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radigms

검색결과 497건 처리시간 0.037초

네트워크 관리 모델에서의 이동 에이전트 패러다임

  • 최원상;김태윤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6권1호
    • /
    • pp.45-57
    • /
    • 2000
  •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네트워크 관리 기술들은 서로 다른 관리 정보 모델을 정의하여 사용하거나 다른 관리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하므로 호환성을 가지지 못한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여러 분산 패러다임들의 적용을 통해 이전 모델의 개선을 위한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들은 그 모델의 효용성을 양적으로 제시하기보다는 질적이고 사고 중심적으로 제시하였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모빌 에이전트 패러다임을 이용한 네트워크 관리 모델을 제안하고 그 적용의 양적인 실효성을 알아본다. 그 실효성의 양적 비교를 위해 여러 분산 패러다임과 새로이 제안하는 모델간의 효용성을 각 모델의 통신량 패러메터 모델을 통한 통신량 크기 비교를 통해서 제시한다.

  • PDF

지능형 컴퓨팅 표준화 동향 (Trends in Standardization for Intelligent Computing)

  • 홍정하 ;이강찬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38권4호
    • /
    • pp.70-80
    • /
    • 2023
  • In recent years, our society has shifted from an information society to an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in which computing has become a key factor in shaping and driving social development. In this new era of digital civilization powered by the Internet of Things, traditional data-based computing is no longer sufficient to meet the growing demand for higher levels of intelligence. Therefore, intelligent computing has emerged, reshaping traditional computing and forming new computing paradigms to promote the digital revolution in the era of the Internet of Things, big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Intelligent computing has greatly expanded the scope of computing through new computing theories, architectures, methodologies, systems, and applications, and it is expanding into diverse computing paradigms such as perceptual intelligence, cognitive intelligence, autonomous intelligence, and human-computer fusion intelligence. This paper introduces the concept and main features of intelligent computing and describes trends in standardization for intelligent computing within the ISO/IEC JTC 1, focusing on the technical trend report on intelligent computing that is currently under development within ISO/ IEC JTC 1/AG 2.

Exploring Opportunities of IoT for Product-Service System Conceptualization and Implementation

  • Mohammad R. Basirati;Jorg Weking;Sebastian Hermes;Markus Bohm;Helmut Krcmar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29권3호
    • /
    • pp.524-546
    • /
    • 2019
  • Product-service systems (PSS), integrating physical products and services, currently play a crucial role in sustainable economies. In addition to the highly competitive global economy, the emergence of new digital paradigms is supporting the shift toward servitization. Although the great potential of such paradigms is recognized by both practice and research, their implications for PSS are not yet clear. In particular, features of Internet of Things (IoT), such as total connectedness and ubiquity of smart sensors and actuators, provide various new opportunities for PSS. This study explores such opportunities by conducting structured literature review and 13 interviews. We organize the findings in two folds: First, we introduce four degrees of IoT involvement in PSS business models and elaborate the opportunities that they create for different types of PSS. Second, we present the key technologies and approaches that IoT provides concerning PSS lifecycle management.

디지털 컨버전스 시대의 특징 : 그 패러다임과 정책 방향 (An Exploratory Study on Paradigms, Policies in the Digital Convergence Era)

  • 한학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1호
    • /
    • pp.455-461
    • /
    • 2012
  • 본 연구는 디지털 융합시대에 국가 경쟁력의 핵심으로 자리 잡고 있는 방송정보통신산업 구축에 필요한 생태계 정책과 기술혁신 패러다임을 도출하고 이를 통해 모든 매체가 인터넷으로 집중되는 상황을 고려한 추진 전략 및 정책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 것이다. 방송정보통신 산업은 컨버전스 시대의 특성을 기반으로 자생력을 확보하기 위한 방송과 통신 간의 전략적 협력적 파트너십과 그에 따른 융합미디어의 이용자 중심 미디어 환경체계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따라서 효율적인 뉴미디어 체제의 구축은 플랫폼과 콘텐츠, 서비스, 그리고 생태계 관점에서 선순환적인 성공전략 수립을 전제로 소비자의 사회적 합의를 기반으로 한 열정적인 정책의 변화 요구 도출이 전제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디지털 융합 인프라와 환경은 세계 최고 수준인 우리나라의 스마트미디어의 글로벌화 및 통합방송정책 수립의 동향과 방향을 제시하였다. 첫째, IT 기술 중심에서 융 복합 비즈니스 중심으로 전환되면서 통신사, 포털 등 다양한 IT기업들의 생태계 구축 경쟁이 심화될 전망이다. 둘째, 스마트 디바이스와 클라우드 서비스의 결합은 스마트 시대 미디어 산업계의 아이콘이다. 셋째, IT 산업은 기존의 PC 중심에서 웹 기반 서비스 구조로 전환돼 웹이 하나의 거대한 운영체제와 같은 플랫폼으로 진화될 것이다. 넷째, 미디어산업은 스마트화, 소셜화 등의 특성으로 지속적인 영역 확장이 이루어질 것이다.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공공 이용권 개념 정립 및 저작권법 개정을 통한 플랫폼 간 끊임없이 서비스 제공이 이루어져야 하고, 산업 활성화 위주의 정책 보완 및 규제 완화, 방송통신 융합서비스의 체계적 연구가 선결되어야 할 주요 과제인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적 시각에서 방송정보통신 매체정책 및 제도의 개편방안을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재정립하여 발전적 혁신 모형을 제안하고 미디어 영향력 측정 및 정책 이니셔티브에 대한 객관적 평가체계의 수립을 향후 과제로 논의하였다.

지능사회의 패러다임 변화 전망과 정책적 함의 (Paradigms of the Intelligent Society : Analysis and Policy Implications)

  • 황종성
    • 정보화정책
    • /
    • 제23권2호
    • /
    • pp.3-18
    • /
    • 2016
  • 지능사회의 등장은 급격한 패러다임 변화를 몰고올 것으로 예상된다. 역사상 처음으로 사물이 지능을 갖게 되고, 그 결과 사회의 모든 영역에서 예상치 못한 변화가 초래될 것으로 보인다. 이 글은 지능사회의 변화 방향을 전망하기 위해 우선 세계관의 변화 이슈를 분석하였다. 인간과 자연을 두 축으로 하는 이원적 세계관과 인간-기계-자연으로 이루어진 삼원적 세계관을 비교한 후 '기술이 매개하는 이원적 세계관'을 지능사회의 세계관으로 제안하였다. 이 세계관에 기초하여 지능사회의 패러다임 변화방향을 네 가지로 요약하여 전망하였다. 1. 지능의 외부화, 2. 생산성 폭발, 3. 플랫폼 사회, 4. 자기조직화 사회가 그것이다. 지능기술의 발전으로 인간은 지능증강, 생산능력 제고, 자기조직화 효과 등 다양한 이점을 누리겠지만, 다른 한편으로 기술에 대한 통제력이 약화되어 시스템 실패 가능성도 높아진다. 결론적으로 지능사회의 변화는 가치중립적이기 때문에 인간의 선택과 노력에 따라 유토피아가 될 수도 있고 디스토피아가 될 수도 있다.

지방정부의 아동친화 도시 조성을 위한 아동권리 강화 방안 : 보편적 복지로서의 아동복지패러다임의 변환 (Plans to Strengthen Children's Rights for the Creation of Child Friendly Cities by Local Governments: The Conversion of Child Welfare Paradigms into Universal Welfare)

  • 최선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2호
    • /
    • pp.313-319
    • /
    • 2019
  • 최근 아동친화 도시 조성을 위한 광역자치단체와 기초자치단체의 정책이 다양하게 전개되고 있다. 본 연구는 지역사회의 이슈로 떠오르고 있는 아동친화도시에 대한 논의가 보편적 복지로서의 아동복지 차원에서 어떠한 함의를 갖고 있으며, 이를 어떠한 방향으로 적용할 수 있는지에 관해 논의하고자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크게 3가지 부분으로 구성된다. 첫째, 아동친화도시의 정신이자 기본토대를 이루고 있는 UN아동권리협약 내용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보편적 복지로서의 아동복지 패러다임을 고찰한다. 둘째, 현대적 의미의 아동친화도시가 구성된 역사적 기원과 아동친화도시의 주요 특성을 살펴보고 셋째, 이상의 내용을 바탕으로 아동친화 도시 조성을 위한 아동권리 강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The Approach of the 'Positivist' School and the 'Interpretative' School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ory and Method, using examples from Criminological Research

  • Choi, Kwan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4권3호
    • /
    • pp.16-19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ttempt the analysis of the 'Positivist' School and the 'Interpretative' School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ory and Method, Using examples from Criminological Research. The differences between approach of the positivist school and interpretative school are often made very difficult to make an approach. What are more to focus on are the relationships between quantitative research and positivism and qualitative research and interpretative paradigms are often presented as essential connections. Therefore, it is a lot more difficult to imply an appropriate research method and process depends on the subject and field of the research topic. The differences between types of research and also the connections which are made between types of research and theoretical paradigms portray a very simple picture. The danger of this is that two readily available set of research methods and assuming that positivist and interpretative research style represent competing approaches and also that they present 'either-or' alternatives as to strategies of research. For example, in some instances positivist and interpretative's methods do represent alternatives but in some case, positivist and interprativist each other can complement about each other's defects in terms of use of methodology. Though depending according to the specialist of the topic, it needs sensitivity to the potentials and the contributions of different styles of data and different methods of information collection and analysis to the criminological issues under test and to the theoretical questions being asked of them.

우울증의 실험적 모델 (Experimental Models of Depression)

  • 정영인
    • 생물정신의학
    • /
    • 제6권2호
    • /
    • pp.161-169
    • /
    • 1999
  • There are a number of approaches in developing experimental models for depression, but there is no such thing as a best model for depressive syndrome. Animal models are subject to the obvious limitations inherent in the assumption that human psychopathology can be represented accurately in lower animals. Recently, the concern increasingly is to develop a variety of experimental paradigms in animals to study selected aspects of human psychopathology, and animal models should be understood as basically experimental preparations that are developed to carry out these objects. Therefore, a battery of a variety of animal models should be applied to permit detailed pathophysiological studies and to develop new antidepressant treatments. Animal models of depression basically consider behavioral isomorphism with the human depression a plus, but not a req-uirement, and the model behavior should be defined operationally in order to be reproduced reliably by other researchers and be responsive to those agents possessing demonstrated clinical efficacy in human depression. In conclusion, animal models of depression have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elucidating pathophysiology of depression and developing current treatments for depression, but there is no single comprehensive model for depression until now. Each of the proposed animal model has its advantages and limitations. In other words, certain paradigms are suitable for studying certain phenomena, whereas others are more suitable for studying other aspects. The best model for depression depends upon what the question i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