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Dicyclopentadiene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6초

S-RIM을 이용한 Glass Fiber Chopped Strand Mat 강화 p-DCPD 복합재료 제작 및 수치해석을 통한 공정 시간 예측 (Manufacturing and Numerical Analysis of Glass Fiber Chopped Strand Mat Reinforced p-DCPD Composites Processed by S-RIM)

  • 유형민;엄문광;최성웅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30권6호
    • /
    • pp.629-634
    • /
    • 2019
  • Dicyclopentadiene is a low viscosity resin which forms a poly-dicyclopentadiene rapidly through ring opening metathesis polymerization (ROMP). This poly-dicyclopentadiene has outstanding properties of low-temperature, water and impact resistances. Due to these advantages, military and offshore structures try to apply the DCPD composites by using liquid composite molding process. In this study, 14%, 38% volume fraction fiber glass strand mat reinforced p-DCPD composites processed by structural reaction injection molding (S-RIM) which has resin-catalsyt mixing head and glass fiber preform in the mold. Additionally, S-RIM numerical analysis was conducted to predict the process time depending on fiber volume fraction and mold temperature. The process time is shorter when it has the lower fiber volume fraction or the higher mold temperature. At higher mold temperature, it is necessary to set the maximum mold temperature considering the resin curing time.

p-DCPD 제조 및 보트소재적용 연구 (A Study on the Polymerization of Dicyclopentadiene Production and Applied to Boats Materials)

  • 김시영;구수진;주창식;박주영
    • 동력기계공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86-92
    • /
    • 2015
  • p-DCPD were prepared by in-suit ROMP polymerization using $MoCl_5$ and $Et_2AlCl$. The results showed that $MoCl_5:Et_2AlCl:DCPD$ mole ratio of 1:2.0:350 had the curing-time of 60sec and crosslinking degree of 90.44%. The curing time of DCPD polymerization by $MoCl_5/Et_2AlCl$ was shortened, and monomer conversion and crosslinking degree were decreased with temperature and the number of moles of $MoCl_5$ and $Et_2AlCl$. $MoCl_5$ and $Et_2AlCl$ is damaged its function by the reaction with the air in the atmosphere and did't proceed the polymerization properly.

대기 조건에서 경화가 가능한 텅스텐계 p-DCPD의 개선된 성형 방법 (An Improved Manufacturing Method of p-Dicyclopentadiene (DCPD) using Tungsten Type Catalyst in Air Condition)

  • 권동준;신평수;김종현;박종만
    • Composites Research
    • /
    • 제29권4호
    • /
    • pp.216-222
    • /
    • 2016
  • 폴리디싸이클로팬타디엔 (p-DCPD) 수지를 경화하기 위해 개환반응이 사용된다. 이 반응은 텅스텐계 촉매를 이용한 반응이기 때문에 질소 조건에서 반응이 진행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텅스텐계 수지는 촉매독 현상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대기조건에서는 사용이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대기 조건에서 텅스턴 (W)을 촉매로한 p-DCPD 대해 프레스 성형법을 이용하여 수지를 경화시켰다. 프레스 성형을 통해 p-DCPD (W) 수지를 경화시킬 경우 기계적 강도가 향상되는 결과를 얻었으며, 이는 DCPD 성형 단계에서 발생되는 기체를 압으로 눌러 미세 기공의 발생을 줄였기 때문이다. 촉매 독 현상이 발생되는 것은 반응시간이 길 때에 발생되지만, 짧은 성형을 시도하는 프레스 성형에서는 촉매 자체로 인한 물성 저하가 발생되지 않았다. 궁극적으로 p-DCPD 성형을 위해 대기 조건에서 성형이 가능하였으며, 경화 시간, 압력 변수를 조절할 경우 기계적 물성이 향상을 확인하였다.

폴리에스터 가소제를 사용한 내제트유성 PVC계 실란트 (Jet-Fuel-Resistant PVC Sealant Containing a Polyester Plasticizer)

  • 남병욱;김석준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38권4호
    • /
    • pp.342-353
    • /
    • 2003
  • 본 연구는 폴리에스터 가소제를 이용한 내제트유성 PVC계 실란트 개발에 관한 것이다. PVC 공중합체에 아디프산 글리콜 폴리에스터 가소제(Songcizer P-3000) 또는 DOP를 배합하여 연료유 함침 전후의 칩입도 변화, 용해도, 흐름성 및 인장 접착 신율을 측정하였다. 연료유 함침 전후 칩입도 변화 및 용해도를 측정한 결과 폴리에스터 가소제의 내제트유성이 DOP 가소제를 사용한 것 보다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PVC 공중합체에 Songcizer P-3000의 배합비를 중량비로 500 phr로 고정하고 접착성 향상제인 DCDP (dicyclopentadiene)계 석유수지를 400 phr까지 배합한 결과 첨가량에 비례하여 접착 신율이 감소하였다. 탄산칼슘은 연료유의 확산을 방지하였고 Songcizer P-3000을 사용한 경우 용해도를 감소시키는 결과를 얻었다.

자가치료용 마이크로캡슐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제작공정 연구 (Study on Manufacturing Process Variables affecting on Characteristics of Autonomic Microcapsules)

  • 윤성호;박희원;소진호;홍순지;이종근
    • 한국복합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복합재료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69-172
    • /
    • 2003
  • Manufacturing process for autonomic microcapsules was introduced and autonomic microcapsules were manufactured by varying with various manufacturing process variables. Urea-formaldehyde resin was used for the wall of microcapsules and DCPD (dicyclopentadiene) was used for the self-healing agent.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microcapsules was evaluated through a particle size analyaer, an optical microscope, and a TGA. The various manufacturing process variables, such as pH and agitation speed of the emulsified solution, were considered to focus in this study.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s were affected on the agitation speed of the emulsified solution, and the thermal stability was influenced by pH of the emulsified solution.

  • PDF

Evaluation of the Genetic Toxicity of Synthetic Chemicals (IV) - Chromosomal Aberration Assay With 11 compounds in Chinese Hamster Lung Cells in vitro -

  • Kim, Kyung-Ran;Kim, Hyun-Joo;Kim, Min-Hee;Youn, Ji-Youn;Kwon, Oh-Seung;Ryu, Jea-Chun
    • 한국환경독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독성학회 1996년도 제19회정기학술대회(The 19th Symposium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Toxicology)
    • /
    • pp.63-63
    • /
    • 1996
  • We performed chromosomal aberration assay in Chinese Hamster Lung (CHL) cells in vitro to evaluate theclastogenicity of 11 synthetic chemicals which were listed in Toxicity Evaluation Program of Ministry of Environment of Republic of Korea in 1996. All of the chemicals were carried out MTT assay to determine the 50% cell growth inhibition concentration. All compounds were tested with and without metabolic activation system. Benzoyl chloride revealed positive result at $43\;\mu\textrm{g}/m{\ell}$ in the presence of metabolic activation system, and at 30.8, 61.5 and $123\;\mu\textrm{g}/m{\ell}$ in the absence of metabolic activation system. And p-phenoxy ethanol was observed as positive with the metabolic activation system, but negative without metabolic activation system. Especially 2-propyn-l-ol showed high frequency of pulverization and showed critical difference of cytotoxicity between with and without S9 mixture. Pulverizatiuon is not included in the frequency of structural aberration in our criteria. Dicyclopentadiene, methacrylic acid, aa-dimethylbenzyl hydroperoxide, benzylbutyl phthalate, and p-chlorophenal were revealed negative results.esults.

  • PDF

MGF 표면처리에 따른 p-DCPD 복합재료의 계면 및 기계적 특성 연구 (Interfaci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MGF Reinforced p-DCPD Composites with Surface Treatments)

  • 권동준;신평수;김종현;하중찬;박종만
    • Composites Research
    • /
    • 제29권5호
    • /
    • pp.282-287
    • /
    • 2016
  • p-DCPD 수지는 내부 모노머와 촉매의 조절을 통해 다양한 기계적 특성 변화가 가능한 수지이다. 본 연구에서는 몰리브덴(Mo) 촉매를 사용한 p-DCPD 기지에 여러 가지로 표면처리된 MGF(milled glass fiber)를 강화제로 제조된 MGF/p-DCPD의 기계적 물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최적의 표면처리 농도를 확인하였으며, 표면처리 농도가 증가할수록 MGF의 응집은 커졌다. 0.2 wt% 사일렌 농도를 사용할 경우 MGF의 응집을 최소로 하고 최대의 MGF/p-DCPD 복합재료 강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MGF간 입체장애 효과로 응집을 최소화하는 최적 길이인 부틸 알킬체인 사일렌을 사용했을 경우, 큰 인장 및 굽힘강도를 나타내었다. 4가지 화학적 작용기의 차이에 따른 MGF/p-DCPD의 기계적 물성 및 그 파단면을 비교하였다. 노보넨기의 경우, 기지인 DCPD 수지와 화학적 구조가 유사하여, DCPD 수지와 MGF 강화제 간의 계면 물성을 증대시켰다.

전기저항측정법 및 젖음성을 이용한 나노복합재료의 미세파손 감지능 및 계면물성 평가 (Interfacial Evaluation and Microfailure Sensing of Nanocomposites by Electrical Resistance Measurements and Wettability)

  • 박종만;권동준;신평수;김종현;백영민;박하승
    • Composites Research
    • /
    • 제30권2호
    • /
    • pp.138-144
    • /
    • 2017
  • 탄소나노튜브(CNT)를 이용하여 신율이 뛰어난 p-DCPD를 지로 사용하여 손상감지용 고분자 필름 센서를 연구하였다. CNT를 수지에 혼합시킬 경우 중합을 방해하여 1차 개환만 진행되었다. CNT 농도에 따른 정적접 촉각을 측정하여 계면의 젖음성을 측정하였다. 높은 신율을 가지는 p-DCPD에 CNT를 혼합시킴으로써 전도성을 확보하였고, CNT 농도에 따른 인장강도 및 전기저항 분산도 평가를 실시하였을 경우 0.5 wt% CNT/p-DCPD 조건이 최적의 조건임을 확인하였다. CNT/p-DCPD 센서의 내구성을 평가하기 위해 동적 피로 실험을 실시하여 인장응력에 따른 전기저항 변화를 평가하였다. 초기 3회 사이클 동안은 전기저항 변화도와 응력간의 결과가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CNT/p-DCPD 센서의 활용을 위해 에폭시 기지 표면에 센서를 붙이고 기지 재료의 파괴거동을 확인하였다. 기지 파괴가 발생되기 전에 CNT/p-DCPD 센서의 전기저항 점핑 신호를 관찰할 수 있었다. 이는 기지재료에 발생된 균열에 의해 CNT/p-DCPD 센서와 기지간의 접착 파괴로 발생된 신호이며, 이러한 신호를 이용하여 기지재료의 균열 및 파괴를 예측해 볼 수 있었다.

사이징제에 따른 유리섬유/폴리디사이클로펜타디엔 복합재료의 계면물성 및 기계적 물성 평가 (Evaluation of Interfaci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GF/p-DCPD Composites with Different Sizing Agents)

  • 김종현;권동준;신평수;박하승;백영민;박종만
    • Composites Research
    • /
    • 제31권2호
    • /
    • pp.57-62
    • /
    • 2018
  • 순수한 유리섬유와 두 가지 사이징제가 코팅된 유리섬유/폴리디사이클로펜타디엔(p-DCPD) 복합재료의 계면물성 및 상온($25^{\circ}C$)과 저온($-20^{\circ}C$)에서의 기계적 물성을 평가하였다. 섬유의 사이징제를 용출하기 위하여 아세톤을 이용하였고, 용액을 건조 후 각각의 용출물에 대하여 적외선 분광 분석을 통해 비교하였다. 동적접촉각 측정을 통하여 섬유와 p-DCPD의 표면에너지를 분석하였고 이를 통하여 접착일을 계산하였다. 서로 다른 유리섬유의 기계적 물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단섬유 인장실험을 진행하였고, 단섬유와 p-DCPD의 계면적 물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반복인장하중실험을 진행하였다. 상온 및 저온에서의 기계적 물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인장, 굴곡, 아이조드 충격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결과 표면의 인자에 따라 계면 및 기계적 물성이 달라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제조공정변수에 따른 자가치료용 마이크로캡슐의 특성 고찰 (Effects of Manufacturing Process Variables on Characteristics of Microcapsules with Self-Healing Agent)

  • 윤성호
    • Composites Research
    • /
    • 제16권2호
    • /
    • pp.54-61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자가치료제가 저장된 마이크로캡슐의 제조공법을 소개하였으며 제조공정변수를 달리하여 제조된 마이크로캡슐의 특성을 입도분석기, 광학현미경, TGA 등을 통해 평가하였다. 이때 자가치료용 마이크로캡슐은 요소-포름알데히드 수지로 구성된 박막으로 되어 있으며 마이크로캡슐의 내부에는 자가치료제인 DCPD가 충전되어 있는 경우를 고려하였다. 마이크로캡슐의 제조공정변수로는 (1) 24시간. 40시간. 48시간, 60시간의 EMA copolymer 용해시간, (2) pH3.5, pH4.0, pH4.5의 수소이온농도, (3) 400rpm, 500rpm, 600rpm. 1000rpm의 교반속도, (4) $50^{\circ}$, $55^{\circ}$, $60^{\circ}$의 반응온도 등을 고려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마이크로캡슐의 입도분포는 교반속도에 따라 달라지며, EMA copolymer의 용해시간, 수용액에서의 수소이온농도 및 반응온도 등은 마이크로캡슐의 열안정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마이크로캡슐의 내부에 저장된 자가치료제의 증발을 억제할 수 있는 우수한 열안정성을 갖는 마이크로캡슐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제조공정변수가 적용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