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 indicator

검색결과 357건 처리시간 0.029초

Micro pH Sensor Using Patterned Hydrogel with pH Indicators

  • Jang, Ji-Sung;Kwon, Sung-Hoon
    • 센서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34-237
    • /
    • 2011
  • This paper presents a study into pH Indicator-Embedded hydrogel micro-particles which are encoded various shapes according to the captured indicator. We incorporate various pH indicators into a photo-curable hydrogel, PEG-DA(Poly(ethylene glycol) diacrylate). Using the latest fluidic lithography techniques, we can easily fabricate variously patterned hydrogel particles based on in-situ photopolymerization of the PEG-DA in a micro-fluidic channel. The shape of the particle is related to the pH indicator inside the particle. We demonstrate that the micro pH sensors change their colors according to the pH levels. The micro pH sensors have various characteristics that are related to the curing time, particle size, etc. By changing these conditions, we can adjust the long term stability and reaction time of the hybrid micro pH sensors.

Application of Iron Oxide as a pH-dependent Indicator for Improving the Nutritional Quality

  • Meng, Xiangpeng;Ryu, Jina;Kim, Bumsik;Ko, Sanghoon
    • Clinical Nutrition Research
    • /
    • 제5권3호
    • /
    • pp.172-179
    • /
    • 2016
  • Acid food indicators can be used as pH indicators for evaluating the quality and freshness of fermented products during the full course of distribution. Iron oxide particles are hardly suspended in water, but partially or completely agglomerated. The agglomeration degree of the iron oxide particles depends on the pH. The pH-dependent particle agglomeration or dispersion can be useful for monitoring the acidity of food. The zeta potential of iron oxide showed a decreasing trend as the pH increased from 2 to 8, while the point of zero charge (PZC) was observed around at pH 6.0-7.0.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size of the iron oxide particles was affected by the change in pH levels. As a result, the particle sizes of iron oxide were smaller at lower pH than at neutral pH. In addition, agglomeration of the iron oxide particles increased as the pH increased from 2 to 7. In the time-dependent aggregation test, the average particle size was 730.4 nm and 1,340.3 nm at pH 2 and 7, respectively. These properties of iron oxide particles can be used to develop an ideal acid indicator for food pH and to monitor food quality, besides a colorant or nutrient for nutrition enhancement and sensory promotion in food industry.

지시약의 등흡광점을 이용한 용액의 pH 측정 (pH Measurement Using Isosbestic Point of Indicator)

  • 최원형;허호장
    • 대한화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203-207
    • /
    • 1989
  • 지시약 메틸레드 용액을 시료용액에 첨가하고 지시약의 산형의 최대흡수파장과 염기형의 최대 흡수파장 및 등흡광점에서 이 시료액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를 측정한 흡광도로부터 이 용액의 pH를 계산하였다. 등흡광점에서 흡광도 범위를 0.1내지 0.3으로 유지하고 시료용액의 pH가 $pK_I{\pm}1$내에서, pH측정오차는 ${\pm}$0.08pH 단위 이내이었다.

  • PDF

광학적 pH 센서를 위한 지시염료가 고정된 필름의 광학적 특성 연구 (Study on Optical Characteristics of pH Indicators in the Immobilized Film for Fiber-Optic pH Sensor)

  • 김범규;박병기
    • 센서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414-419
    • /
    • 2017
  • The optical characteristics of cresol red, phenol red, and neutral red immobilized in the thin film were investigated with absorbance measurement in order to find a sensing part of a fiber-optic pH sensor. Sol-Gel method with tetramethyl orthosilicate as a precursor was used to immobilize the pH indicators in the thin film. The absorbance spectra were measured when pH indicators were immobilized in the film and were dissolved in the buffer solution.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absorbance spectra could be changed when the pH indicator is immobilized in the thin film. As compared with other pH indicators, the neutral red exhibited similar absorbance spectra regardless of physical conditions and was sensitive over whole pH range between 4 and 11. In addition, the absorbance ratio of base peak to acid peak tended to increase in proportion to the increase in pH. Experimental results indicate that the neutral red is a good pH indicator for fabrication of a sensing part of the fiber-optic pH sensor.

신선도표시계를 이용한 두부의 저장 중 신선도 측정 및 품질 변화 (Use of Freshness Indicator for Determination of Freshness and Quality Change of Tofu During Storage)

  • 신희영;구경주;박상규;송경빈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9권2호
    • /
    • pp.158-162
    • /
    • 2006
  • 두부의 저장 중 신선도를 판정 할 수 있는 신선도표시계를 제작하여 두부의 표면에 부착하여 품질변화를 측정하였다. 부패시점을 판정하기 위하여 pH, VBN, TBARS, 총균수 및 관능검사를 수행하였다. 두부의 저장 중 품질변화를 측정한 결과 신선도표시계의 반응 시점과 같은 저장 8일째에 두부는 부패초기수준에 도달하여 pH는 5.6, 총균수는 7.63 log CFU/g의 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VBN, TBARS 값도 상승하였고, 관능검사 결과도 저장 8일 이후에는 이취 및 표면에 점질물 생성 및 조직의 저하 등 가식이 불가능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사용된 신선도표시계는 두부의 저장 중 신선도를 실시간으로 나타내줌으로써 두부의 유통기한 확립 측면에서 매우 유용한 도구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신선도 표시계 개발을 위한 총각김치의 저장 중 품질변화 척도 (Study of Quality Change in Chonggak-kimchi during Storage, for Development of a Freshness Indicator)

  • 김윤정;진유영;송경빈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491-496
    • /
    • 2008
  • 총각김치의 신선도표시계 개발을 위하여 총각김치를 제조한 후 $20^{\circ}C,\;10^{\circ}C,\;4^{\circ}C$에서 저장하면서 총각김치의 발효 중 pH, 총산도, 총균수, 젖산균수, 환원당 측정 및 관능평가를 수행하였다. 모든 저장 온도에서 pH는 약간 증가하다가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4.2{\sim}4.3$까지 낮아졌고 저장 온도가 높을수록 감소속도가 빨랐다. 총산도는 $20^{\circ}C$ 에서 1일, $10^{\circ}C$에서 5일, $4^{\circ}C$에서 7일 이후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총균수와 젖산균수는 저장 온도 $20^{\circ}C$ 에서 4일, $10^{\circ}C$에서 10일, $4^{\circ}C$ 에서 30일 까지 증가했다가 이후 감소하였다, 관능평가 결과 총각김치의 가식기간은 저장 온도 $20^{\circ}C$에서 4일, pH 4.5까지, $10^{\circ}C$ 에서 10일, pH 4.4까지, 그리고 $4^{\circ}C$에서 30일, pH 4.3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결과 총각김치의 유통기한은 저장 온도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으며 유통기한 설정을 위한 신선도표시계 개발에 있어서 한계 pH는 4.3으로 판단된다.

2-Thenoyl Ethylpyruvate의 몇 가지 3-Arylhydrazone 유도체에 대한 분광광도법, pH 및 전도도법 연구 (Spectrophotometric, pH-metric and Conductometric Studies on Some 3-Arylhydrazone Derivatives of (2-Thenoyl) Ethylpyruvate))

  • El-Dossoki, F. I.;El-Seify, F. A.
    • 대한화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99-106
    • /
    • 2006
  • 3-(2-thenoyl) 3-(p-NO2-phenylhydrazone) ethyl pyruvate(I), p-Br(II) 및 p-CH3(III)의 에탄올 용액의 전자흡수 스펙트럼을 조사하여 스펙트럼이 전자 전이에 해당하는 4개의 흡수띠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았다. 이들 화합물의 pK 값을 분광광도법 및 pH 측정법으로 조사한 결과, 화합물(I)의 변색 범위는 페놀프탈레인과 유사한 8~10으로, 산-염기 지시약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알았다. 몇 가지 전이원소 (Mn(II), Co(II), Ni(II), Cu(II), Zn(II), Cd(II), UO2(II), La(III) 및 Zr(IV))와 이들 화합물과의 연속안정도상수를 pH 법으로 조사하여 본 결과, 모든 금속과 몰 비 1:1 및 1:2 (M: L)의 화학양론적 착물을 형성하며, 세 가지 유도체의 pK 값과 착물의 안정도 상수(log K)의 순서는 III > II > I 임을 알았다. 또한 전도도법 적정을 수행하여 이 적정이 금속이온과 리간드를 정량하는데 사용할 수 있음을 알았다.

습지지표종으로서 딱정벌레류를 이용한 부산, 경남 주요 습지의 특성 및 변화 관찰 (Application of the Carabid Beetles as Ecological Indicator Species for Wetland Characterization and Monitoring in Busan and Gyeongsangnam-do)

  • 도윤호;문태영;주기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22-29
    • /
    • 2007
  • 습지의 서식지 특성 및 환경 지표종을 찾기 위해 부산과 경남에 위치한 습지 유형이 다른 하천습지, 산지습지, 하구습지에서 딱정벌레류를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딱정벌레과, 먼지벌레과, 폭탄먼지벌레과에 속한 22속 28종이 채집되었고, 종 다양성은 하천습지(우포늪, 화포늪), 산지늪(재약산늪), 하구습지(낙동강하구) 순으로 나타났다. 딱정벌레류의 종조성은 각 습지에서 독립적으로 나타났는데(${\chi}^2=1716.8$, P<0.01), 하천습지와 산지늪이 가장 다른 종조성을 보였다. 지표종 분석을 통해 각 유형의 습지를 대표하는 $2{\sim}6$종의 딱정벌레류를 지표종으로 선출하였는데, 지표종들은 토성과 토양습도, 인위적 환경변화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하여 습지환경변화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추후 생활사나 먹이특성 등딱정벌레류의 각종별로 자세한생태적 특성이 연구되면 지표종으로 딱정벌레류를 일반화하여 여러 서식지에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쇠고기 저장 중 이취발생에 대한 Indicator 탐색 (Investigation on Beef Quality Indicator of Off-Flavor Development during Storage)

  • 변고은;안수림;심수동;이중용;홍광원;민상기;이승주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25-333
    • /
    • 2009
  • 쇠고기의 저장 중 이취발생을 대변할 수 있는 품질인자를 탐색하고자 온도의존성의 관점에서 상호관계를 분석하였다. 특수관능기법인 R-index에 의한 이취검지시간을 탐지하였고, 이화학적, 생물학적 품질인자를 측정하였다. 먼저, 이취검지시간의 온도의존성의 관계식을 개발하여, 이에 따른 이취발생 indicator의 선발 요건을 유도하였다. 이화학적 분석은 VBN, pH, 육색, Warner-Bratzler shear force,그리고 생물학적 분석은 Pseudomonas spp., Lactic acid bacteria를 대상으로 하였다. 품질인자의 온도의존성은 Arrhenius 상수인 활성화에너지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VBN, pH, $a^*$값, LAB, Pseudomonas spp., WBSF, $L^*$값, $b^*$값의 순으로 이취발생과의 온도의존성이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상위권에 있는 pH와 $a^*$값에 비하여 환경적 요인에 안정한 VBN이 쇠고기 저장 중 이취발생의 최적 indicator인 것으로 탐색되었다.

냉동 고등어(Scomber japonicus)의 유통 온도 관리를 위한 Time-temperature Indicator 개발 (Development of a Time-temperature Indicator for Managing the Distribution Temperature of Frozen Mackerel Scomber japonicus)

  • 최정욱;이민경;최재혁;장명기;안동현;남택정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1권5호
    • /
    • pp.590-594
    • /
    • 2018
  • We developed a time-temperature indicator (TTI) that rapidly determines whether frozen mackerel Scomber japonicus has thawed during its distribution. Our TTI was made from filter paper capable of absorbing mackerel exudate that was soaked in a 20% citric acid solution at pH 4.0 and then dried. The dried absorbent paper was cut and attached to blue litmus paper with a 2 mm overhang. The fixed litmus paper was covered with a polypropylene film and sealed. The indicator was placed inside a polyvinyl vacuum package containing the mackerel sample. The vacuum-sealed packaged was frozen at $-20^{\circ}C$ for 24 h. After freezing, the color change and time dependence of the indicator were observed at room temperature ($25^{\circ}C$) and demonstrated the utility of this TTI for rapidly determining whether frozen mackerel underwent thawing during distribu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