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al health prevention

검색결과 540건 처리시간 0.037초

우식위험평가에 의한 우식 고위험 유아의 치아우식 관리 (Caries Management of High-Risk Children by Caries Risk Assessment)

  • 구서연;이수영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97-104
    • /
    • 2018
  • 본 연구는 유아의 구강건강 증진을 위한 우식예방효과를 알아보고자 우식위험이 높은 6세 유아를 대상으로 CRA에 따라 위험군을 분류하고 치아우식 예방을 위한 중재를 시행한 후 변화를 평가하였다. 사전에 부모 인터뷰(CRA 설문지)를 통해 선별된 최종 연구대상자 33명을 대상으로 첫 방문 시 구내검사, 타액분비율검사, 우식원인균검사, 산생성능검사를 실시하고 CRA 설문지에 따라 우식위험군을 분류하였다. 대상자들에게 4개월 간격으로 불소도포 및 구강보건교육 실시하고 1년 뒤 첫 방문 시와 동일하게 평가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연구대상자의 우식위험군 분포는 초기에 중위험군이 18.2%, 고위험군이 39.4%, 초고위험군이 45.4%로 나타났으며 1년 후에는 중위험군이 6.1%, 고위험군이 39.4%, 초고위험군이 54.5%로 중위험군이 감소하고 초고위험군이 다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재 전후 dft index 평가 결과, 모든 위험군에서 중재 후 dft index가 증가하였으며, 군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p=0.008). Cariview score는 중위험군과 초고위험군에서 중재 후 Cariview score가 다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중재 전후 군 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우식원인균 평가 결과, SM균은 모든 군에서 중재 후 ${\geq}10^5CFU/ml$ saliva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LB균은 고위험군과 초고위험군에서 중재 후 전반적으로 균이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타액분비율에서는 우식위험군이 높아질수록 타액분비율이 낮아지는 양상을 보였으며 중재 전후 모두 우식위험군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이상의 결과를 볼 때 정기적인 우식위험관리가 우식 고위험 아동들의 우식위험요소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관련된 후속 연구를 통해 국내 실정에 맞는 정기적인 우식위험관리 체계의 모색이 필요하다.

유치와 영구치의 외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juries in deciduous teeth and permanent teeth)

  • 이미라;지민경;민희홍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27-136
    • /
    • 2011
  • Objectives : The writer aimed to examine the dynamic aspect on damage and to be conducive to the swift cure according to right treatment to educate prevention of injury through surveying on the number of the damaged teeth given injury, tooth kind, type in damage, place and cause for being damaged, frequency by month and by time level, and location of the damaged tooth. Methods : Targeting 343 teeth of receiving injury in 201 patients who visited the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the department of preservation, and the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in a dental hospital in Cheonan city from April 2007 to April 2009, by having the dental injury as the main reason,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Results : 1. Deciduous teeth were indicated to be the highest in imperfect luxation with 60.7%, and were indicated to be in order of crown fracture with 25.5%, root fracture with 12.4%, and perfect luxation with 1.4%. The permanent teeth were indicated to be the highest in crown with 58.1%, and were indicated to be in order of imperfect luxation with 27.3%, root fracture with 13.1%, and perfect luxation with 1.5%(p<0.001). 2. In case of deciduous teeth for a place with damage, the home was indicated to be the highest with 31.7%. The permanent teeth were indicated to be the highest(p<0.001) in the road and stairs with 40.4%. As to a cause for damage, both deciduous and permanent teeth were indicated to be the highest(p<0.001) in a cause for falling with 53.1% and 30.8%, respectively. 3. As for a treatment method, in case of deciduous teeth, the close observation was indicated to be the highest with 46.9%. In permanent teeth, the resin restoration was indicated to be the highest(p<0.001) with 22.2%. Dental injuries in deciduous teeth and permanent teeth are showing diverse aspects. Conclusions : It is important to arrange guidelines on cure of the damaged teeth by injury through continuing a dynamic research on these aspects. Also, the damage in deciduous teeth may have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 upon growth in successional permanent teeth. Thus, through careful treatment, the injury needs to be minimized. It is considered to be likely necessary for a right coping method when injury occurs, and above all, for enough prior education so that injury cannot occur.

Immunomodulatory Effects of Aureobasidium pullulans SM-2001 Exopolymers on Cyclophosphamide-Treated Mice

  • Yoon, Hyun-Soo;Kim, Joo-Wan;Cho, Hyung-Rae;Moon, Seung-Bae;Shin, Hyun-Dong;Yang, Kun-Ju;Lee, Hyeung-Sik;Kwon, Young-Sam;Ku, Sae-Kwa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0권2호
    • /
    • pp.438-445
    • /
    • 2010
  • The immunomodulatory effects of Aureohasidium pullulans SM-2001 exopolymers containing $\beta$-1,3/1,6-glucan were evaluated in cyclophosphamide (CPA)-treated mice. To induce immunosuppression, 150 and 110 mg/kg of CPA were intraperitoneally injected 3 days and 1 day, respectively, before beginning administration of the test material. Exopolymers were delivered subcutaneously or orally, four times, in a volume of 10 ml/kg at 12-h intervals beginning 24 h after the second CPA treatment. Changes in thymus and spleen weights, splenic amounts of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 interleukin (IL)-$1{\beta}$, and IL-10, and numbers of CD3+, CD4+, CD8+, and TNF-$\alpha+$ thymus and spleen cells were monitored in CPA-treated mice. As a result of CPA treatment, dramatic decreases in the number of CD3+, CD4+, CD8+, and TNF-$\alpha+$ cells were detected in the thymus and spleen, along with decreases in thymus and spleen weights. In addition, splenic TNF-$\alpha$, IL-$1{\beta}$, and IL-10 contents were also decreased on observation with flow cytometry. However, oral and subcutaneous treatments with exopolymers effectively reduced the immunosuppressive changes induced by CPA. Therefore, it is concluded that exopolymers of A. pullulans SM-2001 can effectively prevent immunosuppression through, at least partially, the recruitment of T cells and TNF-$\alpha+$ cells or enhancement of their activity, and can provide an effective component of prevention or treatment regimens for immunosuppression related to cancer, sepsis, and high-dose chemotherapy or radiotherapy.

자일리톨 섭취에 따른 Streptococcus mutans의 글루칸 생성관련 유전자 발현 억제효과 (INHIBITION OF GLUCAN SYNTHESIS RELATED GENE EXPRESSION OF STREPTOCOCCUS MUTANS BY XYLITOL TREATMENT)

  • 김지혜;이영은;안상헌;최연희;남순현;송근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531-538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장기적인 자일리톨의 섭취가 Streptococcus mutans의 대표적인 독성인자 중 하나인 글루칸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글루칸 합성효소인 glucosyltansferase의 mRNA 발현을 실시간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을 통해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24개월 동안 자일리톨껌을 섭취한 군에서 타액 내 Streptococcus mutans의 colony 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2. 비수용성 글루칸 합성에 관여하는 유전자인 gtfB, gtfC의 발현은 자일리톨껌을 섭취한 군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유의 하게 감소하였다(p<0.05). 특히 gtfB의 발현은 12개월과 24개월째 대조군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고, gtfC의 발현은 24개월째 대조군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p<0.05). 3. 수용성 글루칸 합성에 관여하는 유전자인 gtfD의 발현 역시 자일리톨껌을 섭취한 군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또한 gtfD의 발현은 12개월과 24개월째 대조군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p<0.05).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해 보았을 때, 자일리톨의 섭취는 구강 내 Streptococcus mutans의 글루칸 합성 관련 유전자들의 발현을 억제시킴으로써 Streptococcus mutans의 수적인 감소를 가져오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유아의 연령에 따른 어머니들의 우유병우식증에 대한 인식도 조사 (A Survey on Mothers' Awareness of Nursing Bottle Caries according to Infants' Age)

  • 민희홍;이미라;지민경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127-138
    • /
    • 2008
  • Dental caries in infants is a representative oral disease causing the malocclusion of permanent dentition and developmental variations in the permanent teeth, so it is very important to manage caries in infants. Thus, in order to survey mothers who visited pediatric dentistry concerning their awareness of nursing bottle caries and to obtain data necessary for developing education materials to prevent nursing bottle caries, the present study conducted a survey using a self reporting questionnaire with 205 mothers who visited the Pediatric Dentistry of a dental hospital in Cheonan with a child aged below 5 during the period from June 7 to August 2 in 2008, and obtained results as follows. 1. The awareness of dental caries was highest in the group aged over 37 months 96.8%, and next in order of age 13~24 months 96.5%, 25~36 months 94.5%, and younger than 13 months 83.3%. 2. The awareness of nursing bottle caries was highest in infants aged over 37 months 58.7%, and next, in 13~24 months 57.9% and in 25~36 months 54.8%, and lowest in infants younger than 13 months 33.3%, suggesting the necessity of education on nursing bottle caries(p=0.423). 3. As to the time of the first visit to dental clinic, 50.0% of infants younger than 13 months, 52.6% of those aged 13~24 months, and 49.3% of those aged 25~36 months replied the completion of the eruption of primary teeth, and 36.5% of those aged over 37 months replied the occurrence of dental caries. Thus, the motives for visiting dental clinic were different among the age groups, and the differenc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p=0.005). 4. The age of toothbrushing to be started by mother's opinion was 6 months in 0.5%, 12 months in 68.8%, 18 months in 22.9%, 24 months in 5.9%, and 25 months in 1.0%, an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according to age. 5. The number of toothbrushing was usually once a day after meal. and increased by in age was shown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ce(p=0.035). 6. The most frequent method of preventing nursing bottle caries was regular toothbrushing in all the age groups, and next restriction of sugar intake, regular dental consultation, and fluoridation in order The most effective prevention of dental caries was regular visit to dental clinic and next, toothbrushing after meal.

  • PDF

인진호 열수 추출물이 thioacetamide에 의해 유발된 간손상에 미치는 간보호 효과 (Protective effect of Artemisiae Capillaris Herba water extract on liver injury induced by thioacetamide)

  • 김민주;이진아;신미래;박해진;노성수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4권4호
    • /
    • pp.412-421
    • /
    • 2021
  • 본 연구는 TAA 복강투여로 유발된 간 손상 동물모델에서 인진호 열수 추출물의 간보호 효능을 평가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TAA로 인해 줄어드는 체중은 인진호 열수 추출물을 투여한 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간손상에 의해 증가한 혈중 암모니아 함량과 MPO 활성은 인진호 열수 추출물 투여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간 조직의 western blotting 결과, 인진호 열수 추출물 투여가 산화적 스트레스 관련 인자들의 발현을 유의적으로 감소시키고, 항산화 관련 인자들의 발현을 유의하게 증가시켰으며, MMPs의 발현은 감소시키고 TIMP-1의 발현은 증가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인진호 열수 추출물은 TAA로 유발된 간손상 동물모델에서 항산화 작용을 통해 산화적 스트레스를 억제하여 간보호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판단된다.

대도시 일부 여대학생들의 식이섭취행태, 체성분 및 골밀도와 치아우식증과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Correlation between Food Intake PatternBody ComponentBMD and Dental Caries Experience of College Women)

  • 정영희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47-153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영양상태평가를 위해 먼저 식품섭취빈도조사지를 이용하여 이들의 식이섭취행태를 영양소 단위에서 분석하고, 두 번째로 체성분 및 골밀도를 측정하였으며, 마지막으로 구강검진을 시행하여 여대생들의 전반적인 식이섭취행태, 체성분 및 골밀도와 치아우식증과의 관련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대상자는 지역적 편차와 지리적 접근이 용이한 부산광역시 소재 D대학 치위생과 재학생 150명을 연구모 집단으로 선정하여 2009년 10월 10일 1차 조사를 시행하여 자발적으로 연구참여에 동의한 150명중 자료처리에 부적합한 18명을 제외한 132명을 최종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서 총 섭취에너지는 평균 $1921.230{\pm}236.865kcal$였고, 나트륨 섭취는 $4433.026{\pm}1970.72mg$으로 상당히 높게 나타났고, 체형은 $2.98{\pm}0.99$점으로 표준체형(3점)이었으며, T-score는 평균 $-1.110{\pm}1.647$로 대부분의 학생이 약간의 골감소증(T-Score -1 ~ -2.5이내)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우식경험영구치지수는 평균 $6.03{\pm}1.95$개로 나타났다. 2. 분석결과 대상자의 1일 평균 영양소 섭취량과 우식경험영구치지수와의 상관관계 검정에서 1일 평균 섭취에너지, 영양소 모두에서 우식경험영구치지수와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3. 분석결과 대상자의 체성분과 우식경험영구치지수와의 상관관계 검정에서도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4. 분석결과 대상자의 골밀도와 우식경험영구치지수와의 상관관계 검정에서 SOS, BQI에서 우식경험영구치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pm}0.2$미만으로 아주 미약하게 나타났다(p<0.05). 5. 독립변수들의 유의성 검증결과 T-score(p<0.05)가 ${\alpha}=0.05$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우식경험영구치지수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여대생들의 영양상태 및 체성분은 치아우식증과 유의한 관련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골밀도척도인 SOS, BQI에서는 미약한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T-score는 우식경험영구치지수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추후 연구조사에서 연구대상자의 수를 확대시키고 구강관리행태와 사회경제적 요인을 보정하여 연령별 영양상태, 체성분 및 골밀도과 치아우식증간의 관련성을 구명할 수 있는 자료를 더 많이 확보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외과적 하악 후퇴술 후 악간고정기간 중의 골격성 재발과 치열의 변화 (Skeletal relapse and dental change during intermaxillary fixation after mandibular setback)

  • 장종언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457-466
    • /
    • 1999
  • 하악 후퇴술 후의 골격성 재발과 치열 변화는 악간고정(intermaxillary fixation, IMF)제거 후 뿐만 아니라 악간고정기간 중에도 일어난다고 보고되고 있다. 악간고정기간 중에 일어나는 골격성 재발에 따른 골편간 견고한 융합의 방해, 보상성 치아이동, 전치부 개방교합 등과 같은 여러 가지 부작용은 술후 교정치료에 많은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임상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본 연구는 악간고정기간 중에 일어나는 골격성 재발과 치열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시행하였으며, 하악전돌증의 치료를 위해서 양측성 하악지 시상분할골절단술(bilateral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BSSRO)과 강선고정 (wire fixation), 악간고정을 시행한 2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측모 두부 방사선 사진을 통하여 수술에 의한 골편들의 이동량과 방향, 악간고정기간 중의 골격성 재발과 치열 변화의 양과 방향을 측정하였다. 또한 수술에 의한 골편들의 이동과 골격성 재발과의 상관관계, 골격성 재발과 치열 변화간의 상관관계를 평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수술에 의한 골편의 이동방향은 원심골편은 후상방으로, 근심골편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였다. 2. 악간고정기간 중에 원심골편의 전방부는 후방 변위, 후방부는 상방 변위하였으며 근심골편은 상방 변위와 함께 근심골편의 gonion(p-Go)부위는 전방 변위를 하였다. 악간고정기간중에 근심골편의 gonion(p-Go)의 전방 변위는 수술에 의한 근심골편의 gonion (p-Go)의 후방으로의 이동량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즉, 수술에 의한 근심골편의 gonion(p-Go)의 후방으로의 이동이 많을수록 악간고정기간 중의 근심골편의 gonion(p-Go)의 전방 변위는 증가하였다. 3. 악간고정기간 중에 수평피개, 수직피개는 변화가 없었다. 상악 전치부는 후방경사(retroclination), 하악 전치부는 후방경사, 정출이 일어났으며, 이러한 보상성 치아이동은 악간고정기간 중의 근심골편의 gonion(p-Go)의 상방 변위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즉, 악간고정기간 중의 근심골편의 gonion(p-Go)의 상방 변위가 클수록 보상성 치아 이동량도 증가하였다.

  • PDF

트레드밀 운동이 고지방 식이 쥐 심근세포의 자가포식 관련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readmill exercise on autophagy related protein expression in the cardiac muscle of high-fat diet fed rats)

  • 정재훈;강은범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91-101
    • /
    • 2020
  • 이 연구는 비만이 심장 조직에서 자가포식 관련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고지방 식이(20주)를 통해 비만을 유도한 후 8주간의 트레드밀 운동을 실시하고, 자가포식의 유도, 형성 그리고 자가포식포와 라이소좀 융합단계를 조절하는 단백질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실험동물(SD rat)은 20주간의 고지방식이(탄수화물: 20%, 지방: 60%, 단백질: 20%)를 통해 비만을 유도하였으며, 8주간의 트레드밀 운동(주 5일, 하루 30분, 5분; 8m/min, 5분; 11m/min, 20분; 14m/min)을 실시하였다. 집단 구분은 정상식이 비교군(n=10), 고지방식이 비교군(n=10), 고지방식이 운동군(n=10)으로 구분하였다. 8주간의 트레드밀 운동 실시 전과 후에 경구당부하검사를 실시하여 곡선 하 면적(area under the curve; AUC)을 산출하였으며, 공복시 인슐린 농도와 포도당 농도를 통해 인슐린 저항성 지표인 HOMA-IR과 체중 당 복부지방량(abdominal visceral fat/Body weight; AVF/BW)를 산출하여 비교하였다. 또한 심장 조직에서 자가포식 관련 단백질을 분석하여 운동 트레이닝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장기간의 고지방식이를 통해 HFD-CON 그룹에서는 비만이 유도되었으며, ND-CON 그룹에 비해 체중, AUC, HOMA-IR, AVF/BW가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8주간의 트레드밀 운동을 실시한 HFD-TE 그룹에서는 AUC, HOMA-IR, AVF/BW가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중의 경우, 감소되는 경향은 있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자가포식 유도에 관여하는 mTOR와 AMPK는 비만상황에서 모두 감소되었지만, 운동을 통해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가포식 형성에 관련된 Beclin-1, BNIP3, ATG-7, p62, LC3는 비만상황에서 모두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운동을 통해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포식포와 라이소좀 융합단계 조절하는 Cathepsin L과 LAMP2는 비만상황에서 모두 감소되었으며, 운동을 통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트레드밀 운동과 같은 신체활동은 대사성 질환에서 나타나는 병리학적 현상을 개선하고 자가포식 과정을 정상적으로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트레드밀 운동이 심장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있어 일차적으로 고려해야할 필요성이 있다고 제안한다.

부산지역의 암 사망에 관한 역학적 연구 (An Epidemiologic Study on Death Caused by Cancer in Pusan)

  • 김휘동;구혜원;곽문석;김종렬;손병철;문덕환;이종태;조규일;엄상화;정귀옥;전진호;이채언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9권4호
    • /
    • pp.765-783
    • /
    • 1996
  • This study surveyed and measured the level and structure of cancer deaths and their trends over time for offering the fundamental data of e cancer prevention and control in Pusan city in the future. Authors conducted the study of descriptive epidemiology using materials derived from the computerized data of total 3,722 certified cancer deaths in Pusan city from January 1 to December 31, 1993 registered on the National Statistical Once, the Republic of Korea.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According to the total registered cases of deaths(16,331 cases) in Pusan city during 1993, cancer(3,722 cases) and cerebrovascular disease(2,118 cases) were the first and second cause of deaths as 23.1% and 16.9%, respectively. These pattern showed the change between cancer (14.7%) and cerebrovascular disease(18.5%) in order of frequency in comparison to 1982. Also, the total number of cancer deaths was increased in comparison to 1982. The rate of death certification by physicians was 87.1% of all registered deaths, which was increased to 6.8% in comparison to 1982(80.3%). 2. Crude death rate and cancer specific death rate was 4.06 per 1,000 populations and 93.8 per 100,000 populations(male:117.8, female:70.0), respectively. The former was similar to that of 1982, but the latter was increased to 1.6 times as that of 1982. 3. Age-adjusted cancer specific death rate by standardization with whole country population was 111.9(male:141.5, female:106.7) per 100,000 populations, higher than not age-adjusted cancer specific death rate(93.8), and the sex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male predominance (p<0.05). 4. Cancer specific death rate by age was generally increased with age and most of cancer deaths(male:91.8%, female:88.5%) occurred since 40 years old. 5. The major cancer(cancer specific death rate per 100,000 populations) in male was liver(30.6) followed by stomach(25.6), lung(21.9), and GB and EHBD(5.7), in female stomach(15.7), liver(9.9), lung(7.3), and uterus(6.9). The relative frequency of the leading three cancer among total cancer deaths marked 66.3% in male and 47.l% in female, and decreased in comparison to 1982(male:72.2%, female:54.5%). 6. The total ratio of male to female cancer specific death rate showed 1.68 to 1 with male predominance. And the ratio was above 2.0 in larynx, oral cavity & pharynx, esophagus, liver, lung, bladder cancer and the ratio was $1.0\sim1.9$ in stomach, pancreas, gall bladder and EHBD, brain, rectum and anus cancer, leukemia, but the ratio was reversed in thyroid and colon cancer. In conclusion, cancer was the first cause of deaths. The proportion of lung cancer was increased, that of stomach & uterine cancer was decreased relatively, and liver cancer was constantly higher proportion.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conduct the further investigations on the cancer risk factors considering areal specificit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