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nline science class

검색결과 134건 처리시간 0.024초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한 건강사정 학습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과정, 비판적 사고 성향, 수업참여도 및 수업몰입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the Health Assessment Learning Programs using On-line Platfom on Problem Solving Process,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Class Participation and Class Flow of Nursing Students)

  • 김향수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305-317
    • /
    • 2024
  • 본 연구는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한 건강사정 학습 프로그램이 간호 대학생의 문제해결과정, 비판적 사고 성향, 수업참여도 및 수업몰입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단일집단 사전사후설계(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를 적용한 원시실험연구(pre-experimental research)이다. 연구 대상자는 C북도 G군 소재 J대학교 건강사정 및 실습 교과목을 수강하는 간호학과 2학년 학생 52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한 건강사정 학습 프로그램 참여 전·후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한 결과, 문제해결과정(t=-2.569, p=.013), 비판적 사고 성향(t=-5.363, p<.001), 수업참여도(t=-4.429, p<.001), 수업몰입도(t=-3.747, p<.001)가 프로그램 참여 전·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건강사정 수업 시 간호 대학생들의 문제해결과정, 비판적 사고 성향, 수업참여도, 수업몰입도 향상을 위해서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한 학습 프로그램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죽음에 대한 가상강좌 개발과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Online Education on Death)

  • 조계화;이현지;이윤주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442-452
    • /
    • 200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online education on death, 'successful life, and beautiful death' for university students and to evaluate students' changes regarding perception of self and death. Method: A quasi-experimental design was used with one experimental group pre-post test. Subjects were 154 students who enrolled for online education about death for 16 weeks. SPSS/WIN 12 was used for analyzing data. Result: The results of the study clearly indicated this class had positive effects on students' perception of death-related concepts, attitudes toward death, and self-concept, show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scores in post-tests than in pre-tests. In addition, the result of class evaluations showed a positive response, Conclusion: Findings suggested that this online education about death was effective to change students' perceptions of death related knowledge, attitude toward death, and self-concept. Recommendations for further studies were provided.

The effects of the online team project-based learning on problem solving ability, cooperative self efficacy and cooperative self regulation in students of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 Kim, Jung Hee;Lee, Woo Hyung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1-10
    • /
    • 2021
  •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online team project based learning on problem-solving, cooperative self-efficacy, and cooperative self-regulation of college students. Design: Single group pre-post design. Methods: The online team project based learning was conducted for a total of 92 college students for 8 weeks. A survey was conducted on problem-solving ability, cooperative self-efficacy, and cooperative self-regulation. In the online team project-based class, two projects were performed. It consists of video lectures and real-time video conferencing. Through the real-time video conference, the project was carried out based on discussion among learners and feedback was provided.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hange in problem-solving ability compared to before learning (p<0.05). As a result of the evaluation of cooperative self-efficac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p<0.05).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operative self-regulation compared to before learning (p<0.05). Conclusion: The online team project-based learning are effective in improving learners' problem-solving ability, cooperative self-efficacy, and cooperative self-regulation.

L2 Learner's Perspectives of How Personal and Instructional Factors Influence Achievement in Online-incorporated Environment

  • Kim, Jeong-Yeon
    • 영어어문교육
    • /
    • 제16권4호
    • /
    • pp.39-69
    • /
    • 2010
  • This study aims to identify how participants in online-incorporated English learning perceive interaction between achievement and factors of learning and personality. Using grounded theory analysis, this study attempts to generate a theoretical model depicting how the factors work with the L2 learners situated in the learning setting. A total of 231 college freshmen participated in online and offline EFL learning programs for the duration of one semester. In addition, all respondents completed a survey questionnaire on their learning experiences. In the investigation of the differences between low- and high-proficiency groups, audio-taped interviews with 20 selected students, 10 from each group, have revealed differences not only in the types of personal and instructional factors, but also, more importantly, in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se factors in each group's learning model. These models effectively explaine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four questionnaire items, such as online learning and contributions of offline class sections to their L2 achievement. These findings entail L2 practitioners' shared understandings of their students' perspectives of learning in the specific L2 learning context.

  • PDF

Experience of operating a medical humanities course at one medical school during the COVID-19: a retrospective study

  • Yu Ra Kim;Hye-won Shin;Young Hwan Lee;Seong-Yong Kim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40권2호
    • /
    • pp.179-186
    • /
    • 2023
  • Background: This study summarizes the experience of operating a 'Medical Humanities' course, which was taught remotely to maintain activities and discussions at medical schools in Daegu, Korea during the sudden and unexpected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73 first- and 79 second-grade medical students who took the medical humanities (1) and (2) courses among first- and second-grade students of Yeungnam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in 2020. Of the 152 students who agreed to the online survey, 123 completed the survey. Self-, environmental, and program evaluations were conducted on the study subjects, and differences according to grade and gender were analyzed.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elf-evaluation and environmental evaluation was confirmed. Self-evaluation was determined to be higher in the first grade than in the second grade. The environmental evaluation showed that male students were more satisfied than female students and students generally had difficulties in the classroom environment. Of the applications used in class, the highest satisfaction was observed with KakaoTalk (Kakao Corp.) and Zoom (Zoom Video Communications Inc.). At the end of COVID-19, the students preferred online classes. Conclusion: If the learning environment for online classes is well prepared and systematic provisions are made, such as class operations that are suitable for the subject, effective education and learning can be achieved by taking advantage of both face-to-face and online classes.

과학 탐구 기능을 강화한 수업이 중학생의 탐구 능력과 과학 태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Classes with Enhanced Science Process Skills on Inquiry Ability and Science Attitudes of Middle School Students)

  • 김현리;손준호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15
    • /
    • 2022
  • COVID-19로 인해 갑작스럽게 원격 수업이 도입되고 수업 시수 경감 등의 이유로 성취기준에 제시되어 있지 않은 과학 탐구 기능에 관한 내용을 제대로 학습하지 않고 중학생이 된 학습자들은 탐구 기능에 대한 이해가 미흡하여 과학 탐구 능력과 과학 태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탐구 기능을 강화한 학습지를 개발하고, 이를 온·오프라인으로 체계적인 연계를 강조한 학생 참여형 배움 중심 수업에 적용함으로써 과학 탐구 능력과 과학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으며, 연구 결과 둘 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긍정적인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를 토대로 과학 수업 시간에 과학 교과의 기초가 되는 탐구 기능에 관심을 갖고 꾸준히 탐구 기능 요소를 경험할 수 있는 학생 참여형 배움 중심 수업이 확산하길 기대해 본다.

온-오프라인 혼합 학습환경에서 중등과학교사의 학습환경 특이적인 PCK 요소 및 하위요소 (Secondary Science Teachers' PCK Components and Subcomponents Specific to the Learning Environment in an Online-offline Mixed Learning Environment)

  • 김지수;최애란
    • 대한화학회지
    • /
    • 제66권6호
    • /
    • pp.472-492
    • /
    • 2022
  • 본 연구는 온-오프라인 혼합 학습환경에서 중등과학교사의 학습환경 특이적인 PCK 요소 및 하위요소 탐색을 목적으로 하였다. 중등과학교사 12명을 대상으로 설문, 개별 면담, 수업 관찰 자료를 수집하여 PCK 이론적 틀을 기반으로 연역적으로 분석하고 다시 귀납적 분석을 통해 그 범주를 정교화하였다. 온-오프라인 혼합 학습환경에서 본 연구 교사들의 PCK는 요소별로 학습환경 특이성이 다르고 학습환경 특이성에 따라 PCK 요소별 하위요소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학습환경 특이적인 과학 교수 지향으로 '과학 개념 학습' 목표 지향과 '강의식 수업'의 과학 교수-학습 지향이 있었다. 온-오프라인 혼합 학습환경 특이적인 교육과정에 관한 지식에는 '교육과정 재구성'이 있었으며, 온라인 학습환경 특이적인 교육과정에 관한 지식에는 '학습 목표 선정', '교육과정 자료'가 있었다. 온라인 학습환경 특이적인 과학 교수전략에 관한 지식에는 '과학 주제 특이적 전략', '과학 교과 특이적 전략', '상호작용 전략'이 있었다. 코로나 19 이후 오프라인 학습환경 특이적인 과학 교수전략에 관한 지식에는 '과학 주제 특이적 전략', '상호작용 전략'이 있었다. 온라인 학습환경 특이적인 학생의 과학 학습에 관한 지식에는 '학습을 위한 선지식', '학습 어려움', '학습 동기 및 흥미', '학습 다양성'이 있었으며, 코로나 19 이후 오프라인 학습환경 특이적인 학생의 과학 학습에 관한 지식에는 '학습 어려움'만 있었다. 과학 학습 평가에 관한 지식은 온-오프라인 혼합 학습환경 특이적인 지식과 온라인 학습환경 특이적인 지식이 있었으며, 각각 '평가 내용'과 '평가 방법'이 있었다.

A Multi-Class Task Scheduling Strategy for Heterogeneous Distributed Computing Systems

  • El-Zoghdy, S.F.;Ghoneim, Ahmed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0권1호
    • /
    • pp.117-135
    • /
    • 2016
  • Performance enhancemen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s in high performance distributed computing systems. In such computing systems, online users submit their jobs anytime and anywhere to a set of dynamic resources. Jobs arrival and processes execution times are stochastic. The performance of a distributed computing system can be improved by using an effective load balancing strategy to redistribute the user tasks among computing resources for efficient utilization. This paper presents a multi-class load balancing strategy that balances different classes of user tasks on multiple heterogeneous computing nodes to minimize the per-class mean response time. For a wide range of system parameters,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ulti-class load balancing strategy is compared with that of the random distribution load balancing, and uniform distribution load balancing strategies using simulation. The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strategy outperforms the other two studied strategies in terms of average task response time, and average computing nodes utilization.

실시간 온라인 수업 수강자들의 집중력 기반 복습 지원 도구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Concentration-based Review Support Tool for Real-time Online Class Participants)

  • 김태환;조대수;박승민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521-526
    • /
    • 2023
  • 최근 팬데믹으로 인하여 대부분의 교육 시스템은 비대면 강좌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비대면 강좌는 대면강좌와는 달리 수강자들이 집중을 유지하는데 더욱 어려우며, 평가 목록 중 하나인 수업 태도에 대한 교수자의 평가 또한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비대면 강좌에서 사용할 수 있는 실시간 화상 강의에서 수강자들의 집중력 기반 복습 지원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 시스템은 기존의 화상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장비를 이용하여 수강자의 얼굴, 동공 및 사용자 활동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이를 교수자에게 여러 가지의 형태로 수강자의 실시간 집중도 측정값을 전달한다. 동시에 집중도 측정값이 일정 수준보다 낮아지면 수강자에게 알림을 주며 동시에 강의의 타임스탬프를 기록해 주도록 한다. 이 시스템을 이용하여 교수자가 수업 시 실시간으로 수강자들의 수업 참여 여부 확인 및 수강자들의 수업 태도를 평가하는 데 도움을 주고 수강자들의 수업 능력을 향상 시켜주도록 한다.

다중 사용자 온라인 게임 개발을 통한 소프트웨어 개발 교육 (Software Development Education through Developing a usable Multiplayer Online Game)

  • 윤일미;게리 앵;권오영
    •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논문지
    • /
    • 제4권2호
    • /
    • pp.38-45
    • /
    • 2012
  • 게임제작은 전산학을 가르치는 효과적이고 매력적인 방법이다. 다중사용자 게임제작은 기술, 팀웍, 소프트웨어 공학등 중요한 측면들을 요구하고 있다. 전체 클래스를 다수의 팀으로 구성하고, 학생들은 하나 혹은 두 개의 팀에 속하였다. 각 팀은 한학기동안 자신들의 진행상황을 발표하고, 향후 이정표와 트러블슈팅에 대해 논의하고, 명확한 소통을 위해 문서를 갱신하고, SVN(Subversion)을 활용하였다. 다른 클래스 구성과 달리, 모든 학생이 하나의 목적을 달성하려는 회사처럼 서로 협력하여 일을 했다. 한학기동안 학생들은 개념설계부터 시작해서 "deBugger(2009)"와 "World of Balance(2011)"라는 다중사용자 온라인 게임을 완성했다. 더불어 게임설계, 3D 그래픽스, 게임엔진, 서버-클라이언트 구조, 게임프로토콜,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데이터베이스, 소프트웨어공학, 팀 프로젝트로서 대규모 어플리케이션 제작방법들을 학습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