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영국과 핀란드의 유아교육기관에서 어떻게 질 높은 실외놀이가 이루어 지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각 국가에서 실외놀이가 우수하다고 인정받는 4개 기관을 추천받아 2016년 8월부터 2017년 9월 사이에 2차례씩 방문하여 실외 환경구성 및 제공되는 자원과 재료, 운영, 및 영유아들의 실외놀이를 관찰하고, 실외놀이의 가치에 대하여 교원을 면담하였다. 그 결과, 이들 기관에서는 모든 환경 구성과 활동이 자연을 지향하였고, 실외놀이는 건강과 웰빙을 위해 실행되었다. 또한 날씨에 구애받지 않고 실외놀이를 실시하며, 위험성이 있는 놀이에 도전하도록 허용하면서도 안전점검을 통하여 도전과 안전이 공존하는 양상이었다. 그들은 단순한 실외놀이를 넘어서서, 실내 영역과의 통합을 추구하였으며, 유아들의 흥미와 선택권을 존중하여 유아들끼리 주도적으로 활동하도록 함으로써 자율성과 독립심을 성취하도록 격려하는 모습이었다. 우리나라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의 웰빙과 건강, 실내외활동의 연계와 확장, 유아의 주도성, 상상력, 창의력, 문제해결력을 증진시키는 실외 놀이의 실현을 위하여 이러한 측면들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actual condition of environment and management of outdoor play at child care centers in Seoul, and to present a planning guideline for outdoor play environment.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by a structured questionnaire and subjects were 164 directors of child 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The contents of the questionnaire were composed of general facts about the respondent and facility, environmental condition, managerial condition, and director's understanding about outdoor play. The data were then analyzed using the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crosstab. The major results have shown the following: 1) Most child care centers in Seoul had some space for outdoor play. 62% of them used front yard and 11 % a rooftop. 2) The space usually included fixed play instruments such as slide and complex unit structures, sand play area, and open area. It also had many natural elements as shrubs and earth. 3) 78% of the centers had a schedule for outdoor play. The schedule operates flexibly according to each center's own day schedule. Generally, a time for outdoor play was 21 to 30 minutes. 4) The directors of child care centers thought highly of outdoor play for it contributes to the balanced development of children. They answered that equipments and spaces, program devices, and teacher's understanding are some of the important factors for active outdoor play. 5) Most of them wanted wood-working area (construction activity area), water play area, and cag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actually measure to the dimension and the quality of material play equipment's examine whether they meet safety standards or not, and intend to offer basic data to present proper safety standards concerning the dimension of play equipment in the end.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59 outdoor playgrounds, 30 among them located in apartment sites and the remainder did in residential districts. The time of actual measurement was in June 1999, and June 2000. Data were analyzed into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by using SPSSWIN program.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more than half of playgrounds were assessed for being traffic hazards due to the adjacent streets. And they were hardly equipped with the toilet and drinking water facilities, but were almost equipped with the shade of a tree and benches. Second, it was caused in inconvenience of children's use and difficulty of play equipments'management, since the quality of play equipments materials was consisted of wood or metal. Third, the standards for swing and slide were established in detail and actual measurement's results were suitable to standards'value as well, whereas the standards for seesaw and climber were not in detail and they did not design or install suitably.
본 연구의 목적은 경기도 K시의 부모가 인식하고 있는 일상적 바깥놀이의 실태를 분석하여 바깥놀이의 질적 환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 부모 26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으며, 바깥놀이 관련 선행연구의 내용을 바탕으로 재구성 한 후 유아교육전문가 3인의 협의 하에 수정 보완하였다. 회수된 설문지는 SPSS 20.0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바깥놀이터에 대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바깥놀이 현황에서는 부모들은 바깥놀이에 대해 필요한 시간은 1-2시간, 형태는 "숲 놀이터"이며, 이를 통해 "재미"를 느끼고, 사회성 발달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오고가는 길에 차량의 위험" 으로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었다. 둘째, 바깥놀이 실태에서는 집 주변에 대부분 바깥놀이는 "아파트 단지 내에 설치되어 있는 놀이터"이었으며, 대부분 엄마와 함께 놀이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바깥놀이에 대해 만족하지 못하였으며, 이유는 관리의 소홀함과 호기심과 모험심을 자극할 말한 놀이 시설이 없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부분 바깥놀이 보다는 집안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고 있었으며, 특히 게임 또는 TV 시청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바깥놀이의 개선점으로 영역은 "계절별로 이용할 수 있는 시설 확대", 형태는 "안전을 강조한 놀이터", 공간형태는 "놀이 공간"이며, 안전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주변 차량 통제 및 위험물 관리"를 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영유아 바깥놀이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고 관련기관 및 연구에 논의를 제공할 수 있다.
This paper is to propose a design possibility that incorporates participatory process and also to emphasize the participatory process applied to the planning of outdoor playground space open to the neighboring community. Community design based on the participation method can be understood as an attitude about a force for change in the creation and management of environments for people who are the major users of them. Planning for outdoor space is an integral part of school education and a vital component of child development. For the design of outdoor space of Samyang Elementary School it first needs to examine the current and emerging needs of students, teachers and parents as community residents through the participatory design method. A series of workshops and interviews are taken to identify dreams and ideal spaces of each group. An assessment of existing school spaces and design possibility of reprogrammed outdoor spaces are proposed to match the major demands of participants. Selected outdoor places are chosen and designed to accommodate options for various play settings and to make the school pleasant places where members of the neighborhood can gather for relaxation in restful surroundings.
본 연구는 학교 외부공간 관리를 위한 방향설정을 위하여 교사들의 인식을 분석하였다. 학교 외부공간의 나무와 꽃의 식재 만족도와 옥외 휴게공간의 만족도가 전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근무년수가 길수록 외부공간의 중요성과 필요성에 대한 인식도 높은 것으로 파악된다. 반면에 학교 외부공간 관리의 문제점으로 인력, 예산, 관심의 부족을 언급하였다. 학교 외부공간은 안전한 놀이공간 확보, 식물교육공간 확보, 수업실습공간 확보, 휴식공간 제공을 위해 관리되어야 한다. 학습 지원하는 장소이자 놀이공간 및 휴식 공간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해야 하며 이를 위해 벤치, 퍼골라, 야외교실, 생태연못, 텃밭, 화단 등의 시설이 포함되어야 한다. 교과서에 등장하는 식물과 계절감을 느낄 수 있으며, 그늘을 제공하는 식물유형을 식재하며 식물 표찰을 설치하여 식물 정보를 제공하여 학습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교사는 외부공간의 관리가 학생들에게 교육적, 정서적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학교 공간 혁신에 대응하여 실내 공간과 유기적으로 연계하여 교육적, 정서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도록 외부공간에 대한 지속적 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예산과 인력의 확보 및 이를 지원할 정책의 뒷받침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living culture of transnational married women and to analyze the out door play of children in their hometown.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observation from 27th June to 7th July 2008 in Jian, Jilin Province China. The children's play and lifestyles were observed, and data pertaining to the culture of the people were collected by a teacher and staff. We also visited the residents for housing information. The results are given below. 1. They dressed in Korean clothes on festive days and the boys put on a hood. They had eating habits which included cooking for themselves or buying semi-manufactured goods but did not use, instant food. The housing habits involved a combination of cooking and heating by Korean floor heating system(Ondol). They utilized outdoor space to grow vegetables. Those with a fulltime job(teacher) preferred to live in an apartment but an apartment was too expensive. Public utility charges and traffic expenses were cheap. 2. The main festive days are the lunar New Year's Day and Chuseok. The children returned home and enjoyed the festive day with their parents. The language used are Korean language and Chinese. Some Korean words and phrases in Jian Joseonjok have different meanings as compared to how they are used in Korea. A capping ceremony did not to celebrate becoming an adult from an adolescent. Couples performed a wedding ceremony at a wedding hall attended by their parents and invited relatives from both families. The relatives gave the couple a wedding gift. They did not go on a wedding trip as it was not affordable but instead spent their wedding night at a hotel in this culture. When someone dies, they bury the body after cremation. They perform a memorial service for three years on the birthday of the departed. They have a banquet on the 60th birthdays with their relatives and neighbours and are typically presented with a carp for longevity. 3. They understand capitalism and therefore send their children to school to improve their social position. The Korean and Chinese languages are required subjects in school. The students choose a second language(English or Russian). They prefer English class but at the time of this study an English class was not offered at the school in Jian Joseonjok. Therefore the children entered a Chinese school. 4. The children play outdoor games such as Y$\acute{a}$o J$\grave{i}\bar{a}$(要家), X$\grave{i}$ang g$\grave{i}$(象棋), T$\grave{i}\grave{a}$o p$\acute{i}$ j$\grave{i}$n(r)(跳皮節), D$\grave{o}$uch ing g$\grave{u}$n 凍冷根, B$\bar{e}$i B$\bar{e}$i 背背, and soccer. They play games according to the season.
본 연구는 유아들이 유치원이라는 공간을 실존적으로 경험함으로써 형성되는 장소성의 의미를 유아들의 놀이를 중심으로 탐구하고 있다. 이를 위해 유아들이 경험하게 되는 유치원의 모든 공간을 연구관찰 대상범위로 선택하였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유아 관찰과 비형식 면담 교사 심층면담을 통해 유아들의 자유선택활동 시간과 바깥놀이를 중심으로 동영상 촬영이 이루어 졌다. 연구결과 유아와 교사가 경험하는 실존적 공간으로서 유치원의 장소성은 경험과 관계속에서 형성되는 공간으로서의 장소성, 놀이의 공동생산 공간으로서의 장소성, 교육과 생활이 공존하는 공간으로서의 장소성, 유아들의 경험한 유치원에 의해 만들어진 특별한 공간, 소통에 의해 공유된 공간으로서의 장소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유치원의 장소성은 유아들의 실존적인 경험과 관계를 맺고 있었으며 교사들은 공간에 대한 재해석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he examine sense of community of the residents living in an apartment complex and the relevant features of the community facilities provided in the complex, such as actual facility conditions, needs and satisfaction. Five apartment complexes constructed after 2000, each containing more than 500 units were selected for this case study.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community facilities regulated by current laws were inspected. Those facilities were the administration office, gym, multi-purpose room, sauna and shower room, indoor and outdoor children's play-grounds, study room, etc. 37 residents were interviewed to access their needs and level of and satisfaction with the provided community facilities. Based on the results, we suggest that basic community facilities for exercise, child care and children's recresion need to be provided regardless of the apartment complex size. The respondents revealed a medium level of sense of community, which was psychologically limited to their apartment complex. Indoor and outdoor children's play-grounds had great potential to encourage social interaction between the residents. The findings point to a need for improvement of the current relevant regulations with the perspectives of flexibility and application in terms of space size and mandatory types.
Schools are one of the critical social infrastructures in a society, the first place for social activity and the most important indoor environment for children besides the home. Poor IAQ in classrooms can increase the chance of long-term and short-term health problems for students and staffs; affects productivity of teachers; and degrade the student learning environment and comfort levels.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review and summarize available scientific evidence on indoor air quality of schools and related health effects in children. It was found that the indoor air pollutant levels in school buildings varied over a wide range in different parts of the world depending on site characteristics, climatic conditions, outdoor pollution levels, occupant activities, ventilation type and building practices. Among the indoor air pollutants, particulate matter concentrations were found to be very high in many schools. Outdoor pollutant sources also play a major role in affecting the IAQ of the school building. Hence, scientific knowledge on sources of indoor pollutants, quantification of emissions, temporal and spatial dispersion of pollutants, toxicological properties, chemical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pollutants and associated health risk among children in the school buildings are essential to evaluate the adequacy and cost effectiveness of control strategies for mitigating the IAQ issues.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4년 10월 1일]
이용약관
제 1 장 총칙
제 1 조 (목적)
이 이용약관은 KoreaScience 홈페이지(이하 “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이하 '서비스')의 가입조건 및 이용에 관한 제반 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 2 조 (용어의 정의)
① "이용자"라 함은 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이 약관에 따라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는 회원 및 비회원을
말합니다.
② "회원"이라 함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당 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부여
받은 자를 말합니다.
③ "회원 아이디(ID)"라 함은 회원의 식별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자신이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④ "비밀번호(패스워드)"라 함은 회원이 자신의 비밀보호를 위하여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제 3 조 (이용약관의 효력 및 변경)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회원에게 공지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이 약관을 개정할 경우에 적용일자 및 개정사유를 명시하여 현행 약관과 함께 당 사이트의
초기화면에 그 적용일자 7일 이전부터 적용일자 전일까지 공지합니다. 다만, 회원에게 불리하게 약관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최소한 30일 이상의 사전 유예기간을 두고 공지합니다. 이 경우 당 사이트는 개정 전
내용과 개정 후 내용을 명확하게 비교하여 이용자가 알기 쉽도록 표시합니다.
제 4 조(약관 외 준칙)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이용안내와 함께 적용됩니다.
②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관계법령의 규정이 적용됩니다.
제 2 장 이용계약의 체결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등)
① 이용계약은 이용고객이 당 사이트가 정한 약관에 「동의합니다」를 선택하고, 당 사이트가 정한
온라인신청양식을 작성하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후, 당 사이트가 이를 승낙함으로써 성립합니다.
② 제1항의 승낙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과학기술정보검색, 맞춤정보, 서지정보 등 다른 서비스의 이용승낙을
포함합니다.
제 6 조 (회원가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당 사이트에서 정한 회원가입양식에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가입을 하여야 합니다.
제 7 조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
당 사이트는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회원 등록정보를 포함한 회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회원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에 대해서는 관련법령 및 당 사이트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이 적용됩니다.
제 8 조 (이용 신청의 승낙과 제한)
① 당 사이트는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이용신청고객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을 승낙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아래사항에 해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승낙하지 아니 합니다.
-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한 경우
- 기타 규정한 제반사항을 위반하며 신청하는 경우
제 9 조 (회원 ID 부여 및 변경 등)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에 대하여 약관에 정하는 바에 따라 자신이 선정한 회원 ID를 부여합니다.
② 회원 ID는 원칙적으로 변경이 불가하며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변경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ID를
해지하고 재가입해야 합니다.
③ 기타 회원 개인정보 관리 및 변경 등에 관한 사항은 서비스별 안내에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제 3 장 계약 당사자의 의무
제 10 조 (KISTI의 의무)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이 희망한 서비스 제공 개시일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보안시스템을 구축하며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공시하고 준수합니다.
③ 당 사이트는 회원으로부터 제기되는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하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될 경우에는 적절한 절차를
거쳐 즉시 처리하여야 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는 회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하여야
합니다.
제 11 조 (회원의 의무)
① 이용자는 회원가입 신청 또는 회원정보 변경 시 실명으로 모든 사항을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허위 또는 타인의 정보를 등록할 경우 일체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② 당 사이트가 관계법령 및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의거하여 그 책임을 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회원에게 부여된
ID의 비밀번호 관리소홀, 부정사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③ 회원은 당 사이트 및 제 3자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
제 4 장 서비스의 이용
제 12 조 (서비스 이용 시간)
① 서비스 이용은 당 사이트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 운영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당 사이트는 시스템 정기점검, 증설 및 교체를 위해 당 사이트가 정한 날이나 시간에
서비스를 일시 중단할 수 있으며, 예정되어 있는 작업으로 인한 서비스 일시중단은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에 공지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서비스를 특정범위로 분할하여 각 범위별로 이용가능시간을 별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그 내용을 공지합니다.
제 13 조 (홈페이지 저작권)
① NDSL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KISTI는 복제/배포/전송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②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복제/배포/전송할 경우 사전에 KISTI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③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보도, 비평, 교육, 연구 등을 위하여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④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제 14 조 (유료서비스)
① 당 사이트 및 협력기관이 정한 유료서비스(원문복사 등)는 별도로 정해진 바에 따르며, 변경사항은 시행 전에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에게 공지합니다.
② 유료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회원은 정해진 요금체계에 따라 요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제 5 장 계약 해지 및 이용 제한
제 15 조 (계약 해지)
회원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가입해지] 메뉴를 이용해 직접 해지해야 합니다.
제 16 조 (서비스 이용제한)
① 당 사이트는 회원이 서비스 이용내용에 있어서 본 약관 제 11조 내용을 위반하거나,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2년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없는 경우
- 기타 정상적인 서비스 운영에 방해가 될 경우
② 상기 이용제한 규정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에게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별도 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의
일시정지, 이용계약 해지 할 수 있습니다.
제 17 조 (전자우편주소 수집 금지)
회원은 전자우편주소 추출기 등을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제 6 장 손해배상 및 기타사항
제 18 조 (손해배상)
당 사이트는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회원에게 어떠한 손해가 발생하더라도 당 사이트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손해발생을 제외하고는 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합니다.
제 19 조 (관할 법원)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한 분쟁에 대해 소송이 제기되는 경우 민사 소송법상의 관할 법원에 제기합니다.
[부 칙]
1. (시행일) 이 약관은 2016년 9월 5일부터 적용되며, 종전 약관은 본 약관으로 대체되며, 개정된 약관의 적용일 이전 가입자도 개정된 약관의 적용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