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ducation Reflection on the Concept of Hinduism Ashrama

힌두교의 아슈라마(ashrama)에 관한 교육적 고찰 : 교육이념?목적?목표와 내용 및 방법을 중심으로

  • Published : 2018.12.31

Abstract

This research identifies an educational ideal, purpose of goal intrinsic to Hindu ashrama and provide a concrete list of appropriate educational contents and methods in accordance with them. The ideal is moksa a pursuit of spiritual liberation. The goal is to be consciously aware of and practice the Dharma at each of the four stages of life, as preserved in ashrama, by completing the educational contents and methods in each stage. In the fist stage, the student stage, the goal is to learn social laws, recognize his vocation and responsibilities through studying Veda, and engage in apprenticeship with the teacher. In the second stage, the householder stage, the goal is to get married, take care of his family, and produce the kinds of service the society requires of him. In order to do so, he is expected to learn in his ordinary life the manners for family members and the ways of ancestral rituals. In the third stage, the self-disciplined stage, the goal is to retire from social responsibilities, behave in accordance with norms and rules, and set oneself free from material desire. In order to do so, he is expected to complete the eight stage of yoga and practice asceticism. In the four stage, the nirvana stage, the goal is to completely free from obsession and reaches the spiritual liberation. In order to do so, one is expected to participate in meditation and pilgrimage to the Holy Land until he reaches the final point.

본 연구는 힌두교의 아슈라마(ashrama)에 담긴 교육적 특징에 관한 고찰이다. 아슈라마에서 추구하는 교육의 이념과 목적, 그리고 목표를 설정한 후, 그에 따른 교육내용 및 방법을 구체화하였다. 힌두교의 이념은 정신의 근원적 해방인 목샤(moksa)로 이른바 해탈을 추구한다. 그 교육의 목적은 아슈라마에 따른 다르마(dharma)를 파악하는 작업으로 인생의 네 단계를 '학습기-가정생활기-자기통제기-득도기'로 구분하였다. 학습기의 교육은 베다를 통해 사회규범을 학습하고 본인의 과업 및 책임을 아는 것으로, 베다의 내용을 반복 암송하고 스승-제자 사이에 상호의존적 도제방법을 통해 수행된다. 가정생활기의 교육은 결혼을 하고 가족을 돌보며 사회가 요구하는 여러 서비스를 생산하는 생업에 종사하는 것을 교육목표로 제시하고, 제사 및 가족 공동체 생활 등의 경험을 통한 체득을 교육내용 및 방법으로 삼았다. 자기통제기의 교육은 사회에서 물러나 규범 및 규칙을 통해 자신을 확립하고 집착하지 않음을 교육목표로 제시하여, 극심한 고행과 요가의 여덟 단계를 통해 자기통제를 완성하는 일이다. 득도기 교육은 번뇌의 속박에서 벗어나 영적 자유에 도달한다는 교육목표 아래, 성지 순례와 명상을 교육내용 및 방법으로 구체화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