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62

검색결과 5,491건 처리시간 0.033초

간호대학생이 임상실습에서 경험하는 무례함, 대처, 진로정체감 및 소진의 관계 (The Relationships among Incivility, Coping, Career Identity and Burnout in Nursing Students during Clinical Practice)

  • 김지선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2호
    • /
    • pp.407-416
    • /
    • 2017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이 임상실습에서 경험하는 무례함, 대처, 진로정체감 및 소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2017년 07월 03일부터 2017년 08월 22일까지 G시에 소재하는 간호대학생 199명을 편의표집 하였으며, 대상자들에게 무례함, 대처, 진로정체감, 소진과 관련된 자기보고형식의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SPSS 23.0을 사용하여 t-검정, ANOVA, Pearson's 상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본 연구에 참여한 간호대학생 중 87.9%가 무례함을 경험한 적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무례함은 회피중심(r=.19, p=.009), 문제해결중심(r=.18, p=.011), 사회적 지지추구(r=.20, p=.004), 소진(r=.27, p<.001)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진로정체감(r=-.24, p=.001)과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진로정체감은 회피중심대처(r=-.31, p<.001), 소진(r=-.62, p<.001)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문제해결중심대처(r=.18, p=.012)와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주요변수인 무례함, 대처, 진로정체감은 소진을 설명하는 변수로 확인되었으며, 그 설명력은 48.6%였다.

복합재료구조물 거동 관찰을 위한 P(VDF-TrFE) 스마트센서의 기초연구 (Basic Study on P(VDF-TrFE) Smart Sensor for Monitoring Composite Structure Behaviors)

  • 배지훈;장승환
    • Composites Research
    • /
    • 제28권3호
    • /
    • pp.75-80
    • /
    • 2015
  • Poly(vinylidene fluoride-trifluoroethylene; P(VDF-TrFE))는 여러 분야에서 다양한 형태로 활용되고 있는 유망한 전기활성고분자이다. 이 재료는 전기-기계적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형태의 센서와 구동기로 활용되고 있으며, 복합재료 구조의 거동을 관찰하는 센서로도 활용이 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세 가지 방법; (1) 전기적 폴링, (2) 어닐링-냉각, (3) 압축을 사용하여 P(VDF-TrFE) 공중합체 필름의 ${\beta}$ 상 결정구조 향상시켜 센서로서의 특성을 강화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P(VDF-TrFE) 필름에 대한 각 방법의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X-선 회절을 통한 미세구조분석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전기적 폴링, 어닐링-냉각, 그리고 압축 방법 모두 P(VDF-TrFE) 필름의 ${\beta}$ 상 결정구조 향상에 효과적이었으며 대조군 (45.29%)대비 최대 62.80%까지 ${\beta}$ 상 결정도가 향상됐다.

미취학 아동에 있어 신체발달, 손목 골밀도 및 영양섭취와의 상관성 (The Correlation among Growth Development, Bone Mineral Density of Carpus and Nutrient Intakes in Preschool Children)

  • 명금희;나현주;최미경;김애정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13-122
    • /
    • 200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correlation among growth development, bone mineral density, and nutrient intakes in preschool children. A total of 62 preschool children measured the anthropometric characteristics and the bone mineral density of carpus using DEXA. The questionnaires categorized to determine health status, life style, dietary behaviors, and dietary intakes were filled out by children's mothers. The average ages of the study subjects were 62.4 months in boys and 62.1 months in girls. The birth height and weight of the subjects were 50.9 cm and 3.4 kg in boys and 50.3 cm and 3.3 kg in girls, respectively. The average height, weight, % body fat, and obesity index were 111.7 cm, 19.6 kg, 15.0%, -2.1% in boys and 109.4 cm, 18.7 kg, 17.5%, 0.2% in girls, respectively. The bone mineral density in carpus was 0.25 g/cm$^2$ in boys and 0.24 g/cm$^2$. In girls. Proportions of children having regular meals were 69.0%, 94.7%, and 69.0% for breakfast, lunch, and dinner, respectively. The major reasons for irregular meal were poor appetite and lack of time for breakfast and snacks for dinner. Most of the children(52.6%) had breakfast with the whole family together, and all the children had lunch and dinner with a part of the family. Most of the children answered they had snack more than once a day, and 64.3% had an unbalanced diet. The intakes of energy, calcium, iron, zinc, vitamin A, vitamin B$_1$, niacin, and vitamin C did not meet the Korean RDAs. Average bone mineral density in carpus was positively correlated to the body weight, the total body water, the lean body mass, and the obesity index, respectively(p<0.01, p<0.01, p<0.01 and p<0.01). The body weight, the total body water, and the lean body mass showed the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with the animal iron intake(p<0.05, p<0.01 and p<0.01). The bone mineral density in the distal carpus was negatively correlated to the animal protein intake and the animal iron intake(p<0.05 and p<0.05). And the bone mineral density in the ultradis carpus and the average bone mineral density in the carpus were positively correlated to the plant calcium intake(p<0.05 and p<0.05). Therefore, more systematic studies to investigate the roles of protein, iron, and calcium in growth development of preschool children were required.

  • PDF

시판되는 구강 양치액과 알칼리 이온수가 구강 내 세균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Commercially Available Mouth Rinsing Solution and Alkaline Ionized Water on the Oral Bacteria)

  • 박선녀;정순정;정문진;안용순;최유석;임도선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13-221
    • /
    • 2013
  • 구취감소와 구강청결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구강 양치액과 음용수로 사용되고 있는 알칼리 이온수를 대상자 49명에게 적용하여, 사용 전 후 구강 내 상주하는 세균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평가를 위해 세균배양 및 광학현미경 관찰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배양 후 확인된 구강 양치액 사용 전 후 세균 수는 Hexamedin 71.29%로 가장 큰 감소율을 보였고, 이어 Listerine 62.25%, Caregargle 42.26%, Garglin 33.52%, saline 21.62%, alkaline ionized water 16.08%, distilled water 7.67%의 순으로 나타났다. 2. Wilcoxon's signed rank 검정 결과, Hexamedin에서 사용 후 세균 수의 감소가 유의하게 나타났고(p<0.05), 그 외 구강 양치액에서는 통계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p>0.05). 3. 그람염색 후 광학현미경 관찰 결과, 구강 양치액 및 알칼리 이온수 사용 전에는 다수의 구균과 일부 실사균이 관찰되었으나, 사용 후에는 대부분 구균이 관찰되었고, 실사균은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4. 구강 양치액 및 알칼리 이온수의 pH 차이는 구강 내 세균 수 변화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본 결과를 종합하면, Hexamedine과 Listerine의 구강 내 세균 감소율이 각각 71.29%, 62.25%로 나타나 치과치료 전 적용 시 효과가 높음이 입증되었다. 그 외 구강 양치액과 알칼리 이온수는 구강 내 세균 감소효과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세균 감소는 pH 보다는 구강 양치액에 포함된 항균 물질의 성분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생각된다.

실시간 지진 P파 검출 알고리즘 (Autopicking algorithm of P wave by real-time)

  • 류용규;김명수
    • 한국지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진공학회 2005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62-67
    • /
    • 2005
  • A new picking algorithm has been developed on real-time basis for finding the onset of P wave as well as discriminating the micro seismic signal from artificial noise. Unlike the previous methods which have used the STA/LTA ratio for discriminating the P arrivals, we have adopted the slope discrimination methods for identifying the P onset. As result, this algorithm has been turned out to be efficient in both accuracy and computation in on-line system.

  • PDF

Environmental Studies Of The Jinhae Bay 2. Environmental Parameters In Relation To Phytoplankton Population Dynamics.

  • Yoo, Kwag-Il;Lee, Jin Hwan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62-65
    • /
    • 1980
  • 1976년 7월부터 1979년 5월까지 3년간 진해만의 표층에서 격월로 식물성플랑크톤 군집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수온, 염분도, pH, 투명도, 용존산소, Chlorophyll-a,c, NO$_{2}$-N 및 PO$_{4}$-P)에 대하여 조사했다. 9가지 환경요인이 식물성플랑크톤 군집 변화에 37.20%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각각의 환경요인으로는 PO$_{4}$-P, 투명도, Chlorophyll-a, 수온, 염분도 등이 중요한 요인이었으며 용존산소, NO$_{2}$-N, pH 및 Chlorophyll-c 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있었다.

  • PDF

부산지역 일부 초등학생의 무상급식에 대한 인식 및 급식품질 만족도 (Evaluation of Perception and Foodservice Satisfaction of Free School Meals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Busan)

  • 장은령;최희선;류은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12호
    • /
    • pp.1830-1837
    • /
    • 2016
  • 본 연구는 무상급식의 교육적 의미와 급식품질 면에서의 개선점을 파악하고자 부산지역 초등학생 10개교 4, 5, 6학년 학생 600명을 대상으로 무상급식에 대한 인식 및 급식품질 만족도 조사를 시행하였고 조사기간은 2014년 12월 2일~12월 24일이었다. 연구 결과 무상급식 전체 인식 점수는 4.47/5.00점이었고 '영양(교)사와 조리원분에게 감사한 마음'(4.68점), '부모님의 급식비 부담 감소'(4.67점), '친환경 식재료 사용'(4.64점), '급식의 질 향상'(4.51점)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6학년이 4학년보다 전체 인식 점수가 유의적(P<0.01)으로 높았고, '친환경 식재료 사용'(P<0.05), '영양과 건강에 관한 관심 증가'(P<0.05), '우리나라 경제발전에 기여'(P<0.001)에서도 높은 점수를 보였다. 무상급식 실시 연차 2년차가 4년차보다 전체 인식 점수가 유의적(P<0.01)으로 높았으며, '영양과 건강에 관한 관심 증가'(P<0.05), '가정경제에 도움'(P<0.05)에서도 높은 점수를 보였다. 급식품질 만족도에서 전체 평균점수는 4.55/5.00점이며, 음식영역 4.47점, 메뉴영역 4.62점, 위생영역 4.62점, 서비스영역 4.53점, 환경영역 4.48점이었다. 낮은 점수를 보인 항목은 음식영역에서 '밥의 양', '부반찬(나물, 생채) 양', '김치의 양', 메뉴영역에서 '김치 종류', '선호식단 제공빈도', 위생영역에서 '식판의 청결', 서비스영역에서는 '배식 시 대기시간', 환경영역에서는 '식당 분위기'였다. 6학년이 4학년보다 음식영역(P<0.01), 메뉴영역(P<0.05), 위생영역(P<0.05)에 서 급식품질 만족도가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환경영역은 5, 6학년이 4학년보다 유의적(P<0.001)으로 높은 점수를 보였다. 무상급식 실시 연차 2년차가 4년차보다 급식품질 전체 만족도(P<0.01), 음식영역(P<0.01), 메뉴영역(P<0.05), 위생영역(P<0.05), 환경영역(P<0.001)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점수를 보였다. 무상급식에 대한 인식과 급식품질 만족도 간에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r=0.781, P<0.01)를 보였고, 다른 모든 영역에서도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살펴볼 때 급식품질 만족도가 낮은 급식 항목에 대한 개선을 통해 학생들의 급식품질에 대한 만족도를 높여야 할 뿐만 아니라 학생들에게 교육의 일환으로 무상급식의 의미를 고취해 국가 복지 정책에 대한 긍정적인 사고를 갖게 함으로써 학생들의 정신적 육체적 건강을 유지할 수 있어야 하겠다.

Evaluation of physicochemical and textural properties of chicken breast sausages containing various combinations of salt and sodium tripolyphosphate

  • Choi, Ji Seon;Chin, Koo Bok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2권4호
    • /
    • pp.577-586
    • /
    • 2020
  •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alt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phosphate on physicochemical and textural properties, and chemical interactions of low-fat model sausages. pH, color, expressible moisture (EM), cooking loss (CL), proximate analysis, textural profile analysis and low-vacuum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were performed. As salt content increased, color tended to decrease, as did EM and CL parameters, indicating that the ability to retain moisture was improved with increased salt levels (p < 0.05). In addition, textural hardness, gumminess and chewiness all increased with increasing salt (p < 0.05). Sausages with 0.3% salt showed the lowest cohesiveness compared to those with salt levels higher than 0.3% (p < 0.05). Addition of sodium tripolyphosphate (STPP) increased pH of sausages. Increasing salt and STPP did not affect lightness (p > 0.05), but did increase redness and yellowness (p < 0.05). The moisture content was higher when the salt and STPP contents were increased (p < 0.05), but no differences in the fat and protein contents (%) were observed (p > 0.05). EM and CL tended to decrease with increasing salt and STPP. In textural properties, the combination of 1.8% salt and 0.3% STPP was the best among other treatment (p < 0.05). Surface microstructure showed a flat and dense structure with increasing salt and STPP. Since the addition of salt and phosphate improved the functionality, textural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meat products in this study, meat products will need to be developed in line with consumer's preference.

건강진단 후 수검자의 건강증진생활양식 변화의 영향요인분석 (Influencing Factors on the Health Promotion Lifestyle Modification after Medical Examination)

  • 최재영;전경자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52-62
    • /
    • 2002
  • Purpose: This study was to analyze changes of motivation and health-promoting lifestyle in 3 months after medical examination, and to identify the influencing factors on the change of health-promoting lifestyle.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81 adults who took medical examination at a general hospital health clinic in Cheonan city.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the motivation scale and modified HPLP. For data collection, the first survey was conducted from March 16 to April 19, 2001, and the second survey was carried out by mail three months after the medical examination from June 16 to July 19, 2001. Results: 1. The age of the subjects ranged from 26 to 66 years, 71.6% were male, and the major group was office workers(43.2%). 2. The average score of motivation scale was significantly improved in three months to 520.7(SD=82.7). All sub-scales of motivation scale, self-efficacy(t=-4.204, p=.000), perceived benefits(t=-4.263, p=.000), perceived barriers (t=4.305, p=.000), and emotional salience (t=-6.169, p=.000)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3 months. 3. The average score of health-promoting lifestyl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to 62.5 (SD=9.8) (t=-5.111, p=.000) after 3 months. Health responsibility(t=-6.098, p=.000), eating habit(t=-3.625, p=.001), exercise(t=-2.557, p=.012), and smoking habit(t=-2.157, p=.034)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But stress management was not changed at the significant level in 3 months(t=-1.832, p=.071). 4. As the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perceived barriers, self-efficacy and monthly mean income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health-promoting lifestyle in 3 months after the medical examination. These variables explained 42.4% of variance in health-promoting lifestyle in 3 months after the medical examination. Conclusion: Periodic medical examination and guidance for healthy lifestyle was effective to change the motivation and to improve health promoting lifestyle.

  • PDF

노인의 우울, 걷기, 삶의 질의 관계에 대한 연구 -걷기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Depression, Walking and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Focusing on the Moderation Effects of Walking-)

  • 송희승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8호
    • /
    • pp.515-525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우울과 삶의 질의 관계에서 걷기가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탐색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제6기 2차년도(2014)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중 65세 이상 노인 1,263명을 대상으로 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일반적 특성과 독립변수 및 조절변수에 따른 살의 질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t-test, ANOV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 성별(t=8.26, p<.001), 나이(t=5.19, p<.001), 만성질환 수(F=37.88, p<.001), 우울(t=9.62, p<.001), 걷기(t=47.36, p<.001)에 따른 삶의 질의 차이가 나타났다. 걷기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 걷기는 우울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걷기 수준이 높아질수록 우울이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가 감소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우울한 노인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 걷기의 증진이 필요함을 제언하는 바이다. 본 연구의 의의는 걷기의 조절효과를 밝힘으로써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프로그램 구성의 근거를 제시하였다는 점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