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per disc-diffusion

검색결과 77건 처리시간 0.021초

현미 발효 슬러리의 항균활성 (Antimicrobial Efficiency in the Fermented Slurry of Unpolished Rice)

  • 최학준;곽경자;최다빈;박재영;정현숙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307-313
    • /
    • 2015
  • 현미는 도정한 백미보다 이로운 영양분을 더 많이 함유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미를 이용하여 만든 현미 발효 슬러리의 이화학적 특성과 항균활성에 대해 시험하였으며, 현미발효슬러리의 항균활성은 paper disc-agar diffusion 방법을 이용하여 6가지 병원성 균주(Staphylococcus aureus, Escherichia coli, Listeria monocytogenes, Pseudomonas aeruginosa, Salmonella typhimurium and Yersinia enterocolitica)와 2가지 발효균주(Gluconacetobacter intermedius and Lodderomyces elongisporus)에 대해 항균성을 조사하였다. 특히, Staphylococcus aureus, E. coli, Listeria monocytogenes, P. aeruginosa, Salmonella typhimurium, Y. enterocolitica 그리고 Lodderomyces elongisporus에 대해서는 시판 항생제인 카베니실린과 테트라사이클린보다 더 높은 항균활성을 보였다. 항산화활성은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라디칼 소거능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을 때, 대표되는 항산화제인 아스코르빅 산과 비슷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현미발효슬러리의 발효중에 나타나는 균주를 동정하기 위해 TSB 고체배지와 YPD 고체배지에 현미발효슬러리를 도포하였을 때, 분리된 콜로니를 16S rDNA sequence 분석을 통하여, 네가지 균주를 분리하였으며, phylogenic tree 분석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을 때, 각각 G. intermedius, Lactobacillus casei, Lactobacillus plantarum 그리고 Acetobacter peroxydans와 유사하였다.

스노우베리 추출물의 항균 활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Snowberry Extract)

  • 이찬우;허혜연;박유진;장영표;김보애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283-291
    • /
    • 2024
  • 본 연구는 스노우베리 추출물과 발효 추출물을 대상으로 피부 상재균인 Staphylococcus aureus, Staphylococcus epidermidis, Escherichia coli, Pseudomonas aeruginosa, Candida albicans를 이용하여 천연화장품 소재로서의 항균 활성을 비교 평가하였다. 이를 위한 스노우베리 추출물의 항균 활성은 10-200mg/mL 농도에서 생육저해환(paper disc diffusion method)과 최소저해농도(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를 평가하였다. 스노우베리 추출물과 발효 추출물의 생육저해환을 확인하였을 때, 스노우베리 추출물의 경우 뿌리 추출물에서만 100mg/mL, 200mg/mL의 농도에서 항균력을 나타내었고, 발효 추출물의 경우 200mg/mL에서 항균력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스노우베리 추출물과 발효 추출물의 4종의 세균에 대한 항균력은 확인할 수 있었으나, 진균인 Candida albicans에서는 항균력을 확인할 수 없었다. MIC 결과 스노우베리 잎, 뿌리 추출물에서 발효의 경우 줄기 추출물에서 각 균에 대한 최소저해농도가 100mg/mL, 200mg/mL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스노우베리가 피부 개선을 위한 항균 소재 및 방부제로서의 활용 가치가 있다고 사료된다.

만병초 추출물의 식중독 유발균에 대한 항균효과 및 항산화활성 (Antimicrobial Effects against Food-Borne Pathogen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Rhododendron brachycarpum Extract)

  • 최무영;임태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10호
    • /
    • pp.1353-1360
    • /
    • 2011
  • 본 연구는 만병초 에탄올추출물의 식중독 유발균에 대한 항균효과 및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추출물의 항균활성은 paper disc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추출물을 10 mg/disc 점적한 후 저해환의 크기를 측정한 결과, 그람양성 3균주 중에서 Bacillus cereus에 대해, 그리고 그람음성 5균주 중에서 Escherichia coli O157:H7에 대한 항균활성이 가장 좋았다. 최소 억제 농도(MIC)는 현재 합성보존료로 이용되고 있는 sorbic acid와 비슷하게 나타났다. 또한, 만병초 추출물이 식중독 유발균의 성장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Listeria monocytogenes, Staphylococcus aureus, Salmonella Typhimurium과 Escherichia coli O157:H7의 배양액에 250, 500, 1,000 및 2,000 mg/L 농도로 첨가하여 생육을 조사한 결과, 배양시간 별로 250 mg/L 농도까지는 대조군과 차이가 없었으나, 1,000 mg/L 이상의 농도에서는 균의 증식이 억제되었다. 만병초 추출물의 항산화 효능을 조사하기 위해 DPPH 라디칼 소거활성, ROS 생성 억제 및 supercoiled DNA strand 절단 억제효과를 측정하였다. Pyrogallol의 억제율을 100%로 기준하였을 때, DPPH 라디칼을 50% 억제시키는데 필요한 만병초 추출물의 농도는 양성대조군인 ${\alpha}$-tocopherol의 약 절반으로 나타났다.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DCF 형광도는 감소하여 ROS 생성이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추출물의 ROS 생성 억제효과는 양성 대조군인 아스코르빈산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또한, 만병초 추출물은 peroxyl radical 및 hydroxyl radical로 유발된 supercoiled DNA strand 절단을 억제시켰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만병초 추출물이 식중독 유발균에 대하여 우수한 항균작용과 항산화능을 나타내어 만병초가 효과적인 천연보존료 및 항산화제로서 이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울금으로부터 식품부패미생물에 대한 항균성 물질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microbial Compound from UlGeum (Curcuma longa L.))

  • 최해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9호
    • /
    • pp.1202-1209
    • /
    • 2009
  • 울금 분말을 methanol로 추출하여 여러 용매로 분획하여 식품부패미생물의 증식억제 효과를 검색하고 그 항균성 물질을 분리하였다. 울금의 ethyl acetate 분획 추출물은 낮은 농도인 1,000 ${\mu}g$/disc의 농도에서 B. subtilis, S. aureus, L. monocytogenes, E. coli, V. parahaemolyticus에 대하여 8.5 $\sim$13 mm의 clear zone을 형성하여 우수한 항균성을 나타내었다. 울금의 ethyl acetate 추출물을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와 TLC로 monitoring 하여 항균성을 실험하였다. 이 결과 우수한 항균성을 보인 sub fraction을 재차 분리하여 yellow oil의 항균성물질을 얻었고 이를 GC/MS, $^1H$-NMR로 구조 분석한 결과 화학식이 $C_8H_8O$이며 분자량이 120.154의 2,3-dihydrobenzofuran(coumaran)으로 동정 되었다.

섬모시풀(Boehmeria nivea var. nipononivea) 추출물의 항산화, 항균 및 항염증 효과에 대한 연구 (Antioxidant, Antimicrobial and Anti-inflammatory Effect of Boehmeria nivea var. nipononivea Extracts)

  • 정기수;이선희;양수경;문성필;송관필;김지영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339-348
    • /
    • 2020
  • 본 연구는 섬모시풀 70% 에탄올 추출물과 분획물에 대한 천연 화장품 소재의 가능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섬모시풀을 70% 에탄올 추출물과 헥산, 디클로로메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등의 순차적으로 용매별 분획을 제작하였다. DPPH과 ABTS 시험결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우수한 라디칼 소거 활성을 보였다. 항균활성은 Staphylococcus aureus, Staphylococcus epidermidis, Cutibacterium acnes와 항생제내성균주에 대해서 paper disc 방법, 최소저해농도 및 생육억제율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S. aureus, S. epidermidis, C. acnes 균주에 디클로로메탄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추출물과 다른 분획물에 비해 우수한 항균력을 확인하였다. 또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lipopolysaccharide (LPS) 처리한 RAW 264.7 Cell에서 NO 생성 억제 활성을 확인하였다. 이로써 섬모시풀 추출물과 분획물은 세포독성이 없으며, 항산화, 항균 및 항염 효과를 보였다. 이 결과는 섬모시풀 추출물과 분획물이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효과적인 화장품 소재로 적용 가능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Growth-Inhibiting Effects of Herb Plants on Human Intestinal Bacteria

  • Kim, Moo-Key;Park, Byeoung-Soo;Kim, Byung-Su;Lee, Hoi-Seon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4권4호
    • /
    • pp.185-189
    • /
    • 2001
  • Essential oils of 21 herb plant samples, using spectrophotometric and paper disc agar diffusion methods under anaerobic conditions, were tested in vitro for their growth-inhibiting activities against Bifidobacterium bifidum, B. longum, Lactobacillus casei, Clostridium perfringens, and Escherichia coli. The responses varied with bacterial strains and plant oils. At 10 mg/disk, all essential oils did not inhibit beneficial intestinal bacteria, except for the oil of Alpinia officinarum and Melaleuca alternifolia against L. casei. Due to their strong growth-inhibitory activities against C. perfringens, E. coli, and L. casei, the activites of nine oils were evaluated at low concentrations. In test with C. perfringens at 1 mg/disk, the oils of Amyris balsamifera, Curcuma longa, M. alternifolia, and Trachyspermum ammi showed moderate activities. Moderate activities against E. coli were observed with the oils of M. alternifolia and T. ammi. These results may be indications of at least one of the pharmacological actions of the four herb plants.

  • PDF

Antimicrobial Effect of Emodin Isolated from Cassia tora Linn. Seeds against Food-Borne Bacteria

  • Lee, Na-Hyun;Lee, Sang-Min;Song, Da-Hyun;Yang, Ji-Yeon;Lee, Hoi-Seon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6권3호
    • /
    • pp.187-189
    • /
    • 2013
  •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of emodin and its derivatives (anthraquinone, alizarin, and alizarin-3-methyliminodiacetic acid) were evaluated using a paper disc diffusion method against foodborne bacteria (Bacillus cereus, Listeria monocytogenes, Staphylococcus intermedius, Salmonella typhimurium and Shigella sonnei). Emodin isolated from C. tora seeds has an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Bacillus cereus, followed by alizarin-3-methyliminodiacetic acid ($13.0{\pm}2.5mm$) and alizarin ($11.5{\pm}1.2mm$). Furthermore, emodin showed the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S. sonnei and S. typhimurium. In conclusion, C. tora seed and its active component derivatives are useful for the development of natural products on food supplemental agents and pharmaceuticals.

소목 추출물의 항균력 및 살균소독력 (Antimicrobial Activity and Bactericidal Activity of Caesalpinia sappan L. Extract)

  • 이진영;민경진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33-140
    • /
    • 2011
  • Antimicrobial activity and bactericidal activity of Caesalpinia sappan L. extracts were investigated against five food-borne pathogens, E. coli, S. aureus, S. typhimurium, B. cereus and L. monocytogenes. Methanol extract of Caesalpinia sappan L. revealed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five pathogens. In particular, by paper disc diffusion the highest activity was shown against L. monocytogenes. Antimicrobial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showed the most potent activities, but hexane fraction had no activity. Fractions of ethyl acetate and butanol turned out to have higher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Gram(+) bacteria than Gram(-) bacteria. Th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against five food-borne pathogens was 1.563 mg/ml on Gram(+) bacteria and 3.125 mg/ml on Gram(-) bacteria. The result of antimicrobial activity in a shaking flask method showed that bacterial growth rate fell by more than 99.999% at 3.125 mg/ml of methanol extract. The highest rate of viable reduction (99.998%) was shown at 0.781 mg/ml of methanol extract against L. monocytogenes. After five minutes of reaction between test strains and methanol extracts, the growth rates of five kinds of bacteria were reduced by more than 99.999% at a concentration of 100 mg/ml.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methanol extracts of Caesalpinia sappan L. can be developed as a natural sanitizer or disinfectant.

Cinnamaldehyde 유도체의 항진균 활성 (Antifungal Activities of Cinnamaldehyde Derivatives)

  • 방규호;민병선;이영하
    • 한국균학회지
    • /
    • 제26권4호통권87호
    • /
    • pp.525-530
    • /
    • 1998
  • Cinnamaldehyde 유도체의 항진균활성을 조사한 결과 ${\alpha}-chlorocinnamadehyde$가 가장 항균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alpha}-Chlorocinnamaldehyde$는 피부진균증의 원인균주인 Tricophyton mentagrophytes, Microsporium gypseum, Epidermophyton floccosum, Cryptococcus neoformans, Aspergillus niger, Candida albicans와 Penicillium avellaneum에 대해 $9.8{\sim}19.5\;{\mu}g/ml$의 최소저지농도를 보였으나 시판중인 항진균제 clotrimzole보다는 역가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alpha}-Chlorocinnamaldehyde$를 제외한 나머지 관련 유도체를 비교한 결과 phenyl기 주위의 유도체 화합물에서는 우수한 항균활성이 관찰되지 않았으며, acrolein기가 항균활성에 중요한 관능기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건조유무에 따른 황기 추출물의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Raw and Dried Astragalus membranaceus Extracts)

  • 민성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65-71
    • /
    • 2017
  • Purpos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availability of raw Astragalus membranaceus as a food ingredient. Methods: Raw and dried A. membranaceus water extracts were used to examine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and antimicrobial activity. Also,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each water extracts were evaluated. Results: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of raw A. membranaceus extracts were higher than those of dried A. membranaceus extracts.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of raw and dried A. membranaceus extracts were examined against several food borne illness-causing microorganisms using the paper disc diffusion method. Inhibition zones were observed in Staphylococcus aureus subsp. aureus, Bacillus subtilis, Pseudomonas aeruglnosa, Salmonella enterica subsp. enterica, Escherichia coli and Bacillus cereus treated with raw extracts. Inhibition zones were observed in B. subtilis, P. aeruglnosa and S. enterica subsp. enterica treated with dried extracts. Raw A. membranaceus extracts had higher scores than dried extracts in sensory evaluation. Conclusion: Raw A. membranaceus was better in antioxidative, antimicrobial activitie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than dried o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