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pportunistic human pathogen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39초

이중특이성 인산화 효소의 결손이 Candida albicans 병원성에 미치는 효과 (Disruption of the Dual Specificity Kinase Gene Causes the Reduction of Virulence in Candida albicans)

  • 박윤희;박희문
    • 한국균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85-87
    • /
    • 2011
  • C. albicans는 사람에게 병증을 유발하는 기회감염성 진균으로 효모형에서 균사형 및 위균사형으로 전환할 수 있다. 이러한 이형성의 감소나 상실은 병원성의 결여와 연관되어 있기에 C. albicans의 병원성에 가장 결정적인 요인으로 여겨진다. 선행 실험을 통하여 이중특이성 인산화 효소의 결손 균주에서 이형성의 감소를 관찰하였기에, 마우스 모델에서 병원성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중특이성 인산화 효소의 결손 균주를 감염시킨 경우, 마우스의 생존기간이 약 15일로 야생형의 3.9일보다 증가하였다. 또한 신장조직에 침투한 C. albicans의 세포수는 야생형에 비해 10배 가량 감소하였다. 본 연구는 C. albicans에서 이형성과 병원성에 연관된 이중특이성 인산화효소에 의한 새로운 신호전달기작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장염을 나타낸 bearded dragon의 분변에서 Pichia burtonii의 분리 (Isolation of Pichia burtonii from the Feces of an Enteritis Bearded Dragon (Pogona vitticeps))

  • 강효민;한재익;이숙진;장해진;나기정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54-257
    • /
    • 2011
  • 2년령 bearded dragon이 활력 감소 및 식욕 부진으로 충북대학교 동물의료센터에 내원하였다. 분변 검사 결과 다수의 세균과 함께 효모의 증식이 관찰되어 장염으로 진단되었다. 진균 배양 및 분자생물학적 진균 동정 결과 증식된 효모는 Pichia (P.) burtonii로 확인되었다. 치료는 ketoconazole과 trimethoprim/sulfamethoxazole을 3일간 경구 투여하였다. 치료 3일 후 분변 내 효모는 사라졌으며, 이후 환자는 회복되었다. 본 증례와 사람에서의 보고를 종합하면 P. burtonii 는 장염이 있는 bearded dragon의 기회성 병원체로 추정된다. 또한 본 증례는 bearded dragon에서의 P. burtonill의 과증식에 대한 최초의 보고이다.

Staphylococcus epidermidis urease의 정제 및 생화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Staphylococcus epidermidis Urease)

  • 민선희;이만형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581-586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피부상재균이며 기회병원균이기도 한 Staphylococcus epidermidis ATCC12228로부터 urease효소를 4단계 크로마토그라피 방법을 사용하여 1,127배 정제하고 그 생화학적인 특성을 규명하였다. 정제된 urease 효소는 SDS-PACE 전기영동분석 및 gel-filtration 크로마토그라피를 이용한 천연분자량 분석결과, 67, 16.1 및 12.7 kDa의 3개 subunit가 3량체로 회합되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catalytic unit 당 2.2개의 니켈 원소를 함유하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정제된 효소의 비활성은 993.8 U/mg, $K_m$값은 8.5mM로 각각 산출되었다.

Arowana(Scleropages formosus)에서 Hemolysin Gene을 지닌 Aeromonas sobria 분리 및 특성 (Isolation of Aeromonas sobria Containing Hemolysin Gene from Arowana (Scleropages formosus))

  • 전진우;김지형;카시아노 허모피아;데니스 고메즈;신상필;한지은;박세창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62-65
    • /
    • 2010
  • Arowana (Scleropages formosus) is the most valuable group of ornamental fishes and very much in demand in the ornamental fish trade and commands high price ranging from hundreds to thousands of dollars per fish. In this paper, we described a case of mortality of arowana from a private aquarium in Korea. A bacterial pathogen from fish organs (brain, kidney, liver) was cultured, identified and confirmed using Vitek System 2, API 20E test, multiplex PCR and 16S rRNA gene sequencing. The morphological and biochemical properties of the bacterium isolated from the brain, kidney and liver of the fish were similar to Aeromonas sobria. Positive amplification products using the multiplex PCR assay for detection of A. sobria were obtained from these organs. The 16S rRNA gene of the isolates from fish was identical and exhibited 100% sequence similarity with A. sobria (AY987762.1) strain available from GenBank. This bacterium contained hemolysin gene, a virulence factor that plays an important role in outbreaks of disease and is pathogenic to humans as well as in fish. Although this opportunistic bacterium was isolated from a fish without any external symptoms, this pathogen may act as a reservoir and enhance chances of zoonosis to human such as during handling.

단삼에 의한 Candida albicans 바이오필름 발달의 억제 (Growth of Candida albicans Biofilm is Inhibited by Salvia miltiorrhiza)

  • 이흥식;김연희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465-472
    • /
    • 2019
  • Candida albicans는 기회감염을 유발하는 주요한 병원성 진균 중의 하나이다. 캔디다증 치료과정에서 항진균제에 대한 내성이 흔히 발견되는데, 그 이유는 Candida가 바이오필름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전의 연구에서 우리는 단삼(Salvia miltiorriza)의 에탄올추출물이 세포막의 투과성을 변화시키고 세포벽 합성을 저해하여 항캔디다 활성을 나타냄을 밝혔다. 본 연구에서는 10개 C. albicans 임상균주가 형성한 초기단계의 바이오필름을 대상으로 XTT 환원분석법으로 대사활성을 측정하니, $78{\mu}g/ml$ 단삼 에탄올추출물에 의해 바이오필름의 대사활성이 평균 51.3% 감소되었다. C. albicans 세포들이 폴리스티렌 표면에 부착하거나 germ tube를 형성하는 과정에서의 단삼 에탄올추출물의 영향을 현미경으로 분석하니, $39{\mu}g/ml$ 단삼 에탄올추출물에 의해 부착된 세포의 밀도는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나 germ tube 형성은 거의 억제하지 못했다. 단삼 에탄올추출물이 C. albicans SC5314 세포의 균사에 특이적인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qPCR로 분석한 결과, EAP1은 34.7% (p < 0.001), ALS1은 45.0% (p < 0.001), ALS3는 48.1% (p < 0.001), ECE1은 21.3% (p = 0.006) 억제하였다. 결론적으로 단삼의 에탄올추출물은 초기단계의 C. albicans 바이오필름 발달을 효율적으로 저해하며, 이는 EAP1, ALS1, ALS3 유전자의 발현억제에 따른 세포부착 억제와 관련이 있다. 더불어 단삼 에탄올추출물의 C. albicans 세포막 기능저해와 세포벽 합성억제에 의한 구조변화 또한 세포부착단계에서의 바이오필름 발달억제에 기여할 것으로 추정된다.

면역억제에 의한 마우스의 Cryptosporidium 발현 실험 (Experimental activation of cryptosporidiosis in mice by immunosuppression)

  • 채종일;신손문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8권1호
    • /
    • pp.31-38
    • /
    • 1990
  • 실험용 마우스(ICR)에 프레드니솔론을 주어 인공적으로 면역억제시키면서 Cryptosporidium 발현 여부를 7주 동안 관찰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면역 억제 1주 후부터 마우스 대변에서 Cryptosporidium의 Oocyst (크기 440 ㎛)가 검출되었고 2주 후부터 마우스가 사망하기 시작하였다. 대변에서 oocyst가 검출된 마우스의 소장 절편을 H&E 염색하여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Cryptosporisium은 공장 하부에서 호발하였으며 장 융모의 점막 상피세포 표면에 점같이 붙은 모습으로 무수히 발견되었고 호염기성이었으며 크기는 직경 2∼4 ㎛정도 되었다. 이들의 여러 발육 단계에 대해 주사 전자현미경 및 투과 전자현미경으로 입체구조를 관찰하였으며 그 결과 충체의 종은 C. Parvum으로 동정하였다. 항균제(tetracycline, trimethoprim-sulfamethoxazole)를 면역억제제와 함께 투여한 실험군에서도 Cryptosporidium이 발현되었으나 면역 억제제만을 투여한 실험군의 마우스보다 수명을 다소 연장시킬 수 있었다. 이 실험 결과 우리 나라에도 Cryptosporidium(C. Parvum)이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인체 감염례가 있을 가능성을 짐작할 수 있었다.

  • PDF

옥수수수염 추출액의 Klebsiella pneumoniae에 대한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ies of Corn Silk Extract of Klebsiella pneumoniae)

  • 강현경;배일권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12호
    • /
    • pp.1399-1407
    • /
    • 2015
  • Klebsiella pneumoniae는 인간의 피부, 구강, 호흡기, 요로, 장관 등에서 일반적으로 존재하는 상재세균이다. 하지만 지역사회획득 폐렴의 주요 원인이 되는 기회감염균이기도 하다. 옥수수수염은 K. pneumoniae, 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subtilis, Shigella spp., Salmonella spp., Escherichia coli, Pseudomonas aeruginosa 등 병원성 세균에 대해 항균활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옥수수수염 농축액의 K. pneumoniae에 대한 항균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K. pneumoniae ATCC 13883, broad-spectrum β-lactamase (BSBL) 생성균주, exteded-spectrum β-lactamase (ESBL) 생성균주 및 carbapenemase 생성균주를 수집하였다. 항균제 감수성 검사는 디스크 확산법을 사용하였고 내성유전자는 PCR 증폭과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또한 항균활성 실험을 위하여 옥수수수염 농축액을 이용하여 MacConkey agar 평판배지(50%, 100%)를 제조하였고 균주의 성장억제를 확인하기 위하여 제조된 배지에 K. pneumoniae를 평판도말하여 37℃ 항온기에서 18시간동안 배양하였다. 수집된 K. pneumoniae는 SHV-1 (n=8), SHV-2a (n=8), SHV-5 (n=2), SHV-11 (n=2), SHV-12 (n=18), TEM-1 (n=10), CTX-M-3 (n=2), CTX-M-14 (n=2), CTX-M-15 (n=1), GES-5 (n=5), KPC-2 (n=6), KPC-3 (n=4) 및 NDM-1 (n=2)을 보유하고 있었다. 시험에 사용된 K. pneumoniae 균주 가운데 K. pneumoniae ATCC 13883균주에 대해 항균활성이 있었으나 BSBL, ESBL 및 carbapenemase 생성균주에 대한 항균활성을 확인할 수는 없었다. 따라서 옥수수수염 추출액은 K. pneumoniae에 의한 지역사회획득 감염증 예방과 회복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광학 현미경 및 분자생물학적 방법을 적용한 한우의 Enterocytozoon bieneusi 역학조사 (Occurrence of Enterocytozoon bieneusi in Korean Native Cattle Examined by Light Microscopic and Molecular Methods)

  • 이존화;김남수;전병우;손화영;류시윤;신현진;박지연;김현철;허진;조정곤;박배근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5
    • /
    • 2010
  • 미포자충인 Enterocytozoon bieneusi는 최근에 AIDS 환자에 기회감염 되는 병원체로 부각되었다. 이 병원체는 여러 동물에서 발견되고 있으며 인수공통 기생충으로서 특별한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충남, 대전, 전북 지역의 도축장으로부터 특별한 증상을 보이지 않은 건강한 한우 총 1,729 마리의 직장변을 취하여 E. bieneusi의 감염율을 조사하였다. 조사방법은 Trichrome 염색 변법과 중합효소연쇄반응(PCR)을 이용한 분자생물학적 기법을 적용하였다. Trichrome 염색변법을 적용한 광학현미경 관찰에서 194 (11.28%) 개체에서 미포자충이 관찰되었으며, 특히 3월에 가장 높은 감염율을 보였다. 한편 분자생물학적 기법을 적용한 시험에서는 79 (4.59%) 개체에서 양성 반응을 보였으며, 이 역시 3월에 가장 높은 감염율을 나타내었다.

Minority report; Pseudomonas aeruginosa의 정족수 인식(쿼럼 센싱) 신호물질로써의 Diketopiperazines과 Pyocyanin (Minority report; Diketopiperazines and Pyocyanin as Quorum Sensing Signals in Pseudomonas aeruginosa)

  • 이준희
    • 미생물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85-92
    • /
    • 2008
  • Pseudomonas aeruginosa는 기회 감염성 병원균으로, Cystic fibrosis, 미생물 감염성 각막염,화상 부위 2차 감염 등의 다양한 질병을 초래한다. 정족수 인식(쿼럼 센싱)이라고도 알려져 있는 세포간 신호전달 기전이 이러한 감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P. aeruginosa의 정족수 인식 시스템들이 집중적으로 연구되어 왔다. P. aeruginosa의 정족수 인식 시스템들을 소개하는 많은 문헌들이 주로 두 개의 주요 acyl-homoserine lactone (AHL) 계열 정족수 신호물질들인 N-3-oxododecanoyl homoserine lactone (3OC12)과 N-butanoyl homoserine lactone (C4)에 초점을 맞추어 설명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몇 가지 새로운 신호물질들이 발견되어져 왔고, 그들이 P. aeruginosa의 병독성과 신호전달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이 제안되어져 왔다. 그 중 하나가 PQS(Pseudomonas quinolone signal; 2-heptyl-3-hydroxy-4-quinolone)인데, 이 물질은 현재 P. aeruginosa의 잘 규명된 주요 신호물질로 인식되고 있다. 이에 더하여, 최근의 연구들은 또 다른 가능성 있는 P. aeruginosa신호물질들을 제안해 왔는데, diketopiperazines (DKPs)과 pyocyanin이 그들이다. DKPs는 환형 dipeptide로써 이를 구성하는 아미노산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구조를 가진다. P. aeruginosa의 배양액에서 검출된 몇몇 DKPs들이 기존에는 AHL에만 특이적으로 반응한다고 알려졌던 Vibrio 랸�N갸 LuxR biosensor를 활성화 시킬 수 있다는 것이 발견되어 새로운 신호물질로 제안되었다. Pyocyanin (1-hydroxy-5-methyl-phenazine)은 P. aeruginosa가 생산하는 여러 phenazine 화합물들 중의 하나로써, 특징적인 청록색을 띄는 산화-환원 활성물질이다. 이 물질도 정체 성장기 동안 일부 정족수 인식의 조절을 받는 유전자들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최종 신호 인자로 최근 제안되었으며, 그 신호는 또 다른 전사 조절 인자인 SoxR에 의해 매개된다고 제안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P. aeruginosa에서 새롭게 발견, 제안되고 있는 이들 신호 전달 물질들에 대해 자세히 다루어 보기로 한다.

2018~2022년 경기 해안지역에서 분리된 비브리오패혈증균의 월별 분포 특성 (Characteristics of the Monthly Distribution of Vibrio vulnificus Isolated from Coastal Areas in Gyeonggi-do Province, 2018~2022)

  • 윤수정;편희수;이윤희;박소정;강경자;허은선;정일형;김범호;권순목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66-72
    • /
    • 2024
  • Background: Vibrio vulnificus is a serious opportunistic human pathogen that has a worldwide distribution in a variety of marine and estuarine environments. Objectives: For this reason, we investigated the distribution of Vibrio vulnificus in coastal areas of Gyeonggido Province from 2018 to 2022. Also, we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V. vulnificus leading to infection and two marine environmental factors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Methods: We collected a total of 266 samples from six coastal area points (i.e., seawater, mudflats). Specimens were isolated using selective plating media and isolated strains were identified by a VITEK 2 system. To find the relevance of the isolation rates of V. vulnificus and number of cases of V. vulnificus infection, we summarized the data on 48 cases of V. vulnificus infection from the open data of the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Results: Among the 266 samples taken during the investigation period, 47 strains were isolated, and the separation rates of V. vulnificus were 17.7%. The monthly isolation rates of V. vulnificus were ranked in the order of August (53.8%), September (33.3%), June (28.6%), and July (21.1%).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temperature of seawater, but salinity was not significant. The number of cases of V. vulnificus infection reported in Gyeonggi-do Province were 18 (37.5%) in September, 14 (29.2%) in August, and eight (16.7%) in October. The proportion was 83.3%. It was relevant to the isolation rates of V. vulnificus in the marine environmental sources. Conclusions: Our data showed that the number of V. vulnificus infection cases could be affected by changes in the distribution of V. vulnificus due to rise the temperature of seawater in the marine envir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