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MPK

검색결과 142건 처리시간 0.037초

산겨릅나무로부터 추출된 HIMH0021의 알콜성·비알콜성 지방간염 질환에서의 약리학적 분석 및 지방간염 및 간섬유화 억제능 평가 (Pharmacological Analyses of HIMH0021 Extracted from Acer Tegmentosum and Efficacy Tests of Steatohepatitis and Hepatic Fibrosis in NASH/ASH)

  • 이용준;유지훈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1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5-5
    • /
    • 2021
  • Alcoholic and nonalcoholic steaohepatitis is a leading form of chronic liver disease with few biomakers ad treatment options currently available. a progressive disease of NAFLD may lead to fibrosis, cirrhosis, and hepatocellular carcinoma. Recently, we extracted HIMH0021, which is an active flavonoid component in the Acer tegmentosum extract, has been shown to protect against liver damage caused by hepatic dysfunction. Therefore, in this study, we aimed to investigate whether HIMH0021 could regulate steatohepatitis and liver fibrosis during alcoholic or nonalcoholic metabolic process. HIMH0021, which was isolated from the active methanol extract of A. tegmentosum, inhibited alcohol-induced steatosis and attenuated the serum levels of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and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during hepatocellular alcohol metabolism, both of which promote lipogenesis as well as liver inflammation. Treatment with HIMH0021 conferred protection against lipogenesis and liver injury, inhibited the expression of cytochrome P4502E1, and increased serum adiponectin levels in the mice subjected to chronic-plus-binge feeding. Furthermore, in hepatocytes, HIMH0021 activated fatty acid oxidation by activating pAMPK, which comprises pACC and CPT1a.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HIMH0021 could be used to target a TNFα-related pathway for treating patients with alcoholic hepatitis.

  • PDF

고지방식이급여 마우스에서 잠상산물의 항당뇨 효능 (Anti-Diabetic Effect of Sericultural Product in High Fat Diet-Fed Mice)

  • 안은영;최상원;김은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289-297
    • /
    • 2017
  • 본 연구는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제2형 당뇨 동물모델에서 잠상산물의 항당뇨 및 지질개선 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C57BL/6N 마우스에 14주간 잠상산물 분말(ML, SK, MF, CT)을 급여한 후 제2형 당뇨의 임상적 지표 및 인슐린 신호 전달체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HFD군보다 잠상산물을 급여한 군들의 체중증가량이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며, 혈장 포도당 및 인슐린 농도는 HFD군보다 ML분말을 급여한 군에서 특히 감소하였다. 혈장 T-C 농도는 HFD군에 비하여 ML과 SK 분말 급여 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혈장 HDL-C 농도 및 HTR은 HFD군보다 ML군과 SK군에서 현저히 증가하였다. 간 조직 지질 농도는 HFD군보다 잠상산물을 급여한 네 군 모두에서 TG와 T-C 농도의 유의적인 감소가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잠상산물 중 ML분말이 혈장 포도당, 인슐린, T-C 및 TG 농도를 가장 효과적으로 감소시켰으며, 혈장 HDL-C 농도 및 HTR은 증가시켰다. 또한, 내장지방 조직의 AKT, S6K, 그리고 AMPK의 활성도 증가시킨 것으로 보아 고지방식이에 의한 인슐린 저항성 및 지질 대사를 개선한 것으로 생각된다. 향후 ML의 인슐린 저항성 개선 효과에 대해 더 깊이 있는 기전연구가 수행된다면 제2형 당뇨환자를 위한 건강기능성 식품으로 개발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가시오갈피 물 추출물이 간세포에서 포도당 이용 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canthopanax senticosus Water Extract on Glucose-Regulating Mechanisms in HepG2 Cells)

  • 김대중;강윤환;김경곤;김태우;박재봉;최면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552-561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가시오갈피 물 추출물(ASW)를 이용하여 아직 시도된 바가 없는 HepG2 세포 내 포도당 유입과정 및 glucokinase(GK) 활성을 통한 포도당 이용대사 실험을 수행하였다. 포도당의 세포 내 유입은 GLUT2의 transcription factor들 중 하나인 $HNF-1{\alpha}$의 활성화로 GLUT2의 유전자 발현이 증가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GK 활성 측정 결과 ASW가 GK를 활성화하여 포도당의 인산화에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고 AMP-activated protein kinase의 인산화 증가로 glycolysis에 관여하는 효소인 GK의 단백질 발현은 증가하고, gluconeogenesis에 관여하는 phosphoenolpyruvate carboxykinase의 단백질 발현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인산화된 포도당이 glycogen으로 전환 저장되는 메커니즘을 pPI3k-pAkt-pGSK-$3{\beta}$의 단계별 단백질 발현을 확인함으로써 검증하였으며, glycogen 함량 측정을 통해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ASW가 다양한 메커니즘에 작용하여 당뇨의 예방 및 개선에 활용할 수 있는 잠재적 소재임을 확인하였고, 이는 ASW가 천연 기능성 소재로서의 개발가치가 높음을 시사한다.

Inhibitory Effects of Rubus crataegifolius Leaf Water Extract on Adipocyte Differentiation and Adipogenesis in 3T3-L1 Preadipocytes

  • Mee-Kyung Kim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9권1호
    • /
    • pp.187-194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산딸기 잎의 항비만 기능성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3T3-L1 지방전구세포에 산딸기 잎 추출물을 처리한 후 중성지방 함량을 측정하고 지방생성과 관련된 여러 단백질의 발현 양상을 측정하였다. 산딸기 잎은 열수로 추출·농축하여 시료로 사용하였으며 추출물의 수율은 4.76%였다. 산딸기 잎 추출물에 의한 3T3-L1 세포 생존율을 측정한 결과, 1,000 ㎍/mL 농도에서 13%의 성장 저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 시료 처리 농도를 500 ㎍/mL까지 처리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세포 내 중성지방의 생성은 농도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감소율은 대조군에 비하여 농도 100, 300, 500 ㎍/mL에서 각각 28.7, 40.8, 51.6%를 나타내었다. 또한 PPARγ, C/EBPα 및 SREBP-1c, FAS 및 ACC의 발현 억제, p-AMPK 발현 증가로 지방합성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 산딸기 잎 추출물이 지방세포 분화 및 지방생성 관련 인자들을 조절함으로서 비만 개선 소재로서의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하늘타리(Trichosanthes kirilowii Maxim.) 뿌리 에탄올 추출물의 3T3-L1 지방세포 분화 억제 융합연구 (Convergence study on the through inhibition of differentiation in 3T3-L1 cells of ethanol extract from Trichosanthes kirilowii Maxim. Root)

  • 김성옥;정지숙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127-133
    • /
    • 2019
  • 본 연구는 3T3-L1 세포로 하늘타리(Trichosanthes kirilowii Maxim) 뿌리 에탄올 추출물(TKM)의 항비만 활성을 조사하였다. TKM 처리 한 3T3-L1 지방세포의 분화억제를 통한 지방생성 억제에 초점을 두었다.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100ug/ml 농도에서 TG 함량을 현저히 억제하고, 세포 초기분화 전사인자 $PPAR{\gamma}$, $C/EBP{\alpha}$, SREBP-1c의 발현 억제, 세포내 에너지 향상성 조절인자 pAMPK, 중성지방산의 합성분해 조절인자 pACC, CPT-1, 지방산 합성 효소(FAS) 발현 억제, 호르몬자극지방분해 효소(HSL) 활성화 등 지방합성 관련인자들의 발현 조절 효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TKM은 지방세포 분화와 지방대사 관련 인자들의 발현을 조절함으로써 지방 생성과 축적 저해 효능을 보여 항비만 융합치료제로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3T3-L1 지방세포에서 진귤 잎 유래 polymethoxyflavones 다량 함유 분획물(PRF)의 항지방생성 및 지방분해 효과 (The Anti-adipogenic and Lipolytic Effect of Jinkyool (Citrus sunki Hort. ex Tanaka) Leaf Extract in 3T3-L1 Cells)

  • 진영준;장미경;김재원;강민영;고희철;김세재
    • 생명과학회지
    • /
    • 제32권7호
    • /
    • pp.542-549
    • /
    • 2022
  • Polymethoxyflavones (PMFs)는 주로 감귤류에서 발견되는 플라보노이드로 다양한 생리활성을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제주재래귤인 진귤(Citrus sunki Hort. ex Tanaka)에서 PMFs를 다량 함유하는 분획물(PMFs-rich fraction, PRF)을 획득하는 방법을 확립하여 3T3-L1 세포에서 지방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PRF는 3T3-L1 전구지방세포의 지방생성(lipogenesis)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다. PRF는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𝛾 (PPAR𝛾)와 CCAAT/enhancer binding protein 𝛼 (CEBP𝛼)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fatty acid synthase (FAS), adipocyte fatty-acid-binding protein 2 (aP2)의 발현을 억제하여 지방생성을 억제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성숙한 3T3-L1 지방세포에 PRF를 처리하면, cAMP 의존성 protein kinase A (PKA)/sterol regulatory element-binding protein 1 (HSL)의 활성화가 일어나 지방분해(lipogenesis)는 촉진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PRF는 AMP-activated protein kinase (AMPK)/acetyl-CoA carboxylase (ACC)의 인산화를 증가시켜 지방산화를 촉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결과는 진귤 잎 유래 PRF는 3T3-L1 전구지방세포의 분화를 억제하고 성숙한 지방세포에서 지방분해 및 지방산 산화를 촉진하는 활성을 나타내어 항비만 소재로서의 활용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세포 내 지방생성과 Glut-4 의존성 포도당 운반에 미치는 발효복합한약 물추출물(F-MAPC)의 영향 (Water Extract of Fermented New Korean Medicinal Mixture (F-MAPC) Controls Intracellula Adipogenesis and Glut-4 dependent Glucose Uptake in 3T3-L1 Adipocytes and L6 Myoblasts)

  • 전서영;박지영;김성옥;이은실;구진숙;김미려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45-52
    • /
    • 2014
  •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water extract of fermented new korean medicinal mixture, combinations of Mori Folium, Adenophorae Radix, Phllostachyos Folium and Citri Pericarpium (F-MAPC), on adipocyte differentiation, adipogenesis and glucose uptake using undiffernentiated 3T3-L1 adipocytes and L6 myoblasts. Methods : Each herb and those mixture were respectively fermented and then extracted with water. We carried on MTT assay for check-up on cell toxicity, Oil Red O staining for determination of cell differentiation and intracelluar adipogenesis. Western blot analysis for measurement of pAMPK and pACC, $C/EBP{\alpha}$, $PPAR{\gamma}$ and Glut-4 protein expressions were performed. Results : F-MAPC showed significant inhibitory activity on adipocyte differentiation in 3T3-L1 preadipocytes without affecting cell toxicity as assessed by measuring fat accumulation, and this effect was 2 fold higher in 0.2 mg/ml F-MAPC than that of the same dose of each fermented herbal extract alone. In addition, these effects were associated with modulation of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s, such as $C/EBP{\alpha}$, $PPAR{\gamma}$, as well as stimulated phosphorylations of AMPK and ACC. Translocation of Glut-4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10.2% in L6 cells treated with 0.2 mg/ml F-MAPC compared with that of control. Conclusions :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F-MAPC may be an ideal candidate for therapy of obesity and diabetes by disturbing the differentiation into adipocytes, as well as the inducement of intramuscular glucose uptake from blood.

α, γ-Mangostins Induce Autophagy and Show Synergistic Effect with Gemcitabine in Pancreatic Cancer Cell Lines

  • Kim, Myoungjae;Chin, Young-Won;Lee, Eun Joo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25권6호
    • /
    • pp.609-617
    • /
    • 2017
  • Pancreatic cancer is one of the most lethal and aggressive cancers in the world. However, no effective treatment is currently available for pancreatic canc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anti-pancreatic cancer effect of ${\alpha}$-mangostin (${\alpha}M$) and ${\gamma}$-mangostin (${\gamma}M$) extracted from the pericarp of Garcinia mangostana L.. Both ${\alpha}$M and ${\gamma}M$ reduced the viability of pancreatic cancer cells MIA PaCa-2 and PANC-1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se compounds induced apoptosis by increasing c-PARP and c-Caspase 3 levels. They also induced autophagy by increasing levels of microtubule-associated protein 1A/1B light chain 3B (LC3II) in both cell lines while decreasing sequestosome 1 (p62) in MIA PaCa-2. Both ${\alpha}$M and ${\gamma}M$ induced autophagy through increasing phosphorylation levels of AMP-activated protein kinase (p-AMPK) and p38-mitogen activated protein kinase (p-p38) while decreasing phosphorylation level of mammalian target of rapamycin complex 1 (p-mTOR). Of various microRNAs (miRNA), miR-18a was found to be a putative regulatory miRNA for autophagy induced by ${\alpha}$M or ${\gamma}M$. In combination with gemcitabine, a compound frequently used in pancreatic cancer treatment, ${\alpha}$M and ${\gamma}M$ showed synergistic anti-cancer effects in MIA PaCa-2. Coll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alpha}$M and ${\gamma}M$ can induce apoptosis and autophagy in pancreatic cancer cells and that their anti-cancer effect is likely to be associated with miR-18a. In conclusion, ${\alpha}$M and ${\gamma}M$ might be used as a potential new therapy for pancreatic cancer.

Porphyromonas gingivalis exacerbates the progression of fatty liver disease via CD36-PPARγ pathway

  • Ahn, Ji-Su;Yang, Ji Won;Oh, Su-Jeong;Shin, Ye Young;Kang, Min-Jung;Park, Hae Ryoun;Seo, Yoojin;Kim, Hyung-Sik
    • BMB Reports
    • /
    • 제54권6호
    • /
    • pp.323-328
    • /
    • 2021
  • Periodontal diseases have been reported to have a multidirectional association with metabolic disorders. We sought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periodontitis and diabetes or fatty liver disease using HFD-fed obese mice inoculated with P. gingivalis. Body weight, alveolar bone loss, serological biochemistry, and glucose level were determined to evaluate the pathophysiology of periodontitis and diabetes. For the evaluation of fatty liver disease, hepatic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NASH) was assessed by scoring steatosis, inflammation, hepatocyte ballooning and the crucial signaling pathways involved in liver metabolism were analyzed. The C-reactive protein (CRP) level and NASH score in P. gingivalis-infected obese mice were significantly elevated. Particularly, the extensive lobular inflammation was observed in the liver of obese mice infected with P. gingivalis. Moreover, the expression of metabolic regulatory factors, including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γ (Pparγ) and the fatty acid transporter Cd36, was up-regulated in the liver of P. gingivalis-infected obese mice. However, inoculation of P. gingivalis had no significant influence on glucose homeostasis, insulin resistance, and hepatic mTOR/AMPK signaling. In conclusion, our results indicate that P. gingivalis can induce the progression of fatty liver disease in HFD-fed mice through the upregulation of CD36-PPARγ axis.

db/db 마우스에서 Ceriporia lacerata 균사체 배양액이 GLUT4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ubmerged culture of Ceriporia lacerata mycelium on GLUT4 protein in db/db mouse)

  • 신은지;김지은;김지혜;박용만;윤성균;장병철;이삼빈;김병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893-900
    • /
    • 2015
  • 최근 경제가 급속히 성장하면서 세계적으로 당뇨병이 심각한 대사성 질환으로 대두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혈당조절에만 초점을 맞춘 경구용 당뇨병 치료제가 아니라 당뇨병을 근본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혈당 강하 소재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늘어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에서 항당뇨 효능이 확인된Ceriporia lacerata 균사체 배양물건조물(CL01)을 제 2형 당뇨병 동물 모델인db/db 마우스에 경구투여하여 CL01이 혈액학적 지표 및 인슐린 신호 전달기전 상의 유관 단백질과 mRNA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CL01을 4주간 투여했을 때 혈당이 지속적으로 감소하였고, 혈청 인슐린, c-peptide 농도도 각각 음성대조군의 55.8%, 40% 수준으로 감소하였다(p<0.05). 인슐린 저항성을 반영하는 지표인 HOMA-IR 수치를 계산한 결과, CL01 투여군에서 인슐린 저항성이 음성대조군 대비 약 62% 개선되었다(p<0.05). 또한 인슐린 신호 전달에 관여하는 pIR, pAkt, pAMPK, GLUT4 단백질 및 Akt2, IRS1, GLUT4 mRNA 발현이 증가하였다. 이들 결과를 통해 CL01이 당 대사 및 인슐린 신호 전달에 관여하는 유관 단백질 및 유전자 발현에 영향을 미치며 이에 따라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하여 혈당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 제 2형 당뇨병 환자의 90% 이상이 인슐린 저항성으로 인한 고인슐린혈증, 당내성 장애, 고혈압, 비만 등의 대사 이상이 생길 확률이 증가하기 때문에 CL01의 섭취를 통해 GLUT4 발현을 증가시켜 인슐린 저항성을 낮추는 것이 제 2형 당뇨병의 근본적인 치료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이 연구가 당뇨병 치료의 추가적인 기전 연구를 위한 기초 증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