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교육부 고시 제2018-162호 [별책 2] 초등학교 교육과정.
|
2 |
김미실 외(2011).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따른 학습 공간구성 특성. 한국디자인포럼 제32권. 2-4.
|
3 |
김성근(2016). 표준설계도 폐지이후 초등학교 외부공간의 변화가 학생의 공간이용행태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8-39.
|
4 |
김재호(2007). 초등학교 실과교과서의 식물교육 내용 분석.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제39권 제3호. 29-32.
|
5 |
김정호(2013). 초등학교 교육공간에 대한 교육적 논의. 동의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0-31.
|
6 |
서미선(2020). 고등학교 외부공간 구성에 관한 연구 :휴식시간대 교실 밖 외부공간 사용실태를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
7 |
이선영 외(2013). 도심형 소규모 초등학교의 외부공간 계획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시설학회논문집 제20권 제2호. 33-42.
|
8 |
이숙정 외(2013). 초등학교 환경교육에 대한 지역별 교사의 식 비교 분석, 한국산림휴양학회지 제17권 1호. 14-18.
|
9 |
임기택(2020). 교육환경 변화에 따른 초등학교 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10.
|
10 |
정나라 외(2016). 초등학교 외부환경 관리를 위한 활동프로그램에 대한 학생의 인식 연구. 인간식물환경학회지 제19권 제15호. 443-445.
|
11 |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17). 초등학생들의 바람직한 놀이활동을 위한 학교 교육과정 편성 운영방안. KICE 이슈페이퍼.
|
12 |
한혜령(2020). 초등학교 정원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
13 |
허병이 외(2010). 사업방식변화에 따른 초등학교 외부공간 계획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환경연구원학술지 제9권 제3호. 1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