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pen-ended problems

검색결과 110건 처리시간 0.021초

개방형 문제 중심의 프로그램이 수학적 창의력에 미치는 효과 (Cultivating Mathematical Creativity through Open-ended Approaches: Development of a Program and Effectiveness Analysis)

  • 권오남;박정숙;박지현;조영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4권2호
    • /
    • pp.307-323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rogram to cultivate mathematical creativity based on open-ended problem and to investigate its effect. The major features of this innovative program are (a) breaking up fixations, (b) multiple answers, (c) various strategies, (d) problem posing, (e) exploring strategies, (f) selecting and estimating, (g) active exploration through open-ended problems. 20 units for 7th grade mathematics were developed. This study hypothesizes that experimental students may develop more divergent thinking abilities than their traditional counterparts. The participants were 7th grade students attending middle schools in Seoul. Instruments were pre and post tests to measure mainly divergent thinking skills through open-ended problem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experimental students achieved better than the comparison students on overall and each component of fluency, flexibility, and originality of divergent thinking skills, when deleting the effect of covariance of the pretest. The developed program can be a useful resource for teachers to use in enhancing their students' creative thinking skills. Further this open-ended approach can be served as a model to implement in classes. This study suggests that further investigations are needed in order to examine effects on affective domains such as motivation and task perseverance which are also considered as important factors of creativity.

  • PDF

중학교 기하단원의 개방형문제에서 학생의 문제해결과정의 사고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tudent's Processes of Problem Solving Using Open-ended Geometric Problems in the Middle School)

  • 고상숙;노지연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0권3호
    • /
    • pp.303-322
    • /
    • 2007
  • 교과서에서 사용되는 문제는 주로 정형화된 폐쇄형의 문제로 학생의 문제해결력을 육성하거나 학생의 자주적인 학습을 촉구하는데 제한적이다. 본 연구는 문제해결력을 육성하기 위해 개방형 문제를 해결해가는 과정을 폴리아의 문제해결단계를 따라 학생에게 나타나는 학습변화를 관찰하였다. 학생은 문제를 더욱 신중히 읽고 이해하는 과정에서 단순화하였고 계획수립과정에선 처음엔 익숙하지 않았지만 다양한 방법으로 해결하려는 시도와 체계적으로 되돌아보는 인지과정을 나타냈으며, 실행과정에서는 오류를 통한 계획수립의 재시도가 일어나 통제가 향상되는 과정을 보였다. 반성단계는 점검만하는 수준을 벗어나 다른 해결방법을 무엇인지 등의 반성단계의 필요성을 인식하였고 개방형문제의 실생활 적용과 일반화하는 과정을 통해 문제 해결력이 더욱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초등학교 3, 4학년 수학 교과서의 '열린 질문'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및 지도 실태 조사 (A Survey on the 3rd and 4th Grade Teachers' Perception and Teaching Practices towards Open-ended Question in the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

  • 박정련;홍갑주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3권2호
    • /
    • pp.245-266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2007 개정 교육과정 3, 4학년 수학 교과서의 '열린 질문'에 대한 인식과 지도 실태를 설문조사 하였다. 그 결과, 교사들은 열린 질문의 취지에 대해서는 전반적으로 공감하고 있지만 교과서에 제시된 열린 질문과 그 지도상의 실제에 대해서는 교과서 열린 질문 자체, 교실 수업에서의 실행, 교사용 지도서와 교사연수 등에 걸쳐 여러 문제점을 인식하고 있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교과서 '열린 질문'의 개선 방향을 제안하였다.

  • PDF

개방형 과제를 활용한 수학 영재아 수업 사례 분석 (A Case Study on Instruction for Mathematically Gifted Children through The Application of Open-ended Problem Solving Tasks)

  • 박화영;김수환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0권1호
    • /
    • pp.117-145
    • /
    • 2006
  • 수학 영재들은 타고난 수학적 소질과 적성, 지적인 능력과 창의성을 바탕으로 참신한 과제에 대한 도전적이고 창조적인 호기심을 가지고 있다. 영재아들의 창의적인 사고력을 길러주기 위해서는 다양한 방법으로 문제 해결에 접근하게 하고 전략적 시도를 할 수 있도록 만들어주어야 한다. 이런 관점에서 볼 때 개방적이고 비정형적인 문제를 영재 교육프로그램의 과제로 선정하는 것은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유형의 개방형 문제를 구안하고, 이를 토대로 영재 학급에서 학습 활동을 전개한 후, 문제해결 과정에서 영재아들의 수학적 사고 능력의 특성과 문제 해결 전략 사례를 분석하여, 개방형 과제를 활용한 초등학교 영재 수업에 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 PDF

학생들의 학습 수준에 따른 수학적 의사소통의 특징 -개방형 문제를 활용한 소집단 협동학습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Mathematical Communication Focused on the Students' Level of Mathematical Understanding)

  • 김연주;나귀수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41-161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소집단 협동학습 형태에서 개방형 문제를 활용하여 학생들의 학습 수준에 따라 나타나는 수학적 의사소통의 특징을 말하기와 쓰기를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개방형 문제 유형과 학생들의 학습 수준을 고려한 수학적 의사소통 능력 신장 방안에 대한 추후의 연구에 기초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로써 개방형 문제를 활용한 소집단 협동학습 상황에서 학생들의 의사소통 형태가 시간이 지날수록 보다 구체화되고 정련되는 모습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학습 수준에 따라 말하기와 쓰기 부분에서 서로 다른 특징이 나타난다는 사실과 학습 수준에 따른 개방형 문제 유형의 선호도가 다르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 PDF

The 'Open Approach' to Teaching School Mathematics

  • Becker Jerry P.;Epstein Judith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0권3호
    • /
    • pp.151-167
    • /
    • 2006
  • The open approach to teaching school mathematics in the United States is an outcome of the collaboration of Japanese and U. S. researchers. We examine the approach by illustrating its three aspects: 1) Open process (there is more than one way to arrive at the solution to a problem; 2) Open-ended problems (a problem can have several of many correct answers), and 3) What the Japanese call 'from problem to problem' or problem formulation (students draw on their own thinking to formulate new problems). Using our understanding of the Japanese open approach to teaching mathematics, we adapt selected methods to teach mathematics more effectively in the United States. Much of this approach is new to U. S. mathematics teachers, in that it has teachers working together in groups on lesson plans, and through a series of discussions and revisions, results in a greatly improved, effective plan. It also has teachers actively observing individual students or groups of students as they work on a problem, and then later comparing and discussing the students' work.

  • PDF

개방형 문제와 선택형 문제 해결에 나타난 학생의 추론 비교 (A Comparison of Students' Reasoning Shown in Solving Open-Ended and Multiple-Choice Problems)

  • 이명화;김선희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9권1호
    • /
    • pp.153-170
    • /
    • 2017
  • 본 연구는 학생들의 추론 활동이 활발할 것으로 기대되는 개방형 문제와 학생들이 익숙해하는 선택형 문제에서 학생들이 문제를 해결하면서 보이는 추론의 유형과 추론 과정이 어떠한지 분석하였다. 그리고 개방형 문제 해결에서 추론을 증진시키는 교사의 역할에 대해 알아보았다. 선택형 문제에 비해 개방형 문제 해결에서 학생들은 더 다양한 추론 유형을 나타냈고, 추론이 연쇄적으로 진행되면서 확장되는 과정을 보여주었다. 개방형 문제에서는 학생들의 개연적 추론의 한 유형인 가추가 활발하였는데, 이에 따라 교사는 격려, 촉진, 안내의 역할을 하였다. 이에 교사는 수업과 평가에서 개방형 문제를 제시하고, 학생들이 추론에 어려움을 느낄 때 적절한 발문으로 학생들의 추론이 더욱 활발해지도록 돕는 역할을 해야 한다.

개방형 문제를 어떻게 만들 것인가?: 두 개의 개방형 문제 제작 사례를 중심으로 (How to Pose an Open Problem? : Two Cases of Posing an Open-ended Problem by Reorganizing Given Closed Problems)

  • 도종훈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0권2호
    • /
    • pp.221-235
    • /
    • 2007
  • 개방형 문제는 문제의 출발 상황이나 목표 상황, 해결 방법 등이 열려 있어 학생들에게 각자의 수준에서 다양하고 새로운 산출물을 생산하는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교사는 여러 가지 유형의 개방형 문제를 답을 구하거나 증명하는 문제의 형태로 제작하여 활용할 필요가 있다. 개방형 문제 제작과 활용을 위해 먼저 고려해야 할 점은 어떤 소재를 가지고 어떤 절차와 방법으로 개방형 문제를 만들 것인가 하는 점이다. 학생들에게 지나치게 생소하거나 과도한 배경지식을 필요로 하는 내용보다는 학생들에게 친숙하여 접근이 용이한 내용이나 소재 및 대다수의 교사들이 쉽게 활용할 수 있는 제작 방법과 절차에 대한 논의가 구체적인 예와 함께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교과서 등에 제시되어 있어 이미 알려진 문제를 재구성하여 개방형 문제를 제작하는 방법과 절차를 예시 설명하고, 예시 개방형 문제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을 분석하며, 이를 토대로 개방형 문제가 지니는 수학 교육적 의의에 대하여 논의한다.

  • PDF

개단 고강도 콘크리트(PHC) 말뚝의 실용성 검토 (Investigation for Possible Practical Applicability of Open-Ended PHC Pile)

  • 백규호;이승래;박현일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14권4호
    • /
    • pp.965-975
    • /
    • 1994
  • PHC말뚝의 선단부를 개방시켜서 사용하면 관입저항력의 감소로 인하여 관입깊이가 증가되며, 결과적으로 지지력의 증가를 가져온다. 그러나 개단 PHC말뚝의 사용을 위해서는 다음의 두가지 문제가 해결되어야 한다. 첫째는 말뚝의 선단부를 개방시킴에 따른 지지력의 변화이며, 둘째는 말뚝 내부로 유입되는 관내토에 의한 말뚝 선단부의 파괴여부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개단 PHC말뚝의 실용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먼저 말뚝의 선단부 형상에 따른 지지력 비교를 목적으로 두개의 폐단말뚝과 두 개의 개단말뚝을 이용하여 토조에서 모형말뚝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로부터 말뚝의 선단부 형상에 따른 관입저항력과 지지력의 변화 및 PHC말뚝 선단부의 파괴여부가 검토되었다. 실험결과 동일한 관입깊이에서 개단말뚝의 전체지지력은 관입깊이가 증가함에 따라 폐단말뚝의 전체지지력과 비슷해지며, PHC 말뚝의 경우 말뚝선단부로부터 말뚝내경의 0.8~1.1배되는 영역에서 균열발생의 가능성이 제시되었다.

  • PDF

A Perspective on Teaching Mathematics in the School Classroom

  • BECKER, Jerry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20권1호
    • /
    • pp.31-38
    • /
    • 2016
  • WHAT we teach, and HOW students experience it, are the primary factors that shape students' understanding and beliefs of what mathematics is all about. Further, students pick up their sense of mathematics from their experience with it. We have seen the results of the approach to "break the subject into pieces and make students master it bit by bit. As an alternative, we strive to create a teaching environment in which students are DOING mathematics and thereby engender selected aspects of "mathematical culture" in the classroom. The vehicle for doing this is the so-called Japanese Open-ended approach to teaching mathematics. We will discuss three aspects of the open-ended approach - process open, end product open, formulating problems open - and the associated approach to assessing lear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