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cently, it appears several counterproposals about desirable figures of urban architecture. All of them proposes 'publicity' with cohernt tendency. The reason why it concentrates quantitative expansion of city without united design by urban plannar is that neglect quality values of city. As a solution of poor environment, there cue out the various efforts, about problem of each building, problem of city space, problem of laws and so forth. The reason why necessity of public space was embossed in that architecture extend the activity of citizen and make up the city space. But, each building pursues the private interest, so it is difficult to secure a public space with a high hand. Thus, architecture law has been revised in 1991 and bring the system of open space to match up the publicity and the private interest. Actually, western country brought it and obtained excellent results. While quantity of open space have increased since 1991, a lot of problems revealed in real usage and quality. By means of problem's solution, this study focus on the diversion of recognition for necessity of various open space. In result, on the occasion of approach and openess, except for several building, most glass a facade and the pedestrian can approach easily. Moreover, office buildings near the subway station connected with their low floor. So, the office buildings give openess to pedestrian and a people can approach easily to the buildings. On the occasion of amenity, most have bank and lobby on the first floor and have facilities on the underground floor. It leave open. But the reason why they have bank and lobby is that the space is dry and boring(without elements of nature and rest space). Hence, to make a space full of vitality, it have to plan various design elements and facilities. First of all, plan of indoor public space have to make up facility for the public interest. This study is basic investigation for necessity of indoor public space and through the survey of office buildings, it analyze the character of plan and find out the method of publicity's realization.
A planned access method on constantly-changing-community unit plan changes and develops based on the periodical situation and also plan theory. In this research, it is to present the link between the theory of complex city change and the plan factor of it, and to show how Korean residential complex plan has changed as time passed and how new concept of city plan came up and by applying new methods how can this affect our real world and the past plan. In the phase of analysis, it analyzed the flow of 'community unit plan' and its theory and investigated the factor of compositional space and built a analysis frame. The factors of community unit plan are space structure, size and shape of block, population, distribution of facilities and movement system. It chose the place that can represent the flow of community unit plan trand and that indicates the obvious development leading to Jamsil (1975), Gwa Chun (1980), Mok Dong (1983), Sang Ge (1985), Ilsan (1989), Dong tan (2001) and Eun Jung (2003) total of 7 places. And to compare a similar size of the city, it selected a small community unit. Based on the result of theoretical study and prior research, it can be said that the space composition style has change from a whole complete complex area to a linked-cross over community unit and the access of urban level was on set. Also, a pedestrian walking area was secured and the dense of building structure and pleasant environment wanting need was in balance. For facility plans, the usage of facility and functional change brought change of type, size and disposition. The walking area for pedestrian became a huge matter. Therefore, market, education, public facilities and green system collaborated to co-build a whole community unit and activated the walking environment. Also, public transportation, environment friendly city organization was built.
This study is about the investigation of the walking environment of the First Experimental Elementary School in Shapingba District of Chongqing City and the Zaozilanya Elementary School in Yuzhong District and the analysis of the pedestrian's consciousness. The improvement plan is obtained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walking environment around the school. The survey results are as follows.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of the walking environment around the school, the sidewalks of the two schools are relatively narrow, and there are more pedestrians crossing the road. There is a phenomenon of parking in both schools. The phenomenon of parking in Zaozilanya Elementary School is even more serious. In investigating the most important elements of the school's pedestrian environment, the setting of the signpost, the setting of the crosswalk and signal lights, the setting of the fence, the setting of the vehicle's deceleration facilities, and the control of the school gate are all necessary. Therefore, in order to create a safe and comfortable improvement plan for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school, first of all, in the improvement of the facilities around the school, the setting of the fence, the setting of the speed bump, the improvement of the crosswalk and the signal light. Second, in terms of restrictions, the scope of protection around the school needs to be expanded, and restrictions on parking and restrictions on vehicle traffic need to be implemented. Third, in terms of education and publicity, it is not only necessary to provide safety guidance for students to go to school, but also to provide drivers with driving safety education and publicity.
어린이 보호구역은 교통사고의 위험으로부터 어린이를 보호하기 위해 학교, 보육시설, 학원 등과 같은 시설 가운데 지정된 일정 구간을 말한다. 어린이 보호구역은 1995년 9월 제정된 이래, 2021년 1월까지 총 9번의 개정을 통해 강화가 됐음에도 어린이 보호구역 사고는 줄어들지 않고 있다. 본 논문은 방재디자인 기반의 어린이 보호구역 표준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문헌조사, 실증조사, 인식도 조사를 진행했다. 인식도 조사 대상은 어린이, 학부모, 운전자를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하였다. 환경 조사 대상으로는 횡단보도, 자동차도로, 보행자도로, 신호등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차량 운전자의 어린이 보호구역 시각적 인지가 어렵다는 점이 발견되었고, 보행자 도로를 이용하는 오토바이가 어린이에게 매우 위협적인 요소로 다가왔음을 알게 되었다. 이에 따라 방재디자인 중심의 개선된 어린이 보호구역 표준모델 디자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aimed at grasping improvement factors of Cheonho Park, Gandaemae Park and Hunlyunwon Park as barrier free friendly parks. For this study, current status of parks, users' state and satisfaction were analyzed in October, 2014 and September, 2015. To detect current status, period of designing, whole size, facility pavement green space area, and main spaces were examined. As for BF status, mediation facilities, leading and guidance facilities, convenient facilities and BF pedestrial passage were analyzed. Also, It examined user behavior and satisfaction by accessibility, convenience and safety items. As a result of status analysis, three parks were designed in 1997~1998. The size of parks were $15,180m^2{\sim}26,697m^2$. As for mediation facilities, the slopes of walking-passage in Cheonho Park and Gandaemae Park were flat. The rate of leading-guidance facilities was 72.7%~93.4%. In the three parks, the effective width of safe pedestrian space within BF pedestrial passages was more than 1.8m. In Cheonho Park and Gandaemae Park, more than 50% of soil and urethane were used as paving materials. Users were the most satisfied with accessibilities in Cheonho Park due to flat-typed walking passages. In convenience, when it comes to using benches and pergolas, it showed significantly different satisfaction in every park. In safety, there were also considerable difference in every park. Overall, it was analysed that the satisfaction with information for safety and facilities was significantly low. Against this backdrop, this study suggests three considerations to recreate parks as barrier free friendly parks. 1) Flat-typed walking passages and enough parking areas near parks should be constructed. 2) Additional rest furniture for convenience should be installed and complemented. 3) Walking oriented-spatial safe facilities for safety should be differently supplemented.
중앙버스전용차로도 도입으로 인해 무단횡단이 증가하였고 보행 교통 사망자 수 증가의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중앙버스전용차로 횡단보도부 교통안전 수준 증진을 위해서는 공학적이고 분석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향후 보행안전시설 연구의 기반자료를 마련하기 위해 중앙버스전용차로 정류소 횡단보도부 보행자의 보행행태 자료를 분석한다. 중앙버스전용차로 형태 중 무단횡단이 가장 많이 관측되는 '분리형 횡단보도' 형태인 서울시 '고속버스터미널역'을 조사지점으로 선정하여 영상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보행자 자료를 공간적 측면과 시간적 측면에서 위반행태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공간적 위반 보행자는 37.8%로 시간적 위반 보행자 3.4%에 비해 11.1배 높게 분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시간적 위반 보행자에 편중된 안전시설이 아닌 무단횡단 보행자의 절대 다수에 해당하는 공간적 위반 보행자에 안전대책도 필요하며 향후 시 공간적 위반 보행자의 무단횡단을 함께 억제하는 안전시설이 필요함을 제언한다.
PURPOSES :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road crossing behavior of older pedestrians on a mid-block signalized crosswalk, and compared it to that of younger pedestrians. In addition, we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accidents involving older pedestrians while crossing roads and their behavioral characteristics. Finally, we confirmed the reasons for an increase in accidents involving older pedestrians. METHODS : First, 30 areas with the highest incidence of accidents involving older pedestrians while crossing roads were selected as target areas for analysis. Next, we measured the start-up delay (the time elapsed from the moment the signal turns green to the moment the pedestrian starts walking) and head movement (the number of head turns during crossing a road) of 900 (450 older and 450 younger) pedestrians. The next step was to conduct a survey and confirm the differences in judgment between older and younger pedestrians about approaching vehicles. Finally, we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urvey results and traffic accidents. RESULTS : The average start-up delay and head movement of the older pedestrians was 1.58 seconds and 3.15 times, respectively. A definite correlation was obtained between head movement and the frequency of pedestrian traffic accidents. The results of our survey indicate that 17.3% of the older pedestrians and 7.8% of the younger pedestrians have a high crash risk. CONCLUSIONS :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older pedestrians were closely correlated with accidents involving older pedestrians while crossing roads in mid-block signalized crosswalks. Our study indicates that in order to reduce the number of accidents involving older pedestrian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improvement plan including measures such as installation of safety facilities taking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older pedestrians into consideration and their safety education.
Covering structures and elevated road of Cheonggyecheon are the by-products of the developing era when functionality and efficiency were emphasized. Historic river restoration project around Cheonggyecheon which had been emerged as a threat to the safety of the citizens due to its corrosion and structural defects as time passes had been performed during the period from July, 2003 through October, 2005 under the slogan of future-oriented urban environment creation. By dint of this river restoration project, its value is being heightened as almost all the rivers of Seoul including Seongbukcheon, Chungreungcheon and Honghaecheon have been arranged by inter-active linkage. In addition, this river is becoming a place frequented by the numerous visitors at home and aborad by providing the citizens with an attractive space for utilizing leisure time. Currently in the diversified areas, an academic research on the Cheonggyecheon restoration is under progress. In this study, sampled questionnaire for the visitors was carried out by site visit with the necessity of users' satisfaction survey in terms of revitalization of pedestrian space of the city street. As a result of this, natural restoration and provision of leisure space were surveyed to be highly assessed in terms of satisfaction and insufficient provision of convenience facilities including toilet and parking space was pointed out as a matter to be improved. As Cheonggyecheon is invigorated from the obstacle of urban environment through its epochal restoration, its value provided to us will be evaluated and by supplementing the deduced problems, we intend to find its meaning in our hope that this would become a sustainable future assets providing a basic data.
With the intensification of urban development in Chinese cities, mixed land use in urban centers extends vertically into 3-D and expands its scale from a single building to commercial clusters. The multi-level pedestrian system in city centers also changed its role from one of traffic isolation to spatial integration, where transit nodes, street sidewalks, squares, building entrances, atriums, and corridors are interconnected, both horizontally and vertically, into a whole spatial system, within which pedestrian flows are guided and shopping facilities are arranged. This paper uses spatial configuration analysis of space syntax to examine the impacts of spatial patterns on movement distribution and the business performance of tenant mix in the multi-level commercial system of the Nanshan Commercial Cultural District in Shenzhen, China. The key objective is to better understand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socio-economic variables and spatial design parameters of a shopping complex. The research findings point to the importance of multiplicity between syntactic variables and other spatial variables in influencing the pedestrian flows, business performance and tenant mix in highly complex commercial systems. Particularly noteworthy is the relationship between spatial accessibility measures and the location of escalators, and the ways in which individual commercial buildings are embedded into the overall spatial system. The study suggests that this may lead to the preliminary identification of the spatial qualities of effective vertical extensions of mixed land use in a high-density urban settings.
Although the urban elevated road is welcomed in modern society to deal with urban traffic problems, its negative influence on both the pedestrian environment and urban landscape has been frequently observed. Furthermore, the space under elevated structures has been ignored, being the lost space. Recently, several efforts have been devoted into bringing back the lostspace. However, any specific design guidelines shown in the street design of Japan and Singapore have not been suggested in Korea, yet. This study proposes a case of the Nengdong-Ro street design where the two-story urban elevated road is being constructed and negative effects of the elevated road are largely expected. One of the purposes of Nengdong-Ro street design proposed in this study is to relieve the negative effect os the two-story elevated road, and to provide a better pedestrian environment in Nengdong-Ro. The other purpose is to suggest general guidelines that can be applied to the similar context as Nengdong-Ro. It is considered that the space under the elevated road generally consist of three sections: 1) main section where the elevated road runs parallel with the ground, 2) landing section where elevated road goes down to the ground, and 3) facility section where facilities such as the platform and the ticketing booth are located. The design guidelines are suggested for each section, because each section has a different situation. Plans, section and elevations and the details of the street furniture are also incorporated to support the design guidelines.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4년 10월 1일]
이용약관
제 1 장 총칙
제 1 조 (목적)
이 이용약관은 KoreaScience 홈페이지(이하 “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이하 '서비스')의 가입조건 및 이용에 관한 제반 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 2 조 (용어의 정의)
① "이용자"라 함은 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이 약관에 따라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는 회원 및 비회원을
말합니다.
② "회원"이라 함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당 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부여
받은 자를 말합니다.
③ "회원 아이디(ID)"라 함은 회원의 식별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자신이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④ "비밀번호(패스워드)"라 함은 회원이 자신의 비밀보호를 위하여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제 3 조 (이용약관의 효력 및 변경)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회원에게 공지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이 약관을 개정할 경우에 적용일자 및 개정사유를 명시하여 현행 약관과 함께 당 사이트의
초기화면에 그 적용일자 7일 이전부터 적용일자 전일까지 공지합니다. 다만, 회원에게 불리하게 약관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최소한 30일 이상의 사전 유예기간을 두고 공지합니다. 이 경우 당 사이트는 개정 전
내용과 개정 후 내용을 명확하게 비교하여 이용자가 알기 쉽도록 표시합니다.
제 4 조(약관 외 준칙)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이용안내와 함께 적용됩니다.
②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관계법령의 규정이 적용됩니다.
제 2 장 이용계약의 체결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등)
① 이용계약은 이용고객이 당 사이트가 정한 약관에 「동의합니다」를 선택하고, 당 사이트가 정한
온라인신청양식을 작성하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후, 당 사이트가 이를 승낙함으로써 성립합니다.
② 제1항의 승낙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과학기술정보검색, 맞춤정보, 서지정보 등 다른 서비스의 이용승낙을
포함합니다.
제 6 조 (회원가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당 사이트에서 정한 회원가입양식에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가입을 하여야 합니다.
제 7 조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
당 사이트는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회원 등록정보를 포함한 회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회원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에 대해서는 관련법령 및 당 사이트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이 적용됩니다.
제 8 조 (이용 신청의 승낙과 제한)
① 당 사이트는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이용신청고객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을 승낙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아래사항에 해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승낙하지 아니 합니다.
-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한 경우
- 기타 규정한 제반사항을 위반하며 신청하는 경우
제 9 조 (회원 ID 부여 및 변경 등)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에 대하여 약관에 정하는 바에 따라 자신이 선정한 회원 ID를 부여합니다.
② 회원 ID는 원칙적으로 변경이 불가하며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변경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ID를
해지하고 재가입해야 합니다.
③ 기타 회원 개인정보 관리 및 변경 등에 관한 사항은 서비스별 안내에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제 3 장 계약 당사자의 의무
제 10 조 (KISTI의 의무)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이 희망한 서비스 제공 개시일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보안시스템을 구축하며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공시하고 준수합니다.
③ 당 사이트는 회원으로부터 제기되는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하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될 경우에는 적절한 절차를
거쳐 즉시 처리하여야 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는 회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하여야
합니다.
제 11 조 (회원의 의무)
① 이용자는 회원가입 신청 또는 회원정보 변경 시 실명으로 모든 사항을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허위 또는 타인의 정보를 등록할 경우 일체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② 당 사이트가 관계법령 및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의거하여 그 책임을 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회원에게 부여된
ID의 비밀번호 관리소홀, 부정사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③ 회원은 당 사이트 및 제 3자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
제 4 장 서비스의 이용
제 12 조 (서비스 이용 시간)
① 서비스 이용은 당 사이트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 운영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당 사이트는 시스템 정기점검, 증설 및 교체를 위해 당 사이트가 정한 날이나 시간에
서비스를 일시 중단할 수 있으며, 예정되어 있는 작업으로 인한 서비스 일시중단은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에 공지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서비스를 특정범위로 분할하여 각 범위별로 이용가능시간을 별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그 내용을 공지합니다.
제 13 조 (홈페이지 저작권)
① NDSL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KISTI는 복제/배포/전송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②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복제/배포/전송할 경우 사전에 KISTI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③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보도, 비평, 교육, 연구 등을 위하여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④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제 14 조 (유료서비스)
① 당 사이트 및 협력기관이 정한 유료서비스(원문복사 등)는 별도로 정해진 바에 따르며, 변경사항은 시행 전에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에게 공지합니다.
② 유료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회원은 정해진 요금체계에 따라 요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제 5 장 계약 해지 및 이용 제한
제 15 조 (계약 해지)
회원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가입해지] 메뉴를 이용해 직접 해지해야 합니다.
제 16 조 (서비스 이용제한)
① 당 사이트는 회원이 서비스 이용내용에 있어서 본 약관 제 11조 내용을 위반하거나,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2년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없는 경우
- 기타 정상적인 서비스 운영에 방해가 될 경우
② 상기 이용제한 규정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에게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별도 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의
일시정지, 이용계약 해지 할 수 있습니다.
제 17 조 (전자우편주소 수집 금지)
회원은 전자우편주소 추출기 등을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제 6 장 손해배상 및 기타사항
제 18 조 (손해배상)
당 사이트는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회원에게 어떠한 손해가 발생하더라도 당 사이트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손해발생을 제외하고는 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합니다.
제 19 조 (관할 법원)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한 분쟁에 대해 소송이 제기되는 경우 민사 소송법상의 관할 법원에 제기합니다.
[부 칙]
1. (시행일) 이 약관은 2016년 9월 5일부터 적용되며, 종전 약관은 본 약관으로 대체되며, 개정된 약관의 적용일 이전 가입자도 개정된 약관의 적용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