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ganization of curriculum

검색결과 357건 처리시간 0.031초

한국과 미국의 고등학교 생물과 교육과청에 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Curriculum of Biology in High School of Korea and the United States)

  • 문두호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7-31
    • /
    • 199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educational bojective, organization, contents, teaching and evaluation of the biological curriculum in high school of Korea and the United State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In case of the educational objectives, bo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the process of inquiry, experimentation and observation. Particularily, great emphasis is placed upon the human centered curriculum by reinforc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nature and human being. 2. In regard to the educational organization, eleven credit units(Science I: 5 credits, Biology: 6 credits) is allocated in Korea, and ten credit unit, in the United States. Both of Korea and United Stats designate the biology as elective course. But the science I course is designated as required in Korea 3. This study have been analyzed the educational contents of the two countries within the framwork of the basic concepts and essential informations contained in the curriculum. Results of the analysis as follow: The educational contents have less quantity and lower level in Korea than in the United States. And interrelations among the other curricula are not well considered in the curriculum of Korea/ On the other hands, interrelations among the oter curricula are fully considered and the purpose for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the process of inquiry course is well considered in the United States. The themes are stressed on "Structure and Function" (34.5%), "Genetic continuty" (21.3%), "Diversity and Unit" (14.2%) and "Regulation and Homeostasis" (10.3%) in Korea, and in the United States "Structure and Function" (27.3%), "Diversity and Unity" (25.6%), "Genetic continuty" (17.9%) and "Organism and Environment" (9.3%). 4. Regarding the educational guidance, both of Korea and the United States emphasis the interrelation of the basic concepts and principles within the total framwork. Also observation and experimentation, safety education, interest of students, life dignity, pretection of nature, social biology are reguired being paid special attentions. 5. In case of evaluation, both of Korea and the United States are the same in all of methods of evaluation. But the United States is grest stressed on reading and writing.

  • PDF

학생 포트폴리오 경진대회 심사를 위한 평가준거 개발 사례연구 (Case Study of Developing Evaluation Criteria for Students' Portfolios)

  • 박경선
    • 공학교육연구
    • /
    • 제15권4호
    • /
    • pp.76-84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valuation criteria for students' portfolios in an annual intramural contest. To accomplish the purpose, evaluation categories and their questions were developed after previous literature, ABEEK's evaluation guidelines, and eight Universities' evaluation forms were analyzed. Furthermore, experts' validity tests were completed by showing that the evaluation criteria form was validated with a mean score of 4.24. Also, the inter-rater reliability was turned out with a high score of .86. The interview results by evaluators of students' portfolios made the final version of evaluation criteria form include five evaluation criteria categories and their allotted score portions: overall organization(40), personal information(15), certificates and awards(5), curriculum(15), and extra-curriculum(15). The importance of overall organization was discussed from the perspectives of teachers as well as students.

원의 넓이에 관련된 순환논법과 국소적 조직화 (The Vicious Circle in Calculating Circle Area and the Local Organization)

  • 최영기;홍갑주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8권3호
    • /
    • pp.291-300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학교수학에서 발견할 수 있는 순환논법의 예로서 고등학교 미분과 적분 교과서에서 정적분을 통해 원의 넓이를 구하는 과정에서 발견되는 순환논법을 수학적으로 분석하고, 학교수학의 수준에서 원의 넓이에 관련된 몇 가지 증명방법들의 의미를 비교 분석한다. 특히 원의 넓이에 대한 아르키메데스의 증명과정을 고찰하여 학교수학에서 국소적 조직화의 의미와 가치를 재조명한다.

  • PDF

가정과 교육과정 모형에 대한 선호도 (Preferences for Home Economics Curriculum Models)

  • 채정현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33-49
    • /
    • 1996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1) to determine the preferences for three home economics curriculum Models(Concept-based curriculum Model, Competency-based curriculum Model, and Practical Problem-based curriculum Model) of Korean home economics(HE) teachers and HE teacher educators, (2) to determine the difference between HE teachers and HE teacher educators according to purposes of HE, focus of learning, organization of HE subject matter, focus of HE curriculum, focus of HE content, HE knowledge, main questions addressed through HE curriculum, teaching strategies, students’progress, and systems of action, and (3)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preferences for three curriculum Models and personal and professional characteristics of HE teachers. Respondents in this study were 225 HE teachers and 35 HE teacher educators. The survey method was used in this descriptive study. The survey method was used in this descriptive study. The overall curriculum Model preference of each teacher respondent was determined by counting number of times a given Model among 10 identified variables.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Chi-square to compar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preferences for three curriculum Models and personal and professional characteristics of HE teachers, coefficient of contingency tables was used. Both of HE teacher group(79.4%) and HE teacher educator group(67.6%) preferred the practical problem-based curriculum Model the most.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on preferences for the curriculum Models related to systems of action. No significant difference emerged when Chi-square was applied to determin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on overall preferences for three HE curriculum Model. The chi square values between preferences for three curriculum Model and level of school, type of school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Each contingency coefficient for level of school(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and form of school(private and public school) was 27, which means there is a low association between the preferences and level of school and the preferences and form of school.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Track for Civil Service Librarian

  • Noh, Younghee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3권1호
    • /
    • pp.31-63
    • /
    • 2013
  •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competitiveness of professional librarians in society. To this end, we analyzed domestic and international LIS curriculum, determined demand from field librarians through a survey, carried out job analysis by library types, and developed an operating model for LIS curriculum by synthesizing all of these results. Finally, we suggested a course of study for civil service librarians based on this model. As a result, the six required courses for civil service librarians are: Introduction to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formation Organization, Information Services (Reference and Information Services), Library Management, Information Retrieval, and Field Work. The four core courses for the civil service concentration are: Collection Development, Information Sources by Subjects, Public Library Management, and Digital Libraries. Suggested electives best suited to this career path include Using Web Resources, Information Literacy, Information Services in Culturally Diverse Communities, Library Marketing, Libraries and Cultural Programs, Reading Guidance, Library History, Small Library Management, Studies in Library Buildings, Library Cooperation, Managing Digital Collections, an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 a Digital Age.

병원경영학 교육 혁신과 학회의 역할 (Innovations in Hospital Management Education and The Role of Academic Society)

  • 이근찬
    • 한국병원경영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82-87
    • /
    • 2015
  • As recruitment environment of hospitals has changed, employment opportunity for graduates of the hospital management majors has been reduced in larger hospitals. So, it is necessary to reestablish the status of an academic discipline to foster the professional managers of healthcare organizations. For this, curriculum contents and teaching methods might be improved. Although we need individual efforts of the society members for educational improvement, there is a need for organization and leadership of the society.

한국의 자료조직 교육에 대한 진단과 방향 모색 (A New Direction in Korea's LIS Education: Focused on the Field of Information Organization)

  • 노지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225-245
    • /
    • 2011
  • 이 연구는 도서관에서 간접적이고 기술적인 업무로 여겨지는 '자료조직' 영역을 중심으로 우리 교육의 현실을 있는 그대로 드려내 보이기 위한 기초 작업이자 이 영역의 교육방향에 대한 심층적인 논의를 이끌어 내기 위한 발제로서의 목적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먼저 전국의 32개 대학 문헌정보학과에 개설된 교과목 중 자료조직 교과목의 비중과 교육의 주요 내용을 파악하였다. 이어, 우리 학문의 원조가 되어 온 미국의 문헌정보학계에서 진행되어온 자료조직 영역의 교육목표와 기본방향, 그리고 내용에 대한 그간의 논의를 살펴보면서 자료조직과 관련한 우리 교육의 방향에 대해 모색해 보았다. 논의에 필요한 기초데이터는 기존의 국내외 연구는 물론이고 전국 32개 대학의 문헌정보학과의 교과과정과 강의개요 그리고 북미의 주요 문헌정보대학원의 교육목표와 내용 등을 활용하였다.

남.북한 초등학교 자연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Elementary School Science Curriculum and Textbook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 최돈형;이양락;김재영;노석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43-60
    • /
    • 1998
  • 본 연구의 목적은 남 북한의 초등학교 자연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를 비교, 분석하여 교육 목표, 내용, 교수방법상의 동질성과 이질성을 추출함으로써 통일을 대비한 초등학교 자연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개발에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남 북한의 교육과정 운영 방식과 문서 체제, 교과 편체, 자연과 교육 목표와 학습 영역의 계열성, 교육에서 강조점, 교수 학습 및 평가 방법을 분석하였다. 또한 초등학교 자연 교과서 개발 및 보급 체제, 교과서의 외형적 체제 및 내용 조직 방식, 내용 요소별 구성 비율, 내용의 범위와 수준, 용어 등을 분석, 비교하였다. 자연과 교육 내용의 분석틀로는 TIMSS 틀을 이용하였으며, 분석 대상 교과서는 남한의 '슬기로운 생활' 4권, '자연'8권, 그리고 북한의 인민학교 3학년 및 저학년용 '자연' 교과서 2권이다. 이 연구 결과 남 북한 초등학교 자연과의 교육 목표, 내용 및 교육 방법, 용어 등에서 많은 차이가 있음이 밝혀졌다. 그러나 이 연구는 매우 제한된 문서에 터해 이루어진 것으로, 북한의 실상을 파악하기 위한 보다 광범위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통일을 대비한 과학 교육 정책, 교육과정 시안 및 교과서 개발 등의 보다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 PDF

교육과정 총론의 문서 체제에 나타난 고등학교 정보과 교육과정의 변천 (Changes in the high school informatics curriculum appearing in the document system of the general guidelines of the national curriculum)

  • 김자미;이원규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27-40
    • /
    • 2016
  • 교육의 변화나 교육과정의 변화는 시대적 필요와 지식의 변화로 인한 필요에 근거한다. 본 연구는 두 가지 필요 모두를 내재한 고등학교 정보과 교육과정의 변천 분석을 통해 교육과정 총론 구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연구 진행에 따라 교육과정 총론의 분석을 통해 2007, 2009 개정 시기,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구성, 정보과 교육과정의 위상 변화, 그리고 정보 과목의 크기를 분석하였다. 교육과정 총론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 개선이 요구되었다. 첫째, 이수단위에 대한 명확성, 둘째, 진로선택과목의 타당한 구성, 셋째, 사용하는 용어에 대한 명확한 정의 등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세계 각국에서 강조되는 SW교육의 관점을 고려하고, 교육과정 총론에서는 고등학교 정보과에 대해 어떤 편성과 운영을 제시하고 있는지를 분석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한국의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과 미국의 수학과 교육과정 규준 CCSSM의 비교.분석 -초등학교 수와 연산 영역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2009 Revised Curriculum for Mathematics in Korea and the Common Core State Standard for Mathematics(CCSSM) in the U.S. -Focus on the Number and Operation Strand in Elementary School -)

  • 안지영;전영주;윤마병;이종학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7권4호
    • /
    • pp.437-464
    • /
    • 2014
  • 본 연구는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과 CCSSM의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비교 분석을 통하여 한국과 미국의 교육과정에 대한 공통점과 차이점을 알아보고, 우리나라 초등 수학과 교육과정의 개발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의 2009 개정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과 미국의 CCSSM에서 각각의 내용 영역명과 해당 영역의 학년 분포 및 내용 체계, 내용 규준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이 분석을 기반으로 첫째, CCSSM 내용 영역명에 따른 2009 개정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해당 내용을 분류하여 학년군별로 취합하였고, 둘째, 한국과 미국의 교육과정 내용을 주제별로 분류하여 비교하였으며, 셋째, 이 과정에서 한국과 미국의 초등 수학교육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