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rasitic plants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32초

한반도 미기록 선류식물 I (Four unrecorded moss species from the Korean flora)

  • 윤영준;선병윤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186-191
    • /
    • 2010
  • 우리나라 미기록 선류식물 4종을 발견하였다. 미기록속인 Meteoriaceae (누운끈이끼과)의 오름끈이끼(Barbella flagellifera (Card.) Nog.)는 주로 아열대 지방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제주도 서검은오름의 나무 등에 착생하여 생육하고 있었다. 미기록종인 Lembophyllaceae (호랑꼬리이끼과)의 울릉잎맥호랑꼬리이끼(Isothecium hakkodense Besch.)는 I. subdiversiforme와 유사하지만 가지 잎의 모양과 익부세포의 분화정도에 따라 구분이 가능하고, 울릉도 성인봉 부근의 바위에서 수백개체가 생육하고 있었다. Mniaceae (초롱이끼과)의 백무초롱이끼(Mnium orientale R. E. Wyatt, Odrzykoski & T. J. Kop.)는 M. heterophyllum와 유사하지만 식물체의 크기, 겹톱니의 유무, 세포의 크기면에서 구분이 가능하며, 경상남도 함양군 지리산 백무동계곡에서 채집되었다. Fissidentaceae (봉황이끼과)의 바위봉황이끼(Fissidens gardneri Mitt.)는 F. obscurirete와 유사하지만 식물체의 크기, 잎의 모양, 잎맥의 길이 등으로 구분이 가능하며, 전라남도 고흥군 팔령산 계곡의 바위 착생하여 생육하고 있었다.

Phytochemical Standardization and Anti-Anxiety (Izterab-e-Nafsani) study of Aftimoon Hindi (Cuscuta reflexa Roxb.) on An Animal Model

  • Ara, Irfat;Kalam, Mohd Afsahul;Maqbool, Mudasir;Zehravi, Mehrukh
    • 셀메드
    • /
    • 제11권3호
    • /
    • pp.14.1-14.9
    • /
    • 2021
  • Background: Cuscuta reflexa Roxb is a member of the Cuscutaceae family, and in Unani medicine, it is known as Aftimoon. It is a parasitic plant that can be found growing abundantly on various host plants in India up to 3000 metres in altitude during the rainy season. Unani physicians have been using it for years to cure a variety of illnesses, including psychiatric illnesses like melancholia, schizophrenia, and epilepsy. It has been used to cure hepatitis, palpitations, and skin disorders, among other things. Objective of the study: To evaluate anti-anxiety effect of Cuscuta reflexa Roxb in Swiss Albino mice of either sex.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24 Swiss Albino mice weighing 25-35 g were used in this study. Animals were chosen at random and held in their cages for at least 7 days in a standard setting. Group A was given regular saline as a vehicle, Group B was given a hydro alcoholic extract of the lower dose of the test drug, Group C was given a hydro alcoholic extract of the higher dose of the test drug, and Group D was given the standard drug Diazepam 5 mg/kg orally. Aftimoon as hydro alcoholic extract (200 mg/kg and 400 mg/kg body wt.) was given in single and double doses and observed for 7 days. Results: For each parameter in each category, mean and standard deviations were computed. For multiple group comparisons, a one-way ANOVA was used, followed by Turkey's post hoc test. (p<0.05) was used as the significance standard. Conclusion: These results advocate that the Aftimoon as double dose (400 mg/kg body wt.) revealed anti-anxiety effect similar to standard drug.

한련초(Eclipta prostrata) 추출물과 terthiophene의 소나무재선충(Bursaphelenchus xylophilus)에 대한 살선충 효과 (Nematicidal Activity of Eclipta prostrata Extract and Terthiophene against Pine Wood Nematode, Bursaphelenchus xylophilus)

  • 신진희;권오경;이채민;이상명;최용화;김진호;김영섭;이동운
    • 농약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56-65
    • /
    • 2016
  • 소나무재선충은 소나무류에 기생하여 치명적 피해를 입히는 선충으로 우리나라의 주요 산림해충의 하나이다. 살아있는 나무에서 소나무재선충을 대상으로 하는 방제법은 나무주사 방법이 가장 실효적인 방법의 하나이다. 본 연구는 소나무재선충의 나무주사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물질을 탐색하기 위하여 46종의 키르기즈스탄과 88종의 베트남 식물체 및 21종의 식물유래 활성물질(${\alpha}$-terpinene, ${\alpha}$-pinene, ${\beta}$-thujaplicin, cinnamaldehyde, eugenol, emodin, geraniol, limonone, methyl palmitate, matrine, myrcene, methyl gallate, nicotine, quassin, resveratrol, rotenone, thymol, thujaplicin, terthiophene, tuberstemonine, ${\gamma}$-terpinene) 들을 이용하여 소나무재선충에 대한 살선충 활성을 검정하였다. 식물체 추출물들 중에서는 베트남에서 구입한 한련초(Eclipta prostrata) 추출물의 소나무재선충에 대한 살선충 활성이 높았으며 식물체 유래 활성물질들 중에는 terthiophene의 살선충 활성이 가장 높았다. Terthiophene의 곰솔 수간 살포는 22일차까지는 소나무재선충의 증식억제 효과가 있었으나 이후에는 효과가 없었다. 한련초 추출물과 terthiophene의 나무주사 효과와 다른 식물기생성선충에 대한 보완적인 연구가 수행된다면 살선충제로의 활용성도 기대된다.

선천성 면역조절자인 항생펩타이드 분류 (Classification of Antimicrobial Peptides among the Innate Immune Modulators)

  • 이종환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7호
    • /
    • pp.833-838
    • /
    • 2015
  • 다제약제 내성을 가지는 슈퍼 박테리아, 곰팡이, 바이러스, 기생충 감염은 주요한 건강위협인자들이다. 하지만, 건강위협 상황을 극복하기위해 현재 약제의 대안들중 항생펩타이드를 들 수 있다. 항생펩타이드는 자연계 다양한 종에서 생산된다. 항생펩타이드는 작은 단백질로 어류, 양서류, 파충류, 식물 그리고 동물의 감염으로부터 다세포생명체를 보호하는 선천성 면역에 관여하고 있다. 1980년대 이후로 매년 항생펩타이드의 수가 증가하고 있다. 박테리아, 원생생물, 곰팡이, 식물, 동물로부터 동정된 2,000가지 이상의 항생펩타이드가 항생펩타이드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다. 이러한 항생펩타이드의 대부분은 11-50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 있고 하전상태는 0에서 +7까지이며 소수성은 31-70%를 차지하고 있다. 본 보고는 항생펩타이드를 생물학적 원천, 생물학적 기능, 펩타이드 성질, 공유결합패턴, 3차구조등에 의해 분류하였다. 항생펩타이드의 기능은 항균작용외에 세포주화성과 같은 세포생물학적 활성에도 기능성을 가지고 있다. 더욱이 림프절 스트로마로부터 기원한 fibroblastic reticular cell (FRC)에 염증상황 유도시 항생펩타이드가 발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FRC로부터 유도된 항생펩타이드는 whey acidic protein (WAP) 도메인을 포함하고 있었다. 이것은 단백질 도메인에 의해서도 항생펩타이드를 분류 할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한다.

감나무에 기생하는 Ceroplastes floridensis Comstock(Coccidae)의 생태에 관하여 (The Studies on the Bionomics of the Florida Wax Scale, Ceroplastes floridensis Comstock(Coccidae) on Persimmon Tree)

  • 한교필;이의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권
    • /
    • pp.31-39
    • /
    • 1964
  • 본 문은 1963-1964년 사이에 감나무에 기생하는 Ceroplastes floridensis Comstock의 생태학적연구와 여기에 기행하는 parasite 2종의 생태에 관한 연구의 결과를 수록하였다. 1. C. floridensis는 대구시내 시가 중심부에 집중적으로 감나무에 기생해 있고 본충의 유력한 기생기봉인 M. clauseni의 기생율은 최고 $66.67\%$이고 시가 중심에 비교적 기생율이 적다. 2. 본 충의 란의 발육은 성숙란이 5월 중순 - 7월초에 나타나고 5월말-6월초에 가장 많이 나타난다. 그리고 1필의 장란수는 평균 $2030.77\pm0.49$개이다. 3. 본 충은 6월초-7월초에 부화하여 6월 중순에 최고를 이루며 male은 8월 14-9월 7일에 용화하여 성충은 8월 20일-9월 8일 사이에 나타난다. 또 adult male의 수명은 8월에는 3일간, 9월에는 4일간이다. 4. 본 충의 host plant 중 persimmon, platanus, trifoliate orange의 3종에 기생한 본 충의 체장에는 상호간에 차이가 있으며 persimmon에 기생한 것의 체장이 가장 길고 다음이 platanus이며 trifoliate orange에 기생한 것이 체장이 가장 작았다. 5. C. floridensis에 기생하는 M. clauseni는 1년에 5회 발생하며 유충내로 host 체내에서 월동하여 4월 중순에 제1회의 성충이 나타난다. $21^{\circ}C$에서 1세대를 완료하는데 15일을 요하며 이 parasite의 female 1필이 가지고 있는 ovariole 수는 6개이고 장란수는 평균 $47.19\pm0.35$개였다. 6. C. floridensis 1필에 기생하는 M. clauseni의 기생충수는 1필이 가장 많았고 2필 또는 이례적으로 4필이 기생한 것도 있었다. 7. Coccophagus spp.는 C. floridensis에 있어서 male에만 기생하고 그 기생율은 $14.831\%$였다.

  • PDF

Mycoplasma genitalium 보다 보존적 유전자 수가 작은 원핵생물들의 대사경로 비교 (Comparison of Metabolic Pathways of Less Orthologous Prokaryotes than Mycoplasma genitalium)

  • 이동근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69-375
    • /
    • 2018
  • Mycoplasma genitalium은 367개의 보존적 유전자를 가지고 있으며 단독배양이 가능한 원핵생물 중 게놈크기가 최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M. genitalium과 M. genitalium보다 보존적 유전자 수가 적은 14개 원핵생물 즉 세포외 공생을 하는 초고온성 고세균 Nanoarchaeum equitans, 식물 세포 내부 기생성 진정세균 혹은 곤충 세포 내부 공생성 진정세균 13종 등의 원핵생물에 보존적인 대사경로를 검토하였다. 이들은 11~71개의 대사경로를 가졌지만 완전한 대사경로는 1~24개였다. 전체 대사경로에 필요한 효소의 45.8%가 결핍되어 대사경로 구멍(metabolic pathway hole)이 매우 많아, 숙주의 효소와 함께 공유대사경로(shared metabolic pathway)를 나타내거나 필수물질의 상당 부분이 숙주에 의존적일 것으로 사료되었다. 세포막을 통한 물질이동에 필요한 유전자의 개수도 아주 적어 단순확산 내지 숙주의 단백질이 이들의 세포막에서 물질이동의 기능을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tRNA charging 경로만이 15개의 분석 대상 원핵생물 모두에 분포하였지만, 분석 대상 원핵생물들은 각각 5~20개의 tRNA charging 유전자를 보유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배양 불가능한 식물 세포 내 기생성 그리고 곤충 세포 내 공생성 원핵생물들의 대사경로 이해에 대한 단서와 함께 농작물 피해 방지와 해충구제, 의약품 개발 등에 사용할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캄보디아 프놈보콜국립공원의 Balanophora fungosa var. indica의 숙주식물에 대한 DNA barcoding 기법을 통한 동정 (Identification of host plant species of Balanophora fungosa var. indica from Phnom Bokor National Park of Cambodia using DNA barcoding technique)

  • 김주환;원효식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252-262
    • /
    • 2013
  • 캄보디아 캄폿주 프놈보콜국립공원에 대한 식물상 조사 중 열대성 전기생식물인 B. fungosa var. indica를 발견하였다. 이들의 숙주를 확인하기 위해 숙주의 뿌리와 더불어 주변에 위치한 목본 식물을 채집하였으며, 이들을 DNA barcoding 방법을 사용하여 동정하였다. DNA barcode 마커로는 엽록체 rbcL 및 matK 유전자 구간을 적용하였으며, 15개의 숙주 뿌리와 7개의 주변 목본식물로부터 성공적으로 PCR 증폭 및 염기서열을 확보하였다. 숙주 뿌리로부터 얻어진 숙주의 염기서열은 앵초과, 노박덩굴과, 도금양과, 그리고 물푸레나무과로 식별되었으며, 주변의 목본식물은 물푸레나무과, 도금양과, 무환자나무과, 장미과, 물레나물과, 철쭉과와 녹나무과였다. 속 수준에서 앵초과는 Myrsine, 노박덩굴과는 Euonymus, 도금양과는 Syzygium, 물푸레나무과는 Olea 등으로 각각 식별되었으나, 종 수준에서의 동정은 불가능하였다. 앵초과 Myrsine와 물푸레나무과 Olea는 본 연구를 통해 최초로 B. fungosa var. indica의 숙주로 확인되었다. 추가적인 채집 조사 및 비교 연구, DNA barcoding을 통해 해당 지역의 생물다양성과 Balanophora속 식물의 숙주 식물 및 진화에 대해 좀더 명확하게 확인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제주 동백나무 겨우살이의 용매별 기능성 성분 및 항산화 작용 (Bioactive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Jeju Camellia Mistletoe (Korthalsella japonica Engl.))

  • 강다희;박은미;김지혜;양정우;김정현;김민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9호
    • /
    • pp.1074-1081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제주에서 자생하는 동백나무 겨우살이의 용매별 기능성 성분 및 항산화 활성에 대한 평가를 시행하였다.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분석한 결과 모두 70% 에탄올 추출물에서 높은 함량을 보였다. DPPH, hydrogen peroxide 소거능, ferrous ion chelating, 환원력을 통해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고 이를 EC50 및 EC0.5로 나타낸 결과 모든 실험에서 70% 에탄올을 용매로 사용한 겨우살이 추출물에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상기의 결과를 통하여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항산화 활성간의 깊은 관련성을 예상해볼 수 있었고 이를 상관관계를 통해 분석해 본 결과,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항산화 활성이 0.01 및 0.05 수준에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통해 잠재적 항산화제로서의 제주산 동백 겨우살이의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어 향후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국내 윤노리나무 6개 집단의 형태적 특징과 변이조사 (Analysis of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Variation among Six Populations of Pourthiaea villosa (Thunb.) Decne. var. villosa in Korea)

  • 남재익;최고은;김영미;박재인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26-34
    • /
    • 2015
  • 국내에 분포하는 윤노리나무의 형태적 특징과 변이를 조사하기 위하여 6곳의 윤노리나무 집단을 대상으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분산분석 수행결과 21가지 정량적 형질 중 18가지 형질에서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주성분 분석 결과, 6가지의 주성분이 전체 분산에 대하여 68.28%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제1주성분은 '엽병의 길이'(0.764), 제2주성분은 '잎의 형태'(0.834), 제3주성분은 '잎의 길이'(0.753), 제4주성분은 '수관의 폭'(0.663), 제5주성분은 '화서의 폭'(0.492), 제6주성분은 '엽저의 모양'의 특성이 높은 기여도를 나타냈다. 군집분석을 수행한 결과 '괴산군 쌍곡계곡' 집단이 이질적인 집단으로 확인되었다. 나머지 집단들은 '남해군 미조리상록수림' 집단과 '함양군 상림' 집단이 가깝게 유집되었으며, '남해군 금산' 집단, '진도 첨찰산' 집단, '제주시 바리메오름' 집단이 하나의 소그룹을 이루었다.

미국선녀벌레 천적인 선녀벌레집게벌 대량사육 체계 (Mass rearing system for Neodryinus typhlocybae(Hymenoptera: Dryinidae) as a biological control agent of Metcalfa pruinosa)

  • 서미자;김정환;노현정;서보윤;조점래;박홍현
    • 환경생물
    • /
    • 제40권4호
    • /
    • pp.423-432
    • /
    • 2022
  • 미국선녀벌레 생물적 방제를 위한 기생성 천적인 선녀벌레집게벌 대량사육 체계를 구축하였다. 선녀벌레집게벌 고치 생산은 기주인 미국선녀벌레 약충밀도와 기주식물의 재식밀도에 따른 차이를 보였지만, 뽕나무 기주식물 잎당 평균 5~8개, 주당 평균 70~150개가 생산되었다. 선녀벌레집게벌 암컷 평균 고치 길이는 6.01~6.46 mm, 수컷은 4.20~4.62 mm로 암수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우화 전 고치상태에서의 암수 구분으로 선녀벌레집게벌을 효과적으로 방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반야외조건에서 선녀벌레집게벌 기생률은 평균 13~17%로, 방사 마리수에 따른 기생률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으나 방사 마리수가 많을수록 미국선녀벌레 개체군밀도증가율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선녀벌레집게벌의 성비나 이화성은 기주의 영기에 따라 달라졌다. 기주의 영기가 낮을수록 이화성 비율이 증가했고, 4~5령 약충에 기생시 암컷의 비율이 높게 나타나 대량사육 시 개체조절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