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rathion

검색결과 115건 처리시간 0.024초

자주달개비 수술털에서 방사선에 의해 유발되는 세포손상에 대한 살충제의 방어효과 (Protective Effect of Pesticide on Radiation-Induced Cell Damage in Tradescantia 4430 Stamen Hairs)

  • 김진규;김원록;이창주;장화형;이영근
    • 환경생물
    • /
    • 제17권1호
    • /
    • pp.21-26
    • /
    • 1999
  • 살충제와 방사선이 자주달개비 수술털 돌연변이에 미치는 복합적 영향을 평가하였다. 포트에서 생육된 Tradescantia 4430 식물체에 코발트 선원으로부터 0.3, 0.5, 1.0 및 2.0 Gy의 감마선을 조사하였다. 살충제는 감마선 조사 24시간 전에 농업용으로 사용되는 파라치온 유제를 살포하였다. CT 실험군과 Pa+${\gamma}$실험군에 있어서의 돌연변이 빈도가 증가한 고조기간은 방사선 조사 후 7 ~ 11일로 돌연변이 빈도는 방사선량 증가에 따라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반응관계를 보였다. CT 실험군에서의 선량반응식 기울기 (증가계수)는 5.99 ($r^2$=0.988)이었으나, Pa+${\gamma}$ 실험군의 증가계수는 3.43 (r$x^-2$=0.981)으로 CT 실험군의 값에 비해 현격히 낮았다. 즉 Pa+${\gamma}$ 실험군이 CT 조사군에 비하여 방사선에 의한 돌연변이 유발 증가율이 43%억제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살충제 전처리가 방사선에 의한 세포유전물질 손상을 오히려 저감시키는 효과를 나타낸 것이기 때문이다. 이 같은 실험결과는 두 가지 불리한 자극이 복합적으로 작용할 때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공조작용과는 상반되는 결과이며 오히려 파라치온 전처리에 의해 식물체가 보다 강한 자극에 대비할 수 있도록 유도되는 적응반응이 유발되었거나 방사선효과에 대한 변화작용이 나타난 것으로 해석 가능하다.

  • PDF

환경재해에 관한 생물정보로서의 이온화 방사선과 살충제의 인체 위해성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n Human Risk by Ionizing Radiation and Pesticide as Biological Information about Environmental Disaster)

  • 김진규;현성희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26권4호
    • /
    • pp.385-392
    • /
    • 2001
  • 환경독성물질이나 생물 위해 요소의 환경내 준위가 일정 수준 이상일 경우 환경재해가 유발될 수 있다. 이온화 방사선의 산업적 의료적 이용이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병해충을 막기 위한 살충제 사용의 점진적 증가로 인해 이들에 의한 재해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이들 재해 요인들에 의한 인체 위해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단세포 겔 전기영동법 (SCGE)을 이용하여 사람 림프구 DNA 손상에 미치는 방사선과 살충제의 영향을 각각 평가하였다. 각기 다른 농도로 살충제를 10분간 처리한 림프구에 대한 SCGE 분석을 실시하였고 또한 $0{\sim}2.0Gy$의 방사선을 조사한 림프구에 대한 SCGE 분석을 실시하여 DNA 손상도를 평가하였다. DNA 손상도는 감마선에 대해서 뚜렷한 선량-반응 관계를 나타내었을 뿐 아니라 살충제에 대해서도 명확한 농도-반응 관계를 나타내었다. 파라치온은 농업권장 사용농도인 $1mg{\ell}^{-1}$에서도 림프구에 대해 강한 유전독성을 나타내는데 이러한 유전독성은 0.1 Gy의 감마선에 의해 유발되는 DNA 손상에 상응하며 $2mg{\ell}^{-1}$의 파라치온은 임상적 증상을 야기할 가능성이 있는 전신 외부피폭 방사선량인 0.25 Gy에 상응하는 세포손상을 유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 방사선과 살충제의 인체 위해도를 비교할 수 있는 실험적 자료와 환경재해 예방에 필요한 생물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 PDF

Syntheses of 3-Pyrimidyl- and 3-Pyranyl-5,6-benzocoumarin Derivatives

  • El-Deen, Ibrahim M.;Al-Wakeel, El-Sayed I.;El-Mawla, Ahmed G.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3권4호
    • /
    • pp.610-612
    • /
    • 2002
  • A competitive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was developed for the quantitative detection of organophosphorus insecticide cyanophos. An analogue (hapten) of cyanophos was synthesized and was coupled to BSA to produce polyclonal antibodi es from rabbits. The antisera were screened against another hapten coupled to ovalbumin (OVA). Using the sera of highest specificity, an antigen-coated ELISA was developed, which showed an I50 of 310 ng/mL with the detection limit of 20 ng/mL. The antibodies showed negligible cross-reactivities with other organophosphorus pesticides except for parathion-methyl, which makes the assay suitable for the selective detection of cyanophos.

과실 및 채소중 유기인계 잔류 농약에 관한 연구 (Organophosphorus Insecticide Residues in Fruits and Vegetables)

  • 최영진;김세원;고영수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81-186
    • /
    • 1986
  • Organophosphorus insecticide residues were investigated in six kinds of fruits and five kinds of vegetables.The materials used in this experiment were grape, musk melon, apple, peach, plum, apricot, lettuce, green pepper, cucumber, pumpkin and tomato which were collected from June to september 1986 in Seoul. Residual pesticides investigated were Diazinon, Parathion, MEP (Fenitrothion), Malathion, EPN, MPP (Fenthion), PAP (Phenthoate) and Dimethoate and all samples were analysed by gas chromatographic technique with NPD (Nitrogen Phosphorus Detector). No sample was found to approach proposed national maximum residue limits in Korea.

  • PDF

Genetic and Phenotypic Diversity of Fenitrothion-Degrading Bacteria Isolated from Soils

  • Kim, Kyung-Duk;Ahn, Jae-Hyung;Kim, Tae-Sung;Park, Seong-Chan;Seong, Chi-Nam;Song, Hong-Gyu;Ka, Jong-O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9권2호
    • /
    • pp.113-120
    • /
    • 2009
  • Twenty-seven fenitrothion-degrading bacteria were isolated from different soils, and their genetic and phenotypic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Analysis of the 16S rDNA sequence showed that the isolates were related to members of the genera Burkholderia, Pseudomonas, Sphingomonas, Cupriavidus, Corynebacterium, and Arthrobacter. Among the 27 isolates, 12 different chromosomal DNA fingerprinting patterns were obtained by polymerase chain reaction(PCR) amplification of repetitive extra genic palindromic(REP) sequences. The isolates were able to utilize fenitrothion as a sole source of carbon and energy, producing 3-methyl-4-nitrophenol as the intermediate metabolite during the complete degradation of fenitrothion. Twenty-two of 27 isolates were able to degrade parathion, methyl-parathion, and p-nitrophenol but only strain BS2 could degrade EPN(O-ethyl-O-p-nitrophenyl phenylphosphorothioate) as a sole source of carbon and energy for growth. Eighteen of the 27 isolates had plasmids. When analyzed with PCR amplification and dot-blotting hybridization using various specific primers targeted to the organophosphorus pesticide hydrolase genes of the previously reported isolates, none of the isolates showed positive signals, suggesting that the corresponding genes of our isolates had no significant sequence homology with those of the previously isolated organophosphate pesticide-degrading bacteria.

Phytoremediation of Organophosphorus and Organochlorine Pesticides by Acorus gramineus

  • Chuluun, Buyan;Iamchaturapatr, Janjit;Rhee, Jae-Seong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14권4호
    • /
    • pp.226-236
    • /
    • 2009
  • The performance of phytoremediation has proven effective in the removal of nutrients and metals from aqueous systems. However, little information is available regarding the behavior of pesticides and their removal pathways in aquatic environments involving plant-uptake. A detailed understanding of the kinetics of pesticide removal by plants and information on compound/plant partition coefficients can lead to an effective design of the phytoremediation process for anthropogenic pesticide reduction. It was determined that the reduction rates of four organophosphorus (OP) and two organochlorine (OC) pesticides (diazinon, fenitrothion, malathion, parathion, dieldrin, hexachlorobenzene [HCB]) could be simulated by first-order reaction kinetics. The magnitude of k was dependent on the pesticide species and found within the range of 0.409 - 0.580 $d^{-1}$. Analytical results obtained by mass balances suggested that differential chemical stability, including diversity of molecular structure, half-lives, and water solubility, would greatly influence the removal mechanisms and pathways of OPs and OCs in a phytoreactor (PR). In the case of OP pesticides, plant accumulation was an important pathway for the removal of fenitrothion and parathion from water, while pesticide sorption in suspended matter (SM) was an important pathway for removal of dieldrin and HCB. The magnitude of the pesticide migration factor (${\Large M}_p^{pesticide}$) is a good indication of determining the tendency of pesticide movement from below- to above-ground biomass. The uncertainties related to the different phenomena involved in the laboratory phyto-experiment are also discussed.

사과 탄저병 방제약제의 지속성 및 전착제$\cdot$살충제 혼용의 효과 (Retention, Tenacity and Effect of Insecticides in the Fungicidal Control of Apple Bitter Rot)

  • 정후섭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75-80
    • /
    • 1970
  • 1. "과피원판저지대법"으로 사과 탄달병 방제약제의 지속성, 전착제 및 살충제혼용의 효과를 검정하였다. 2. 살균제를 뿌린 후 시일이 경과할 수록 살균력은 줄었다. 공시 약제 중에서 Difolatan의 약효가 가장 컸으며 15일 후에도 $60\%$의 살균력이 있었고 그 다음은 Tuzet, Phaltan, 보르도액 , Delan의 순위였다. 3. 인공강우량이 많을수록 Tozet의 약효는 줄었으나 전착제를 첨가함으로색 약제의 유실을 경감할 수 있었다. 시판 상품인 리노 1,2호 및 Tween 20 보다도 탈지분유 및 콩추출액의 효과가 현저히 좋았다. 4. Phaltan을 단용하는 것보다 EPN, Folithion, Parathion 및 Lebaycid 를 섞어서 실온에 12일간 두어도 어느 것이나 살균핵과에는 현저한 차이가 없었다.

  • PDF

수삼과 홍삼농축액 중 유기인계와 유기염소계 농약의 잔류 (Residue of Organophosphorus and Organochlorine Pesticides in Fresh Ginseng and Red Ginseng Extract)

  • 김정호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37-342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경북의 풍기와 상주에 있는 인삼재배포장에서 직접 시료를 채취하고, 이를 이용한 홍삼농축액제품을 제조하였다. 수삼과 홍삼농축액 중 유기인계와 유기염소계 농약을 GC-NPD와 GC-ECD로 각각 정량분석 하였으며 GC-MSD로 정성분석을 실시하여, 식품의약품안전청이 2007년 1월1일부터 시행한 농약잔류허용기준에 따라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풍기 수삼에서 유기인계 농약은diazinon을 비롯한pyrimethanil, tolclofos-methyl, metalaxyl, diethofencarb, parathion, cyprodinil, tolylfluanid와 kresoxim-methyl이 모두 불검출 되었다. 그러나 상주 수삼에서는 tolclofos- methyl이 평균 $0.054{\pm}0.008\;mg/kg$ 검출되어 수삼의 농약잔류허용기준 0.3mg/kg의 $18{\pm}2%$ 수준이었다. 풍기와 상주 수삼에서 유기염소계 농약은 BHC, DDT의 이성질체와 aldrin, azoxystrobin, captan, cypermethrin, deltamethrin, dieldrin, difenoconazole, endosulfan-sulfate, endrin, fenhexamid, quintozene, ${\alpha}-endosulfan$, ${\beta}$-endosulfan도 검출 되지 않았다. 한편 풍기와 영주의 인삼으로 제조한 홍삼농축액 중에도 유기인계와 유기염소계 농약은 모두 검출 되지 않았다.

강원도산 농산물 중 잔류농약 실태조사 (Survey on the Contents of Residual Pesticide in the Agricultural Products on Kangweon-Do)

  • 심태흠;이태준;김기철;유미정;정의호;이해금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149-156
    • /
    • 1992
  • '90년 '91년 2개년에 걸쳐 강원도내에서 생산 또는 유통되고 있는 농산물 35종에 대하여 농산물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국민보건위생의 위해를 예방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유기염소제 및 유기인제 등을 ECD와 NPD가 부착된 gas chromatograph에 의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농산물 157건 중 농약이 검출된 농산물은 76건으로서 48.4%이었고, 이중 2종류 이상의 농약이 검출된 농산물은 24건으로서 15.3%를 점하고 있다. 특히 Captan은 대산 농산물 81건 중 43건에서 검출되어 검출률이 53.1%이었다. 2. Endrin , Captafol. Parathion , Fenitrothion , Fenthion 및 EPN은 전시료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3. 각 농약의 잔류량은 DDT가 ND-0.138 ppm, BHC가 ND-0.142 ppm, Aldrin 및 Dieldrin이 ND-0.010 ppm, CAptan이 ND-1.067 ppm, Diazinon이 ND-0.060 ppm, malathion이 ND-0.075 ppm, Phenthoate가 ND-0.009 ppm, DDVP가 ND-0.040 ppm이었다. 단 허용기준을 초과하는 농산물은 1건도 없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