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optimum yield

검색결과 1,958건 처리시간 0.029초

Increasing forage yield and effective weed control of corn-soybean mixed forage for livestock through using by different herbicides

  • Song, Yowook;Fiaz, Muhammad;Kim, Dong Woo;Kim, Jeongtae;Kwon, Chan Ho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1권4호
    • /
    • pp.185-191
    • /
    • 2019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different herbicides for optimum growth, yield and nutritive value of corn-soybean mixed forage under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The experimental site was selected and divided equally into 3 blocks. Each block was further divided into 5 plots that each plot had 15 square meter space ($3{\times}5$). Five herbicidal treatments were randomly applied over 5 plots and herbicides were used under 5 herbicidal treatments, viz. 1) No herbicide (control); 2) Pendimethalin; 3) Linuron; 4) S-metolachlor and 5) Ethalflurali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ANOVA through SAS 9.1.3 software. The results indicated that growth characteristics were not influenced (p > 0.05) by any herbicide. However, arithmetically corn stalk height was highest in the field of Pendimethalin treatment, whereas highest soybean height was found in the field of S-metolachlor. Arithmetically dry matter (DM) yield was increased with herbicidal treatments as compared to that of control treatment. Relatively highest DM yield (130%) was recorded in the treatment of Ethalfluralin followed by Pendimethalin (126%), S-metolachlor (126%) and Linuron (108%) as compared to that of control treatment. The weed emergence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all herbicidal treatments as compared to that of control (p > 0.05), but the difference among herbicidal treatments was non-significant. It was concluded that weed emergence can be effectively controlled by use of any tested herbicide. However, optimum DM yield can be achieved through using herbicides; Ethalfluralin, Pendimethalin and S-metolachlor.

혼파초지에서 모형의 단계적 적용을 통한 수량예측 연구 (A Research on Yield Prediction of Mixed Pastures in Korea via Model Construction in Stages)

  • 오승민;김문주;팽경룬;이배훈;김지융;김병완;조무환;성경일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80-91
    • /
    • 2017
  • 본 연구는 기후요인을 이용한 혼파초지 수량예측모형을 기초로 하여 시비, 파종 및 조성연차 요인을 단계적으로 적용하여 해석력이 높은 모형을 선정하는데 목적이 있다. 혼파초지 수량예측모형 구축 과정은 자료(풀사료 및 기상자료)수집, 가공, 분석 및 모형 구축의 순이었다. 여기서 수량예측모형은 기후, 시비, 파종 및 조성연차 요인을 고려하여 6가지를 구축하였으며, 해석력 및 풀사료 생산 이론 측면의 검토를 통해 최적의 모형을 선택하였다. 그 결과 기후, 시비 및 파종과 조성연차(조성연차의 그룹화) 요인을 고려한 Model VI이 선택되었다(해석력=53.8%). Model VI의 요인 별 해석력은 기후요인이 가장 크고(24.5%) 시비(17.8%), 파종(10.7%) 및 조성연차(0.8%) 요인의 순이었다. 그러나 건물수량과 하고일수 간에 나타난 정(+)의 상관관계는 지역별 및 적산변수 등의 관점에서 검토가 필요하다. 또한 시비량 및 파종량은 특정값에 집중적으로 분포하고 있어 이차항(Quadratic term)을 이용하여 적정 수준에 관한 연구가 요구된다.

에리스리톨의 수율 향상을 위한 Candida magnoliae의 삼투압 내성 변이균주의 개발과 탄소원 및 질소원의 최적 농도 결정 (Development of Osmotolerant Mutant, Candida magnoliae M26 and the Determination of the Optimum Concentrations of Carbon and Nitrogen Sources to Improve Erythritol Yield)

  • 양성욱;서진호;유연우
    • KSBB Journal
    • /
    • 제15권6호
    • /
    • pp.566-572
    • /
    • 2000
  • C. magnoliae JH를 이용하여 높은 수융의 erythritol을 생산 하기 위한 삼투압 내성의 변이균주 개발과 탄소원 및 질소원 의 최적 농도결정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꿀 벌집에서부 터 분리한 야생균주인 C. magnoliae JH를 이용한 baffled R flask 배양에서 당농도 100 밍L인 경우 erythritol 수율은 2 20.3% 이고 생산성은 0.23 g/L-h이었다. 균주의 수율 향상을 위하여 야생균주의 포자에 EMS를 처리한 후 2차에 결친 선 별과정을 통해 높은 농도의 염에서 세포성장이 우수하변서 동시 에 erythritol의 수울과 생산성 이 가장 우수한 삼투압 내 성 변이균주 M26을 최종적으로 선발하였다. 선발한 변이균 주 M26을 이용한 baffled flask 배양에서 100 g/L의 glucose 인 경우에 erythritol의 수율과 생산성이 각각 25.0%와 0.30 g/L-h로서 야생균주에 비하여 증가한 반면에 glycerol의 생성은 오히려 감소하였다. 변이균주 M26을 이용한 탄소원 의 선별에 대한 실험에서는 glucose가 erythritol 생산에 가장 적합하였다. 유기질소원인 yeast extract는 5 g/L의 농도에서 erythritol 수율이 가장 우수하였다. 발효조를 이용한 glucose 농도 결정에 대한 실험에서 세포농도는 glucose의 농도 증가 에 따라 감소하였으나, eηthritol 농도는 당 농도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여 250 밍L glucose의 농도에서 최대 127.5 g/L가 생산되었으며, 발효말기에는 glycerol이 존재하지 않았다. 또 한 수율과 생산성도 glucose의 농도 증가에 따라 250 g/L까 지 증가하여 최대 51.0%의 수율과 0.63 g/L-h의 생산성을 나타내었다.

  • PDF

온도구배터널에서 기온상승에 따른 만주감초의 생육, 수량, 약리성분 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Growth, Yield, and Pharmacological Composition of Licorice (Glycyrrhiza uralensis Fisch.) in a Temperature Gradient Tunnel)

  • 김용일;이정훈;안태진;이은송;박우태;김영국;장재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322-329
    • /
    • 2019
  • Background: Studies have suggested that the northern provinces of Gangwon-do are good sites for licorice (Glycyrrhiza uralensis Fisch.) cultivation in Korea, as they have similar temperatures to its original locations in northern China. However, poor growth and freezing injury are often reported in Korea.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assess the domestic cultivation site of licorice. Methods and Results: To determine the optimum temperature for cultivating licorice, the growth, yield, and pharmacological characteristics of G. uralensis were assessed in a temperature gradient tunnel at Eumseong, Chungcheongbuk-do, Korea in 2017. Plant height increased until the temperature rose to $5.9^{\circ}C$ above the local external temperature. Yield (㎏/10a) increased by 46.9% when the growing temperature was $1.5^{\circ}C$ to $3.0^{\circ}C$ (T2) above the external temperature and by 72.6% when the growing temperature was $3.0^{\circ}C-4.5^{\circ}C$ (T3) above the external temperature. However, a difference of $4.5^{\circ}C-5.9^{\circ}C$ (T4) above the external temperature, decreased the yield by 9.8% compared to that at T2. The glycyrrhizin content of G. uralensis roots in each temperature band was 0.72%, 0.53%, 0.91%, and 0.84% (T1, T2, T3, T4), these differences appear to result form individual plant variation rather than growth temperature.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estimate that the temperature-based optimum cultivation site for G. uralensis in Korea is the south central region, rather than the northern province of Gangwon-do. Improvement in growth and yield maybe observed if the plantations in the central Jecheon (Chungcheongbuk-do, Korea) are expanded into the south central region.

추출조건에 따른 삼백초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성분의 변화 (Change of Antioxidant Activity and Antioxidant Compounds in Saururus chinensis by Extraction Conditions)

  • 김숙경;반소연;김준성;정신교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8권1호
    • /
    • pp.89-92
    • /
    • 2005
  • 삼백초 지상부의 추출조건을 설정하고자 추출용매 및 시간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추출용매 조건은 40% 에탄올을 사용하여 추출할 때로 나타났으며, 이때, 총수율, 전자공여능, 총페놀함량,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13.50%, 83.50%, 2.60 mg/ml 및 2.09 mg/ml으로 나타났다. 최적의 추출 시간은 4시간으로 나타났으며, 이때, 총수율, 전자공여능,총폐놀함량,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12.79%, 71.13%, 2.83 mg/ml 및 2.16 mg/ml으로 나타났다. 삼백초 지상부를 40% 에탄을 추출물로 4시간 추출하였을때, quercetin 함량은 360.13 mg/100 g으로 나타났으며, quercetin 함량은 1379.54 mg/100 g으로 나타났다. 삼백초 지상부를 이용하여 추출조건을 설정한 결과 40% 에탄올을 이용하여 4시간 추출하는 것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수확을 위한 벼품종군별 적정 분벽경수의 결정 (Determination of the Optimum Tillers in Different Rice Cultivars for High Yield)

  • 김재덕;비 에스 베가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03-111
    • /
    • 1993
  • 다수확을 위한 수도 적정분벽경수의 결정과 그들의 해부형태학적 특성을 검토하기 위해 분벽력이 다른 7개 품종을 공시하여 국제미적연구소(IRRI) 온실에서 실험을 실시하였다. 1. 주당 적정분벽경수는 품종에 따라 5~9개로 주간, 1차 분벽경중 1~5번째와 2차 분벽경의 1~2번째가 포함되었으며 품종군별 다소의 차가 있었다. 2. 적정분벽경은 이앙후 분벽이 빠르고 영양생장기간이 길며 수당입수가 많고 등열율은 높았으나, 1,000입중은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3. 적정분벽경의 영양생장기간은 출수시기와 상관이 없었으나 (운봉벼 제외) 이삭의 1차 지경수 (IR 30, Hybrid 제외), 충실입수(Hybrid 제외)과 각각 정의 상관이 인정되었다. 4. 적정분벽경은 이삭목의 유관속수가 기타 분벽경보다 많았으며 이삭목의 크기와 유관속수 간에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5. 이삭목의 수와 크기는 품종간 차가 현저하였으며 충실입중은 명 품종 모두 유관속수 및 크기와 정의 상관이 있었다.

  • PDF

인스턴트커피 제조를 위한 커피추출조건 최적화 (Optimization of Coffee Extract Condition for the Manufacture of Instant Coffee by RSM)

  • 고봉수;임상호;한성희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319-325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상업적으로 가장 많이 쓰는 커피 추출기인 2단계 퍼콜레이터를 사용하여 인스턴트커피를 제조하기 위한 커피추출조건을 최적화하였다. 반응표면분석을 위한 수학적 모델식을 구하기 위해 중심합성계획법이 사용되었고, 구해진 모델식에서는 커피추출액의 추출 수율과 추출액의 전반적인 기호도가 3가지 요인(추출기의 급수온도, 추출배수, 추출시간)의 2차식으로 표현되었다. 반응표면분석의 결과를 바탕으로 40% 이상의 수율을 보이는 범위에서, 추출수율과 전반적인 기호도를 최대로 하는 최적 커피 추출 조건은 급수온도 $163^{\circ}C$, 추출배수 4.3 및 추출시간 27분이었다. 이 결과는 산업에서 경쟁력 있는 인스턴트 커피 제조를 위한 커피 추출 조건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

총체용 맥류의 사료생산성 및 사료적 가치 (Forage Yield and Quality of Whole Crop Barley, Wheat and Triticale)

  • 연규복;이춘우;장영희;이석순;박연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496-500
    • /
    • 1991
  • 총체용 보리, 밀, 신기호밀의 조사료 생산성 및 사료적 가치를 구명하고자 올보리, 그루밀, 신기호밀을 공시하여 총체수량, 기관별 구성비, 사료적 가치 및 예취적기를 조사한 바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총체수량은 호밀>밀>보리의 순으로 많았으며 총체수량이 가장 많은 시기는 보리, 밀은 출수후 14일, 신기호밀은 21일이었다. 2. 기관별 구성비는 세 품종 공히 출수후 일수가 경과할수록 이삭의 비율이 늘고 줄기와 잎은 감소하였다. 보리의 이삭 비율은 황숙기에 56 1%로 밀과 신기호밀에 비하여 월등히 높았다. 3. 사일레지 제조 적정 수분에 도달하는 시기는 보리가 출수후 24-31일, 밀은 출수후 24-35일, 신기호밀은 출수후 25-34일 이었다. 4. 보리의 황숙기 때 조단백, 조지방의 각 10.7%, 4.7%로 밀, 신기호밀에 비하여 높았으며 반면에 보리의 조섬유는 낮았다. 5. 총체수량, 수분함량, 사료가치 및 수도이앙 등을 고려할 때 총체용 맥류의 수확적기는 출수후 23-24일 이었다. 6. 중북부지역에서 답이작 총체용으로는 보리가 가장 적합한 맥종으로 사료되었다.

  • PDF

가새형 소성변형감쇠기의 설계 방법에 관한 연구 (Design of Energy Absorbing Braces)

  • 김진구;이강준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00년도 가을 학술발표회논문집
    • /
    • pp.265-272
    • /
    • 2000
  • Unbond brace hysteretic dampers are generally used to prevent or decrease structural damage in buildings subjected to strong earthquake by its energy dissipating hysteretic behavior. According to a previous research, the optimum ratio of device yield strength to story yield strength of the combined system has been identified as the most important parameter for characterizing the performance of this device. In this research, the validity and the applicability of the previous research has been investigated and a new approach has been proposed through earthquake response analysis of a steel structure installed with unbond brace type hysteretic dampe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