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dinary student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21초

초등학생의 과학, 공학, 기술에 대한 인식 및 과학자, 공학자, 기술자에 대한 이미지 조사 (A Study on Elementary Students' Perceptions of Science, Engineering, and Technology and on the Images of Scientists, Engineers, and Technicians)

  • 정진규;김영민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4권8호
    • /
    • pp.719-730
    • /
    • 2014
  •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과학, 공학, 기술에 대한 인식과 과학자, 공학자, 기술자에 대한 이미지를 조사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조사도구로 Fralick et al. (2009)의 연구에서 사용된 DAST(Draw a scientist test)를 Draw a scientist at work와 Draw a engineer at work를 수정하고 변형하여 사용하였으며, 경남 G시의 S초등학교 6학년 209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초등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과학자의 이미지는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전형적인 과학자의 이미지와 비슷하였다. 공학자의 대표적인 이미지는 짧은 머리에 안경을 쓰고 있지 않으며 평상복을 입고 일을 하고 있는 형태이다. 그리고 주로 선박, 로봇, 컴퓨터, 비행기를 설계하거나 만드는 모습을 나타내었다. 기술자의 대표적인 이미지는 짧은 머리에 보호 장갑을 끼고 용접용 마스크를 착용하였다. 기술자는 자동차, 로봇 등을 고치거나 렌치, 드라이버, 용접기 등을 이용하여 일하는 모습을 나타내었다. 학생들은 공학과 기술을 학문으로 인식하지 못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또한, 공학, 기술의 연구 분야, 연구 방법에 대해서도 다양하게 인식하지 못하였다.

언어네트워크분석을 통해 본 과학중점학교 과학수업의 특징 (Features of Science Classes in Science Core Schools Identified through Semantic Network Analysis)

  • 김진희;나지연;송진웅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565-574
    • /
    • 2018
  • 본 연구는 과학중점학교 과학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여 과학중점학교 사업을 통해 우리나라 과학교육의 개선을 위해 시행된 과학중점학교에 대한 전략적 지원과 노력들이 수업에서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4개 과학중점학교의 학생 654명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학생들은 과학중학교 과학수업의 특징과 과학중점학교가 일반 고등학교와 다른 점을 묻는 2개의 개방형 문항에 응답하였다. 학생들의 응답은 언어네트워크 분석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학생들은 교사와 학생의 원활한 소통, 학생들이 자유롭게 질문하고 서로 토론하며 적극적으로 수업에 참여하는 분위기, 과학 실험 활동, 어려운 과학 내용을 배우는 것, 학습된 지식을 공유하는 긍정적인 수업 분위기 등을 과학수업의 특징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학생들이 인식하고 있는 과학중점학교의 차별적 특성으로는 많은 수의 과학 관련 교과목(과제연구, 과학II 과목 등)의 이수, 관심 있는 분야의 비교과 체험활동, 탐구 및 연구 중심의 학생활동과 이에 대한 학교의 지원, 좋은 수업 분위기, 과학과 관련한 많은 수업시간, 활발한 R&E 및 동아리 활동, 다양한 과학실험 활동 등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과학중점학교의 과학수업에 대한 '어렵고 힘들지만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수업이라는 이러한 분석결과는 선행연구들에서 밝혔던 좋은 과학수업의 모습과 많이 유사한 것이기도 하였다. 그동안 과학중점학교에 대해 이루어졌던 여러 행 재정적인 지원과 함께, 과학 교실수업에 대한 본 연구의 조사결과는 앞으로 이루어질 학교교육의 혁신 프로그램의 도입에 실질적인 도움과 벤치마킹 사례를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한다.

중국 및 몽고제국의 포제와 민족복에 나타난 ' 깃 (옷깃)'에 대한 연구 -13세기를 중심으로- (A Study on form of 'collar' in the China and Mongolian Traditional OverCoat & National Costume -Focusing on 13th Century's-)

  • 김은주
    • 복식
    • /
    • 제19권
    • /
    • pp.209-240
    • /
    • 1992
  • The costume of any nation is an attribute of a culture. This study concerns chinese and Mongolian costume's 'collar' form according to the observation of some reports about import folk materials and the pictures of the genuine objects, the author has investigated and rearranged them focusing on 13th Century's. 1. Traditional OverCoat or National costume on the poing of won dynasty in china such as Jacket, Coat, Mantle for making classical matching color, lacing, pearl pieces, and all costume shall be properly decorated and disigned. The example, Chinese Women's Gown and Double Jacket, on top of alignment of plaid, focus shall be placed on chinese classical form and color-matching, such as flowers and bireds, butterflies, made wishing ornaments, which shall be either hand painted or embroidered on collars, fronts, sleeves openings, and lower portion of gown. 2. Mongolian Costume, the stone status of a person, are seen at the territory of the Republic of Mongolia was a powerful country of Asia. So during the Mongolian Empire a lot of Missions from many countries came to kharakorom for establishing official relations between Mongolia and a country represented by mission. In particularly, the costume of mongols on the point of Chinggis khan Empire which the upper clothes in cluded ; a several kinds of the Caftan as compared with in Korea as to material (Silk caftan, Cotton Caftan, Fur Caftan) with closing to the right due to overlapping and Stand-up-Shawl Collars will pancho style & Round or V Neckline. 3. As compared with in Korea it is said that this a sort of Simui was brought in prior to the middle of Koryeo dynasty. Korean Simui system was complied with chinese system through confucian domestic behaviour. This was respected for court dress of confucian scholars, as it was, Chumri can ordinary dress of schloars) and Hakchangui ( a uniform of confucian student). Generally its form or shape of the outer lapels of Korean jacket were used together Squar-Tray-Collar. In late Yi-dynasty the inside collar length was longer than the outside collar length and the width of the collar was gradually narrow. And so the Traditional costume's outer collar of Jacket and OverCoat became small while the width and length of breast-tie became large. The same thing as the form of the collar on these days had been appeared by the design method or adjust one's dress. Therefore the form of collar in the china and Mongolian Traditional OverCoat & National Costume is fix arranged according to Stand up Collar, Without Collar, Clothing to the Right, Central opening, Horizontal Row of Button with Round or V Neckline and so on.

  • PDF

미용대학생들의 성격특성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Characteristics of the Beauty Major Students)

  • 고성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336-344
    • /
    • 2020
  • 본 연구는 미용전공 대학생의 사회심리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2019년 충남북지역에 위치한 대학의 학생 298명을 대상으로 PAI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용전공 대학생들과 일반전공 대학생들의 평균척도를 비교하였을 때 미용전공 대학생들은 일반전공 대학생에 비해 임상척도에서 높은 프로파일 유형을 보였으며 특히 신체적 호소(SOM)와 음주문제(ALC)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미용전공 대학생들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PAI척도를 탐색하기 위해 미용전공 대학생들과 일반전공 대학생들의 비교에서 유의미했던 신체적 호소(SOM), 망상(PAR), 공격성(AGG), 자살관념(SUI)의 4개 척도를 탐색요인으로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신체적 호소(SOM)의 척도가 추출되어 미용전공 대학생들을 예측해 줄 수 있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미용전공 대학생들이 일반전공 대학생들보다 신체적 문제에 더 집착하며 충동적인 경향이 높은 행동양식을 갖고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앞으로 미용전공 대학생들을 선발, 관리, 교육, 상담자료로서 활용하거나 이들이 졸업 후 직업선택 등에서 많은 시사점을 제공하게 될 것이다.

학교 숲 체험 활동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과학탐구능력과 과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School Forest Activities Program on Science Process Skill and the Attitude toward Science of Elementary Student)

  • 송주현;이형철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82-192
    • /
    • 2018
  • 본 연구는 학교 숲 체험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학생의 과학탐구능력 및 과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학교 숲 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에 도움이 될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실험반과 비교반을 정하고 사전검사 후, 실험반은 자체 개발한 학교 숲 체험 활동 프로그램 10차시를, 비교반은 같은 차시 동안 사진 자료와 교사의 설명, 학습지를 활용한 수업을 실시하였다. 수업 후 사후검사를 하였고 실험반은 학교 숲 체험 활동 프로그램을 경험한 소감을 인터뷰 형식으로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숲 체험 활동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과학탐구능력의 평균 점수에 있어서의 향상 폭이 비교반 보다 더 크긴 했지만 그것이 유의미한 결과는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 숲 체험활동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태도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과학의 사회적 의의', '과학자의 평범성', '과학탐구에 대한 태도', '과학 수업의 즐거움', '과학에 대한 취미로서의 관심', '과학에 대한 직업으로서의 관심' 등 모든 하위 영역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났다. 그리고 인터뷰를 통하여 학생들은 학교 숲 체험 활동 프로그램에 대해서 흥미롭게 생각했으며 만족도 또한 높았음을 알 수 있었고 그것이 과학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으로 향상하는데 기여했을 것으로 판단된다.

힌두교의 아슈라마(ashrama)에 관한 교육적 고찰 : 교육이념?목적?목표와 내용 및 방법을 중심으로 (Education Reflection on the Concept of Hinduism Ashrama)

  • 우버들;강민아;손동인;신창호
    • 한국교육학연구
    • /
    • 제24권4호
    • /
    • pp.287-311
    • /
    • 2018
  • 본 연구는 힌두교의 아슈라마(ashrama)에 담긴 교육적 특징에 관한 고찰이다. 아슈라마에서 추구하는 교육의 이념과 목적, 그리고 목표를 설정한 후, 그에 따른 교육내용 및 방법을 구체화하였다. 힌두교의 이념은 정신의 근원적 해방인 목샤(moksa)로 이른바 해탈을 추구한다. 그 교육의 목적은 아슈라마에 따른 다르마(dharma)를 파악하는 작업으로 인생의 네 단계를 '학습기-가정생활기-자기통제기-득도기'로 구분하였다. 학습기의 교육은 베다를 통해 사회규범을 학습하고 본인의 과업 및 책임을 아는 것으로, 베다의 내용을 반복 암송하고 스승-제자 사이에 상호의존적 도제방법을 통해 수행된다. 가정생활기의 교육은 결혼을 하고 가족을 돌보며 사회가 요구하는 여러 서비스를 생산하는 생업에 종사하는 것을 교육목표로 제시하고, 제사 및 가족 공동체 생활 등의 경험을 통한 체득을 교육내용 및 방법으로 삼았다. 자기통제기의 교육은 사회에서 물러나 규범 및 규칙을 통해 자신을 확립하고 집착하지 않음을 교육목표로 제시하여, 극심한 고행과 요가의 여덟 단계를 통해 자기통제를 완성하는 일이다. 득도기 교육은 번뇌의 속박에서 벗어나 영적 자유에 도달한다는 교육목표 아래, 성지 순례와 명상을 교육내용 및 방법으로 구체화하였다.

과학영재학교 과학교사들의 영재교육에 대한 신념과 교수활동 유형 (Beliefs About Gifted Education and Classroom Practices of the Science Teachers at Science Academy in Korea)

  • 김경진;권병두;김찬종;최승언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514-525
    • /
    • 2005
  • 일반교육에서와 마찬가지로 영재교육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하여서는 영재학생들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의 역할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현재 각급 학교에서 영재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대부분의 교사들은 단 기간의 영재교육연수를 받은 후 영재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이런 단기간의 영재교육연수만으로도 그동안 일반 학생들을 담당하고 있던 교사가 영재교육에 대한 나름대로의 철학을 정립하고 영재학생들을 효과적으로 가르칠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최근 교사의 신념이 교수활동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시사하는 연구 결과가 많이 발표되고 있다. 이 논문은 현재 과학영재학교에서 과학과목을 가르치고 있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사례연구를 수행하여, 영재교육에 대한 교사의 개인적 신념과 교수활동과의 관계를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에서 구체적 으로 다루고자 하는 문제는 다음과 같아. 첫째, 연구에 참여한 교사들의 영재교육에 대한 신념은 무엇인가? 둘째, 이들의 신념은 교수활동에 어떤 방식으로 반영 되고 있는가? 본 연구에 참여한 교사들은 과학영재학교 물리교사 2명, 생물교사2명, 기구과학교사1명으로 총 5명이다. 자료는 참여교사 당 4차시의 수업 관찰 및 녹화, 심층면담을 통해서 수집하였고, 모든수업과 면담자료를 전사 후에 분석하였다. 이외에 추가적인 자료는 이메일을 통해서 수집하였다. 참여교사들의 사례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참여 교사들의 영재교육에 대한 신념은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교수학습관과 교과목에 대한 신념이 서로 맞물려 하나의 신념체계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참여교사들의 신념체계는 '학생 중심', '교사 중심', '갈등 혼돈', 이 세 가지 형태로 나눌 수 있었다. '학생 중심' 신념체계를 가진 교사들은 수업진행 시 학생들의 질문이나 의견이 중요한 역할을 하게 하며, 학생들이 교사의 지적권위에 의지하지 않고 학생들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도록 함으로써, 학생들이 수업에 주체가 되어 적극적으로 수업에 동참하게 하는 교실 참여구조를 보이고 있었다. '교사 중심' 신념체계를 가진 교사들은 주어진 시간 내에 많은 지식을 가르치는데 치중하고, 수업진행에서 학생보다 교사가 절대적인 역할을 수항하여 학생들이 주체적으로 수업을 이끌어나가기 보다는 교사의 지적권위에 학생들이 의존하는 수동적인 교실 참여구조를 보이고 있었다. '갈등 혼돈' 신념체계를 가진 교사는 자신만의 확고한 신념체계가 아직 형성되어 있지 않으며, 교수활동에서 전통주의 교수학습관이 많이 반영되고 있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교사의 신념이 교수활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다시 확인시켜준다. 특히, 영재학생 담당교사의 경우는 영재교육에 관한 신념뿐 아니라 교수학습관과 교과목에 대한 개인적 신념이 교수활동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에 더하여 연구자는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영재교사교육에 대한 몇 가지 개선점을 제안하였다.

간호학생의 효과적인 자율학습을 위한 조사연구 (A Study on the Effective Independent Study of Nursing Student)

  • 김광주;이향련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6-42
    • /
    • 1978
  • This survey was made for a month starting from November 15 to December 15, 1977 covering 711 students taking the junior. (3rd-yea.) and the senior. (4th-year) at nine college of nursing in Seoul concerning their perception and Attitude toward the profession of nursing, motive for the necessity of learning, environment of study, attitude of study and particulars relevant with study performance, particulars of library, references and reading, assignments and particulars of the degree of confidence for the learning achievement. Through the survey of the above Particular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by classifying all subject matters and by analysing motive of the selection of their course, awarding or not awarding of scholarships. 1. General characteristics: it was revealed that 406 students (57.1%) were attending at the junior. while 305 students (42.9%) were taking the senior. Thus, the total number was 711 and their average age was 21.4 years. Their dwelling category was; 73.9 percent of them resided at their parent's home, 214 students (30.1%) were awarded with scholarships. The reason to be attracted by nursing science was the possibility of continuing social life after graduation (43.5%). 2. Their perception and attitude toward the profession of nursing: According to the perception of profession by the students of each grade, students of the 4th grade showed comparatively strong conception. Also, students of the 4th grade showed more positive attitude in the purchase and reading of magazines relative with the science of nursing, in the reading of Code for Nurses and in their interest in the activity of nursing field. For the necessity of mission of nurse, 97.7 percent of the entire number of students covered responded to necessity. For the necessity of the particular humanity and particularity in the character of nurses, 95.8 percent of those students responded to necessity. By the each grade, students of the 4th grade showed more response. 3. As to professional field desired after completing the professional course: 57 percent of those students desired for clinician nurse while 55 percents desired for community health-nurse. 4. As to the environment of study: they were mostly satisfied with their present residential environment. However, they complained of inconvenience at their lecture-halls. Students of the 3rd grade showed more complain. As to their attitude toward the adjustment of environment of study, they showed a affirmative response. As to the opinion of factors which interfere with their study, comparatively strong response was showed in their scepticism in the science of nursing, insufficient comprehension in general learning, relation with professors n4 discrepancy in the method of study. According to opinions of students at each grade, students of the 4th grade showed more scepticism. 5. Particulars relative with their attitude and performance of study : As to their knowledge of the objectives of their study of subject, the majority was to study with a partial knowledge of the objectives of their study. As to the plan of study, a low percentage indicated management of routine life under regular scheduling. Students of the 4th grade responded to rather planned life. As to time spent in independent study, response to concentrated study when necessary was stronger than that to regular daily study. Students of the 4th grade showed stronger response to regular study than that of the 3rd grade. As to the contents of their note-taking, 67.4 percents of those students responded to such regulatory procedure performing in the lecture-hall as they listen to lectures. 17.3 percents of those students showed response to adding supplementary informations from references to what was entered in choir note-taking at their lecture-halls. 6. Particulars of library, references and reading books: As to receiving of instruction for the utilization of library and time of receiving such instruction 64.7 percents of those students had received such instruction. 66.7 percents of the those responded received such instruction at orientation conducted for freshmen. As to the convenience of the utilization of library, 49.9 percents of those students responded to convenience. However, students of the 3rd grade showed a much stronger response to inconvenience. As to the time of the utilization of library,92.5 percents of those students showed a response to occasional utilization for particular purpose than regular utilization. 53.2 percents of those students responded to ordinary in quantity that library have references. 34.2 percents of those students responded to insufficient. As to the particular relative with the method and field of reading: 53.5 percents of those students responded to intensive reading and was the majority. As to the reading field, fiction u as the majority. When read any books for their major, they usually rend Korean text-b, oks. 7. Particular relative with giving assignment: All respondents were well aware of the objectives of giving home tasks. As to the attitude toward assignments and performing home tasks, 54.8 percents of those students to making ostentatious study because of an excessive quantity of assignments imposed. For performing assignment, they showed comparatively positive response. Also, 52.2 percents of those students responded that they usually submitted complected assignment with references. 8. As to motive to realize the necessity of study : 55.6 percents of those students responded that they realized such necessity in communication with patients when they were engaged in clinical practice. Also, 8.6, the lowest percents of those students responded that they realized such necessity in the course of conversation with nurses when they were engaged in clinical practice. 9. As to the determination of their confidence in the performance of study relative with clinical experience: They showed a general inclination of having in nursing. The major response was that they came to well comprehend the patients families. the lowest response was that they could apply what was learned at lecture-hall to practice. This response incidentally showed the distance the lecture-hall and practical study. In general items, students of the 4th grade showed more favorable response than students of the 3rd grade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10. As to the perception and attitude toward profession according to the motive of selecting the nursing science : Those who selected the nursing voluntarily showed stronger conception than those who selected the nursing through indirect influence.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this point. Only there was a remarkable difference in the reading of Code for Nurses. 11. Those who showed a stronger conception in the profession of nursing according to the motives of attractive nursing science indicated a strong will and ability to manage stable life and comparatively strong response was shown in the management of good home life because of the good adaptability of the science to their character. This group showed a strong conception of the profession than those who responded that they prefer this profession out of a longing for the work of a hospital and for the easy obtaining of opportunity to immigrate to over seas and for economic cause and for high school grade.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se two groups, 12. As to the conception and attitude toward the profession of nursing according to benefits by scholarships, those who were benefitted by scholarship showed stronger conception of profession than those who did not receive scholarship and there was a remarkable difference between these two categories. However, there was no remarkable difference between these two categories in the extent of interest of the activities of nursing fields and in the reading of Code for Nurses. 13. As activation for study according to the benefits of scholarships, those who were benefitted by scholarships showed stronger response to the motive for study comparing with those who receive. 14. As to tile field of reading according to the benefits by scholarships, those who received scholarships tended to read autobiographies and essayers to a considerable extent. Those who did not receive scholarships tended to read novels. Those who received scholarships more read nursing boots than those who did not receive scholarships. 15. As to the attitude of study and doing of assignment according to benefits of scholarships, those who received scholarships managed a favorable life with schedules for study, More students of receiving scholarship showed a regular study for more than one hour per day. Also, in the method of doing home tasks, more students of receiving scholarship showed reference to relative books frequently for the submission of completed assignmen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