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rent-child attachment

검색결과 117건 처리시간 0.022초

초등학교 아동의 부모애착과 친구애착이 남녀 청소년 비행에 미치는 영향 : 문제행동과 비행친구 유무의 매개효과 (The Effects of Parental and Peer Attachment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on Early Adolescent Delinquency : The Mediating Role of Problem Behavior and Delinquent Peers)

  • 송지영;박성연
    • 아동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51-66
    • /
    • 2010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parental attachment and peer attachment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upon early adolescent delinquency. The participants were 2,844 taken from data from the Korean Youth Panel Survey (KYPS). Data from secondary questionnaires data on parent and peer attachment, problem behavior, delinquent peers, and delinquency were used for this study.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a Structural Equation Model using AMOS 5.0. Our results indicated that, firstly, parental attachment was negatively related to problem behavior for both male and female adolescents, whereas peer attachment was positively related to problem behavior only for males, but not for females. Secondly, problem behavior in childhood has a direct effect on adolescent delinquency, which also can be indirectly mediated by contact with delinquent peers. In conclusion, the path model from parental and peer attachment in early childhood to adolescent delinquency was supported only in the case of males.

부모 자서전 대필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Parent's Autobiography Writing Program)

  • 정구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9호
    • /
    • pp.637-649
    • /
    • 2017
  • 본 연구는 부모 자서전 대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피험자는 서울의 한 대학에 재학 중인 총 82명의 학생들이었으며, 실험군이 52명, 대조군이 30명이었다. 연구 설계는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사후 유사 실험설계로 진행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은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공분산분석으로 수행하였다. 부모의 자서전은 프롤로그, 아동기, 청소년기, 성인기, 에필로그로 구성하였다. 자서전의 각 장은 부모의 주요 사건을 기술하는 성장서사 부분과 대필자의 느낌을 기술하는 성찰서사 부분으로 구성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부모 자서전 대필 프로그램은 부모-자녀 간 관계를 유의하게 증진시켰다. 특히, 하위요인 중 친밀, 존경 요인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엄격 요인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둘째, 부모 자서전 대필 프로그램은 부모-자녀 애착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셋째, 부모 자서전 대필 프로그램은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을 유의하게 증가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들의 부모 자서전 대필 프로그램의 효과와 적용 가능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지역아동센터 이용 청소년의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성별에 따른 잠재평균 및 경로계수 크기 차이 검증 (Influential Factors for Career Identity of Adolescents in Community Child Center: An Application of Latent Mean Analysis and Focusing on Gender Differences)

  • 연은모;최효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7호
    • /
    • pp.485-496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아동센터 이용 청소년의 부모-자녀 대화, 또래애착, 센터교사만족도, 자아탄력성, 자아존중감, 진로정체감 간 구조적 관계를 탐색하고, 성별에 따른 잠재평균 및 구조모형의 경로계수의 크기 차이를 검증하는 것이다. 지역아동센터 아동패널조사 2기 패널 4차 조사(2017년)의 청소년 438명이 분석 대상이다. 첫째, 구조모형 분석 결과, 또래애착 및 센터교사만족도는 자아탄력성과 자아존중감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반면, 부모-자녀 대화는 자아탄력성,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또래애착 및 센터교사만족도는 자아탄력성,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진로정체감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완전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둘째, 잠재평균분석 결과,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자아탄력성, 자아존중감이 더 높은 반면,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부모-자녀 대화 정도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집단 경로계수 크기 차이 검증 결과, 남학생은 여학생보다 또래애착이 자아탄력성과 자아존중감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며, 여학생은 남학생보다 센터교사만족도가 자아탄력성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지역아동센터 이용 청소년의 진로정체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사회적 지지 체계를 통한 자아탄력성과 자아존중감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며, 이때 성별에 따른 차별적 특성을 고려한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애착과 정신병리 (ATTACHMENT AND PSYCHOPATHOLOGY)

  • 최지은;안동현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5권1호
    • /
    • pp.40-60
    • /
    • 2004
  • 서 론:1940년 경 발달학적 관점에서 시작된 애착에 관한 연구가 지난 수십 년 동안 많은 발전을 이루었다. 초기 연구에서 주로 영유아기 아동의 부모에 대한 애착연구는 이후 성인기애착에 대한 평가가 가능해지면서 청소년기 혹은 성인기의 대인관계나 정서적 유대, 양육 경험에 까지 적용해 왔다. 이런 발전과 함께 최근 발달학적 정신병리에 관한 연구로 애착장애를 포함한 다양한 아동기 정신병리, 더 나아가 성인기 정신질환과 애착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이 관계를 최근에 수행된 연구들을 중심으로 조명해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최근에 수행된 연구를 중심으로 관련 문헌들-Medline에서 검색된 논문, 주요 단행본, 국내에서 발표된 애착 관련 논문들을 고찰하였다. 결 과:아동기 애착장애, 그 외에 정신병리로서 수용소에서의 양육과 후기 입양의 문제, 공격성과 행동문제, 아동기 불안장애 및 우울증, 성주체성 장애 및 섭식장애, 그리고 아동학대 및 부당 취급, 아동기의 또래관계 및 사회성 발달, 부모의 애착관계와 양육행동이 애착과 밀접한 연관을 가짐을 보여주고 있다. 다음으로, 최근 유아의 애착 행동이나 유형이 성인기까지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장기 추적 연구들이 진행 중이다. 또한 Main 등이 개발한 AAI는 성인애착연구에 중요한 도구로 이용되었고, 이런 발전에 힘입어 부모의 해결되지 않은 애착에 관련된 문제가 자녀와 애착을 형성하는 과정에 영향을 주는 세대간 전이 현상을 발견하게 된 이후 성인 정신 병리의 원인에 대한 연구가 이러한 생애 초기의 애착과 관련된 문제에 관심을 갖게 하였다. 이 가운데 특히 성인기의 다양한 정신질환들-기분장애, 불안장애, 식사장애, 정신분열병, 해리장애, 성격장애-을 Bowlby의 발달학적 이론을 근거로 이해해 보고, 유아기의 애착과의 연관성 및 애착과 관련된 경험들이 후기 이러한 정신병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가에 대한 연구결과들이 논의되었다. 결 론:애착이론은 일반적인 부모의 양육과 같이 광범위한 부모-자녀 관계를 보다 심도 있게 조명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부모-자녀관계가 대개 사회심리적인 접근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것과 달리 애착은 기본적으로 생존에 대한 생물학적인 기초에 근거하여 생태학적인 관점에서 아동의 문제를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또한 부모-자녀관계, 나아가 아동과 가족간의 관계 속에서 파악하기 때문에 접근이나이를 기초로 하는 치료도 상호적인 관계 속에 이루어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앞으로 별도로 발전되어 왔던 발달 이론과 또한 별도로 독자적인 발전을 이루어 온 아동 정신병리 및 애착 장애와의 관련이 긴밀해져야 할 것이다.

  • PDF

또래에 의한 괴롭힘이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단기 종단적 연구: 애착 및 우정관계의 역할 (Influences of Victimization by Peers on the Self-Esteem of Adolescents: The Role of Attachment and Friendship)

  • 최미경;도현심
    • 아동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85-105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s of victimization by peers on self-esteem and the role of father/mother attachment and friendship with a range of 354 2nd-grade junior high school students(169 boys and 185 girls). The subjects reported victimization, father/mother attachment, friendship(number of friends and presence of a best friend), self-esteem and their peers rated victimization, too. The result indicated that (1) Victims in the end of the second semester were also those who were victimized by peers in the end of the first semester, (2) The victimization by peers effected on self-esteem in boys and girls, (3) The interaction effect of victimization and parent attachment on self-esteem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only for boys, and friendship on self-esteem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only for girls.

  • PDF

아동의 모 애착 및 분노와 정서.행동문제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s between children's attachment to mother, anger and emotional.behavioral problems)

  • 전은청;이진숙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8권6호
    • /
    • pp.157-167
    • /
    • 2010
  •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s among children's attachment to the mother, trait anger, anger expression style, and emotional-behavioral problems in children. The subjects were 384 5th and 6th graders at elementary schools in J and G cities of Jeonbuk-Do. The instruments were Revised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 (IPPA-R), Stat-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 - Korean version (STAXI-K), and Strength and Difficulty Questionnaire (SDQ). The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The level of children's attachment to the mother was negatively related to anger and emotional-behavioral problems, and the level of trait anger was positively related to emotional-behavioral problems. Children who have high anger expression and anger suppression tended to show more externalized behavior problems. Finally, th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children's attachment to the mother and anger are revealed as significant factors in emotional-behavioral problems.

육아 개념분석 (A Concept Analysis of the Child-rearing)

  • 김순구;이영미
    • 부모자녀건강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28-37
    • /
    • 2004
  • This study intends to analyse the concept on the child-rearing of parents. Through analysis, several concepts on the child-rearing would be cleared, and therefore the groundwork of the theoretical framework can be constructed. The concepts were analyzed by the method of Walker & Avant(1995). The attribute of child-rearing is as follows; nutrition supply, affectionate mind, caring, growth development supporting, protecting, instructing, pregnancy, delivery etc. The proper child-rearing helps reinforce child development, mother-infant attachment, social disposition, parental-role contentment and family relationship. This study would be helpful to the establishment of child-rearing paradigm. And therethrough this result although helps construct proper child-rearing as well as theoretical groundwork.

  • PDF

부모의 방임·학대가 학령기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학령기 아동의 자아인식과 또래애착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Child Neglect and Abuse by Parents on School Adjustment of School-Aged Children :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Awareness and Peer Attachment)

  • 김혜금;조혜영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9-36
    • /
    • 2016
  • 본 연구는 부모의 방임 학대가 학령기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령기 아동의 자아인식과 또래애착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 청소년패널조사(KCYPS) 4차년도 패널 데이터의 초등학교 4학년 아동 및 주 양육자 2,378명을 대상으로 부모의 방임 학대, 학령기 아동의 학교생활적응, 자아인식, 또래애착 척도를 사용하여 구조방정식으로 영향력과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측정모형과 구조모형의 적합도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조모형의 경로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방임 학대와 학령기 아동의 학교생활적응, 자아인식, 또래애착 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학령기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은 부모의 방임 학대와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난 반면, 학령기 아동의 자아인식 및 또래애착과는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방임 학대는 학령기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며, 이 과정에서 학령기 아동의 자아인식과 또래애착이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학령기 아동의 자아인식을 높여 줄 수 있는 실제적인 방안모색과 또래와 긍정적인 애착을 증진시키는 방법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질 수 있다.

보건실 이용 학령후기 아동이 지각한 애착안정성, 사회적 지지가 신체화 증상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Perceived Attachment Security and Social Support on Somatic Symptoms in Late School-Aged Children Using a School Health Clinic)

  • 박유진;임여진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2권4호
    • /
    • pp.370-378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current status of somatic symptoms of late school-aged children using the school health clinic an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perceived attachment security and social support on their somatic symptoms. Methods: For this descriptive study, self-report questionnaires were completed by fifth and sixth graders attending 'A' elementary school in Gyeonggi-do. Data from 216 students were included. Data analysis included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Most frequent somatic symptoms were headache, fainting, backache, numbness in a body part, and muscle ache in that order. More frequent somatic symptoms were reported by girls, students who recognized their family SES as low, students who used school health clinic often and students who were dissatisfied with school life. Somatic symptom showed negative correlations with attachment stability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from family and teachers. In the regression analysis, the variables; low attachment stability, female gender, and low satisfaction with school affected more frequent somatic symptoms. Conclusion: Careful monitoring of late school-aged children expressing frequent somatic symptoms is required. Intervention programs to improve attachment security and satisfaction with school should be developed for school children, especially girls, presenting with somatic symptoms.

모유수유아 선발대회 참가 영아모의 애착 지향적 양육행동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the Attachment-oriented Caretaking Behaviors among the young infant's mothers)

  • 김영혜;이화자;김순구
    • 부모자녀건강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15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and influencing factors of the attachment-oriented caretaking behaviors among the mothers with infants. The total number of 204 mothers participated in this survey as subjects. They all were breast-feeding mothers who had their infants joining in the semi-final round of a healthy breast-feeding infant contest.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July 14, 1999 to May 19, 2000. And the data were analyzed by SPSSWIN 10.0 version.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 1. The mean ages of the subjects were 29.5 and 95.6 percents of them were no-job housewives. 57.8% of them were normal delivery. And the mean months of the infants were 6.2 and the male infants were 57.4%. The first born babies were 62.3%. 2. The mothers are affirmative enough with their attachment-oriented caretaking behaviors (the total mean was $3.58{\pm}.631$). In general, the mothers showed very attachment-oriented caretaking behaviors, but the points that indicated "recording the development characteristics of the infant and discussing them with husband" were very low(score $2.79{\pm}.982$). 3.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aretaking behaviors of the mothers according to their ages(F=3.497, p=.017), the degree of morning sickness(F=2.633, p=.050) and the birth order of their infants(F=4.854, p=.003). The older mothers and mothers who experienced the less morning sickness showed the higher scores of the attachment-oriented behaviors. The mothers who experienced the more deliveries showed the higher scores of the attachment-oriented behaviors. Accordingly, the above result suggests that the systematic and practical nursing intervention to encourage the attachment-oriented behaviors is essential to the younger, primipara mothe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