 범주로 분류하였다. 연구자들은 각 범주를 관통하는 핵심범주를 '현실 수용과 재결단을 통한 생활고 극복'으로 제시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자들은 경제적 자활 프로그램 제공, 사회보장 서비스 제공, 상담사-가족-동료 단도박자가 공조할 수 있는 '삼각 지지체계'구축 등을 실천 및 정책적 개입 방안들로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