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130

검색결과 1,519건 처리시간 0.026초

자동배양기를 이용한 미생물 검출 (Detection of Microbial Growth in an Automated Culture System)

  • 성혜란;김일회;김지연;이종길;정연복;한상배;송석길
    • 미생물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30-134
    • /
    • 2008
  • 미생물 자동배양기를 이용한 감염성 물질의 검출은 시험적 오차의 경감은 물론 분리율 향상과 시간 단축을 가능하게 하였다. BacT/ALERT 3D 자동배양기는 미생물성장 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를 비색법으로 검출하는 장비로서 임상시료를 이용한 미생물 배양과 검출에 이용되어왔다. 자동배양기의 효율성을 검증하고 의약품의 무균 시험에 적용가능한지를 평가하기 위하여 6종의 세균을 이용하여 중식 및 검출특성을 분석하였다. 3종의 호기성세균 Pseudomonas aeruginosa, Micrococcus Iuteus, Bacillus subtilis와 Staphylococcus aureus는 1 CFU가 31.44 시간 내에 검출되었고, 혐기성균인 Clostridium sporogenes는 15.96시간에 균의 중식이 감지되었다. 저성장 혐기성세균인 Propionibacterium acnes는 $10^4$ CFU의 균수에서 검출에 129.36시간이 소요되었다. 이 같은 결과는전통적 직접 배양법보다 검출감도에 있어서 $10\sim10^5$배 높고 검출시간을 $2\sim10$10시간 단축한 것으로서 자동배양법이 미생물 증식과 검출에 효율적임을 말해준다. 따라서 본 시험에서 이용한 자동배양법은 임상시료에서의 감염원 진단뿐 아니라 생물의약품의 무균시험에 이용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6가크롬 노출에 따른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의 혈액학적 성상 및 혈장성분의 변화 (Effects of Exposure to Hexavalent Chromium on Hematological Parameters and Plasma Components in Flatfish, Paralichthys olivaceus)

  • 김진영;성기현;임록지;서승아;조영록;김준환
    • 환경생물
    • /
    • 제36권2호
    • /
    • pp.124-130
    • /
    • 2018
  • 본 연구는 넙치 치어(평균 체장 $13.3{\pm}1.6cm$, 평균 체중 $25.6{\pm}3.7g$)를 수중 6가크롬에 10일간 0, 0.5,1.0, $2.0mg\;L^{-1}$의 농도로 노출시켜 독성영향 판단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넙치 hemoglobin과 hematocrit와 같은 혈액학적 성상은 수중 크롬노출에 의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혈장 무기성분인 calcium과 magnesium은 크롬노출에 의해 유의적인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혈장 무기성분인 glucose와 cholesterol과 같은 $1.0mg\;L^{-1}$ 이상의 크롬노출에 의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지만, total protein은 유의적인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혈장 효소성분인 AST, ALT, ALP는 크롬노출에 의해 유의적인 증가가 나타났다. 본 실험의 결과는 수중 크롬노출은 넙치의 혈액 및 혈장성분에 유의적인 변화를 유발하며, 이러한 지표의 변화는 수중 크롬노출의 독성영향을 판단하는 주요한 지표가 될 것이다.

새우젓 및 찹쌀풀 첨가가 김치발효중 저급 질소화합물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used Shrimp and Cooked Glutinous Rice Flour on the Changes of Low Molecular Nitrogen Compounds Content during Kimchi Fermentation)

  • 정미은;이혜준;우순자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25-130
    • /
    • 1994
  • 본 연구는 새우젓(5%, 10%) 및 찹쌀풀(2.5%)의 첨가가 김치발효중 저급 질소화합물들의 함량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본 것이다. 김치를 $10^{\circ}C$에서 14일간 저장하면서 pH와 총산도, 유리당을 측정하여 김치의 발효정도를 조사하고, nitrite, dimethylamine(DMA)과 Volatile Basic Nitrogen(VBN) 함량을 정량하였다. 김치 발효초기의 아질산염 함량은 0.16-0.31 mg/kg의 수준을 보였으며, 그 중에서도 10% 새우젓 첨가시료들 $(S_2,\;GS_2)$이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적숙기인 숙성 6일 이후에는 모든 시료들이 검출한계미만으로 흔적정도를 나타냈다. 발효가 진행되면서 시료중의 DMA 함량은 점차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젓갈첨가량이 높을 수록 많이 검출되었다. 새우젓+찹쌀죽 첨가구$(GS_1,\;GS_2)$는 새우젓만 첨가한 시료들$(S_1,\;S_2)$보다 더 많이 검출되었다. 새우젓을 첨가한 시료들의 DMA 함량은 발효초기에 0.03-1.2 mg/kg이었으며, 발효말기에는 1.6-2.26 mg/kg이었다. VBN 함량은 발효가 진행되면서 점점 증가하여 새우젓 첨가구들$(S_1,\;S_2)$ 또는 새우젓과 찹쌀풀을 첨가한 시료들$(GS_1,\;GS_2)$이 새우젓을 첨가하지 않은 시료들(C, G)보다 분명하게 높았으며, 새우젓 첨가구와 새우젓+찹쌀풀 첨가구는 유사한 양상을 보였으므로, 찹쌀풀을 첨가하는 것이 VBN 함량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 PDF

말쥐치육 단백질의 효소적 가수분해물을 이용한 Plastein의 합성 및 그 물성 , 3. Plastein의 기능성 (Synthesis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Plastein from the Enzymatic Hydrolysates of Filefish Protein. 3. Functional Properties of Plasteins)

  • 김세권;이응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582-590
    • /
    • 1987
  • 말쥐치육 단백질의 가수분해물로 합성한 plastein을 식품단백질원으로서 고도이용 가능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그의 기능성을 FPC 및 egg albumin과 비교 검토하였으며, 아울러 SEM에 의한 plastein 형상도 관찰하였다. 용해도는 plastein이 FPC 보다 용해도가 월등히 높았고, Glu-papain plastein은 pH변화에 관계없이 용해도가 $95\%$이상으로 높았으나 Leu-papain plastein의 용해도는 매우 낮았다. 가열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FPC는 용해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Glu-papain plastein은 가열시간에 관계없이 용해도가 $81\%$이상이었다. 분산성은 Glu-papain plastein과 protease plastein이 egg albumin의 그것과 비슷하였으나 ekfms plastein은 다소 분산성이 낮았다. 보수력은 FPC가 egg albumin보다 낮았으며, 지방흡수력은 Leu-papain plastein이 1.88ml/g으로 가장 높았고, 다른 plastein은 egg albumin의 그것과 비슷하였다. 유화성은 Leu-papain plastein이 $61.2\%$로 가장 높았으나 Glu-papain plastein은 $50.7\%$로 가장 낮았다. 유화안정성도 이와 같은 경향이었다. 포말성은 Leu-papain plastein과 Glu-papain plastein이 각각 $373\%,\;360\%$로 egg albumin의 $130\%$ 보다 우수하였다. 포말안정성은 모든 plastein이 50시간 이후에 소실되어 egg albumin의 36시간에 비해 높았다. 점도는 모든 plastein이 egg albumin에 비해 낮았다. SEM을 통해 본 plastein의 형상은 처리한 효소 종류에 따라 다소 차이를 보였으며, Glu-papain plastein과 Leu-papain plastein은 다른 plastein에 비해 특이한 부드러운 형상을 나타내었다.

  • PDF

금속코핑 설계에 따른 Collarless Metal Ceramic Crown의 파절강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RACTURE STRENGTH OF COLLARLESS METAL CERAMIC CROWN WITH DIFFERENT METAL COPING DESIGN)

  • 윤종욱;양재호;장익태;이선형;정헌영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454-464
    • /
    • 1999
  • The metal ceramic crown is currently the most popular complete veneer restoration in dentistry, but in many cases, the metal cervical collar at the facial margin is unesthetic and unacceptable. Facial porcelain margin has been used in place of it. But this dose not solve the problems, such as dark gingival discoloration and cervical opaque reflection of porcelain veneer. Recently, metal copings which were designed to terminate its labio-cervical end on the axial walls coronal to the shoulder have been clinically used to solve the esthetic problem of metal ceramic crown. But in this design, porcelain veneer of labio-cervical area which is not supported by metal may not be able to resist the stress during cementation and masti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fracture strength and fractured appearance of crowns according to different coping designs. A resin maxillary left central incisor analogue was prepared for a metal ceramic crown, and metal dies were made with duplication mold. Metal copings were made and assigned to one of four groups based on facial framework designs: group 1, coping with 0.5mm metal collar; group 2, metal extended to the shoulder; group 3, metal extended to 1mm coronal tn the shoulder: group 4, metal extended to 2mm coronal to the shoulder. Copings and crowns were adjusted to be same size and thickness, and cemented to metal dies with zinc phosphate cement by finger pressure. Fracture strength was measured with Instron Universal Testing Machine. Metal dies were anchored in Three-way-vice at 3mm below finish line and at $130^{\circ}$ inclined to the long axis of the crown. Load was directed lingually at 2mm below midincisal edge. Load value at initial crack and at catastrophic fracture was recorded.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 1. Fracture strength values at initial crack were higher in groups 1, 2 than in groups 3, 4 but this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P<0.05). 2. Conventional metal collared crown had greater catastrophic fracture strength than any other collarless crowns. 3. The greater the labial metal coping reduction, the lower the catastrophic fracture strength of crowns but when more than 1mm of labial metal reduction was done, the difference in strength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p<0.05). 4. The strongest collarless coping design was group 2.

  • PDF

풋마늘 분말의 일반성분 및 풋마늘 첨가 식빵의 미생물학적 특성 (Proximate Compositions of Green Garlic Powder and Microbiological Properties of Bread with Green Garlic)

  • 이미경;박정숙;나환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95-100
    • /
    • 2005
  • 풋마늘의 이용성을 증대시키고 합리적인 소비를 촉진시키기 위해 풋마늘의 영양성분을 조사하였고, 풋마늘 분말을 첨가한 빵을 제조하여 관능검사 및 미생물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동결건조하여 분쇄한 풋마늘 분말의 일반성분은 수분 $6.99\%$, 조단백질 $7.62\%$, 조지방은 $1.84\%$, 회분 $6.60\%$, 탄수화물이 $76.95\%$였고, 유리당은 glucose, fructose와 sucrose가 확인되었다. 무기성분은 K이 1,140 mg/100 g으로 가장 많았으며, Ca, P, Na의 함량이 높았다. 총아미노산과 유리 아미노산은 methionine, cystine, proline과 glutamic acid 등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풋마늘 분말을 0.5, $1.0\%$ 첨가하여 제조한 빵의 세균 성장이 대조구 보다 약 1일 정도 느렸으며, 관능검사 결과 $0.5\%$ 정도까지 풋마늘 분말을 첨가하여 제조한 빵의 텍스쳐는 대조구와 큰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 풋마늘 분말을 빵에 $0.5\%$정도까지 첨가함에 따라 빵의 기능성은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제품의 shelf-life 연장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보인다. 본 실험에서는 동결건조한 풋마늘을 빵에 다양한 수준으로 첨가하여 풋마늘 첨가빵의 개발가능성을 살펴보았다. 빵의 제조시 제조방법을 개선하고 표준화하여 우수한 품질의 풋마늘 첨가빵 개발한다면 풋마늘의 이용성을 높임과 동시에 기능성을 고려한 제품이 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정상적인 한국 흑염소의 심전도에 관한 연구 II. 담부단극유도의 파형과 전위 (Studies on Electrocardiogram of the Normal Korean Native Goat II. Waveforms and Amplitudes of the Unipolar Precordial Chest Leads)

  • 최인혁;김기주;윤여백;서석열;김남수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338-348
    • /
    • 1997
  • The electrocardiographic (ECG) parameters on unipolar precordial chest leads in the normal Korean native goat of 343 heads as to CV$_{6}$LU, CV$_{6}$LL CV$_{6}$RU, CV$_{6}$RL and V10 have been measured with a 3-channel Elertrocardiograph and computed, analysed. All wave types as positive, negatives biphasic and flatting in the P and T waves appeared in all leads but any special wave type was not shown more than 60%. Average amplitudes with the highest frequent rate in P wave were 81.4$\pm$32.0 $\mu $V (52.3%), 59.6$\pm $ 27.5 $\mu $V (50.5 %) of Positive type in leads CV$_{6}$LU and CV$_{6}$LL, and -5fl.5$\pm $22.6 $\mu $V (44.0%) of negative type in leads VIO, and 51.3% and 44% of flatting type in leads CV$_{6}$RU and CV$_{6}$RL, but flatting type of clinic form appeared frequent rate between 53% and 77% in all leads. In T wave, average amplitudes with the highest frequent rate were 265.0$\pm $97.1 $\mu $V (54.0%) and 212.2$\pm $90.7 $\mu $V (57.0%) of positive type in leads CV$_{6}$LL and CV$_{6}$RL, and -252.8$\pm $90.7 $\mu $V (56.6%) of negative in lead V10, but amplitudes of T waves that positive and negative type appeared similarity frequent ra蛇 ware 208.7$\pm $99.7 $\mu $V (42.1%), -159.0$\pm $81.6 (43.8%) in lead CV$_{6}$LU and 153.2$\pm $139.0 $\mu $V (47.3%), -130.0$\pm $81.4 (43.2%) in lead CV$_{6}$RU, Amplitudes of QRS complex wave forms showed the highest frequent rate were 218.2$\pm $96.4 $\mu $V (47.8%), 308.3$\pm $135.2 $\mu $V (46.8 %), 232.8$\pm $126.5 $\mu $V (58.5%) and 225.3$\pm $89.6 $\mu $V (54.9%) of R type in the leeds CV$_{6}$LU, CV$_{6}$LL, CV$_{6}$RU and CV$_{6}$RL, and were -92.5$\pm $79.1 $\mu $V,479.0 $\pm $116.6 $\mu $V (33.2%) and 212.1 $\pm $86.7 $\mu $V (32.8%) of QR and 05 type in the lead V10. These results in the V10, CV$_{6}$RU, CV$_{6}$RL, CV$_{6}$LU, CV$_{6}$LL. may be not starve to purpose of unipolar precordial chest leads.

  • PDF

농산폐기물(農産廢棄物)에서 발효사료(醱酵飼料)의 생산(生産)에 관(關)한 연구(硏究)[제3보(第三報)] -Aspergillus niger와 Trichoderma viride에 의(依)한 Cellulase의 생산성(生産性)에 관(關)하여- (Studies on the Production of Fermented Feeds from Agricultural Waste Products (Part Ⅲ) -On the Production of Cellulase by Aspergillus niger and Trichoderma viride-)

  • 이계호;고정삼;박성오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9권3호
    • /
    • pp.130-138
    • /
    • 1976
  • 농산페기물을 이용(利用)한 발효사료(醱酵飼料) 생산(生産)에 관한 기초적인 연구로서 25점(點)의 시료(試料)에서 cellulase 생산성(生産性)이 우수한 두개의 균주를 선정(選定)하여 동정(同定)하였다. 선정(選定)된 두 균주에 대하여 cellulase의 생산 최적조건을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Cellulase 생산성(生産性)이 우수한 균주(菌株)로 Aspergillus niger-SM6와 Trichoderma viride-SM10 두 균주를 선정(選定)하였다. 2. 두 균주 모두 배양시(培養時) pH $5.0{\sim}6.0$에서 배양(培養)5일째에 최고(最高)의 효소생산성(酵素生産性)을 나타내었다. 3. Aspergillus niger-SM6은 배양시(培養時) 첨가한 CMC가 18%, $(NH_4)_2SO_4$가 33%, CSL이 21%, 감귤피가 21%의 효소생산(酵素生産) 증가를 나타내었다. 또한 전처리한 왕겨를 첨가하여 배양하였을 때 $21{\sim}28%$ 효소생성이 증가하였으며 효소생산에 있어서 50%까지 밀기울과 대체가능하였다. 4. Trichoderma viride-SM10은 배양시 첨가한 CMC가 14%, $NH_4NO_3$가 40%, Vit-free casamino acid가 27%, 감귤피가 18%의 효소생산 증가를 나타내었다.

  • PDF

실시간 정량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이용한 광산 배수의 수계 영향 평가 (Evaluation of the Effect of Mine Drainage on the Aquatic Environment by Quantitative Real-time PCR)

  • 한지선;서장원;지원현;박현성;김창균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21-130
    • /
    • 2010
  • 산성광산배수(Acid Mine Drainage; AMD)는 낮은 pH조건에서 중금속 및 황산염이온 등이 다량 용존되어 환경오염 문제를 발생시킨다. 국내의 폐광산 일부에서는 산성광산배수를 처리하기 위해 정화시설이 운영되고 있으나 여전히 주변 하천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연구는 산성광산배수 및 영향을 받는 하천에서 지표미생물의 특이적 유전자를 실시간 정량 중합효소 연쇄반응(Real-time quantitative Polymerase Chain Reaction; Real-time qPCR)을 이용하여 확인 및 정량함으로써 광산배수의 환경영향을 미생물학적으로 판단하고자 수행되었다. 지표 종으로 선정한 미생물은 16S rRNA 미생물 군집분석 결과 발견된 미생물 중 철환원균인 Rhodoferax ferrireducens T118, Acidiphilium cryptum JF-5이며 이 외에 기존에 광산에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진 미생물 중 호산성 황환원균인 Desulfosporosinus orientus, 철산화균인 Leptosprillum ferrooxidans, 철 및 황산화균인 Acidothiobacillus ferrooxidans이었다. 최종적으로, 본 연구에서 각 광산의 광산배수가 하천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판단하여 비교하기 위해 광산배수로 인한 하천에서의 미생물 변동 지수를 산정하였으며 연구 대상 4개 광산 중 광산배수 처리시설이 없는 삼탄의 광산배수의 경우 주변 방류 하천으로의 미생물학적 환경영향이 가장 큰것으로 나타났다

호르텐스극구흡충을 실험적으로 감염시킨 흰쥐에서 IgG/IgM 항체가 변화 (Detection of Serum IgG and IgM Antibody in Rats Experimentally Infected with Echinostoma hortense)

  • Ji-Sook Lee;Yong-Suk Ryang;Kyu-Jae Lee;Jang-Keun Ryu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47-153
    • /
    • 1999
  • 본 연구는 흰쥐에 호르텐스극구흡충 피낭유충을 흰쥐에게 실험적으로 감염시켜 감염기간에 따른 항체 생산 유무를 규명하였다. 감염 흰쥐의 혈청을 기간별로 채취하여 IgG및 IgM 항체가를 ELISA 법으로 측정하였으며, 또한 이의 진단적 이용가치를 평가하고 이들에 대한 상관성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즉, 기간별 특이 IgG 항체가는 0.13$\pm$0.014 (mean$\pm$S.D.)에서 0.4803$\pm$0.073까지의 분포를 보였으며 감염 제 28일에 최고치 (0.4803$\pm$0.073)를 보였다 (p<0.05). 호르텐스극구흡충에 감염된 백서를 통해 매주 얻은 특이 IgM 항체가는 0.16$\pm$0.034 (mean$\pm$S.D.)에서 0.4093$\pm$0.084까지의 분포를 보였으며 감염 제 7일에 증가하여 감염 제 14일에 최고치 (0.4093$\pm$0.084)를 보였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호르텐스극구흡충 감염시 흰쥐 혈청의 IgM은 감염 초기에 급속한 증가를 보였으나 IgG는 감염 이후 계속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