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5523/JKSESE.2022.15.1.1

The Effect of Classes with Enhanced Science Process Skills on Inquiry Ability and Science Attitudes of Middle School Students  

Kim, Hyunry (Daejeon Middle School)
Son, Junho (Taebong Elementary School)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 v.15, no.1, 2022 , pp. 1-15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In a situation in which online classes were suddenly introduced due to COVID-19, there were many cases where learners did not properly learn science process skills that were not presented in the achievement standards for reasons such as reducing the number of class hours. It is difficult to expect positive science inquiry ability and science attitude from learners who have entered middle school without understanding the process skill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effect on science inquiry ability and science attitude was investigated by developing worksheets with enhanced process skills and applying it to learner-centered teaching linked online and offline.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difference between both. Based on this research, it is expected that students will pay attention to the process skills, which is the basis of science subjects, and continue to experience the process skills through learning-centered classes.
Keywords
process skills; inquiry ability; science attitude; online and offline class; learner-centered teaching;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8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김희경, 박보화, 이봉우(2007). 우리나라 과학 교과서에 나타난 기초 탐구 과정 분석: 분류, 예상 및 추리 탐구 요소를 중심으로. 초등과학교육, 26(5), 499-508.
2 서울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2005). 성공적인 중학과학 탐구수업을 위한 길라잡이 자료.
3 신명준, 하지훈, 이성희(2016). 거꾸로 수업(Flipped Learning)에서 과학 교사들이 겪는 인식과 어려움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6(1), 159-166.   DOI
4 유모경, 조희형(2003). 중학교 1학년 과학 교과서의 탐구영역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5), 494-504.
5 이정수, 정영란(2014). 중학생의 과학에 대한 태도, 과학 학습 동기 및 자기조절학습 전략과 과학 학업성취도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4(5), 491-497.   DOI
6 임성만(2019). 예비교사들은 삼엽충 분류활동 중에 어떤 특성을 보이는가?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2(1), 40-53.   DOI
7 Jeong, J. S., Gonzalez, G. D., Canada, C. F., Gallego, P. A., & Bravo, J. C. (2019). Effects of active learning methodologies on the students' emotions, self-efficacy beliefs and learning outcomes in a science distance learning course. Journal of Technology and Science Education, 9(2), 217-227.   DOI
8 Mulenga, E. M., & Marban, J. M. (2020). Prospective teachers' online learning mathematics activities in the age of COVID-19: A cluster analysis approach. Eurasia Journal of Mathematics, Science and Technology Education, 16(9), em1872.   DOI
9 오필석(2020). 과학 교육에서 기능 중심의 과학 탐구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40(2), 141-150.   DOI
10 신형석, 정용재, 설양환(2018). 국내 예비교원 교육실습 온라인 지원체제 현황 분석 및 개선방안 탐색. 한국교원교육연구, 35(3), 1-30.   DOI
11 이용섭(2020). 원격과학수업의 활용도 및 문제점, 학습자 행동분석.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3(2), 175-185.   DOI
12 이정민, 노지예, 정연화(2016). 중학교 과학수업에 적용된 플립러닝의 효과.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0(3), 263-272.   DOI
13 김소라(2019). 귀추법 활용 가설 생성 수업이 초등학생의 개념 이해와 가설 설정 능력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이혜정(2008). Blended e-Learning 교수전략. 서울: 교육과학사.
15 Hokayem, H., & Gotwals, A. W. (2017). Early elementary students' understanding of complex ecosystems: A learning progression approach.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53, 1524-1545.   DOI
16 조용문(2011). 지역공동 영재학급 학생을 위한 탐구중심학습 모듈 개발 및 적용: 물질의 변화와 열 출입 중심으로.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최우현(2009). 중등 과학 교사들의 블렌디드 러닝(blended learning) 활용 실태와 활성화시키기 위한 방안.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Furtak, E. M., & Penuel, W. R. (2019). Coming to terms: Addressing the persistence of "hands-on" and other reform terminology in the era of science as practice. Science Education, 103(1), 167-186.   DOI
19 김재웅(2017). 과학사 도입 수업이 초등과학영재의 과학에 대한 태도와 과학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전기영역을 중심으로.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이현래, 김범기(2005). 중학생의 학습양식 유형에 따른 과학탐구능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5), 541-546.
21 조영생(2022). 머신 러닝을 활용한 초등 과학영재 대상 암석 표본 관찰 및 분류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2 김성운, 양일호, 임성만(2020). COVID-19 상황에서 초등과학 전담 교사의 수업 운영 실태 및 인식.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3(3), 317-329.   DOI
23 박종원(2009). 과학영재를 위한 사사교육 준비와 유형에 대한 논의. 과학영재교육, 1(3), 1-19.
24 조은경(2018). 과학적 의문생성을 위한 관찰학습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권선아(2018). 4차 산업혁명기반 미래 대학의 교수학습방법 및 대학교수 역량에 대한 현직 교수 인식 분석.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8(12), 179-188.
26 김수경, 김명숙, 이은경, 하민수, 김동훈, 김중복, 차희영, 김성하, 강성주, 김정률(2007). 중학생의 과학 탐구능력 측정을 위한 평가 도구의 개발.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5(2), 163-177.
27 김위정(2020). 코로나19가 던진 교육격차 문제와 과제(특별기획 2020 겨울호 241호). 서울교육.
28 류태호(2017). 4차 산업혁명 교육이 희망이다. 서울: 경희대학교 출판문화원.
29 손준호(2014). 초등과학 수업에서 진단 및 형성평가를 위한 앱 개발과 효과.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0 손준호, 노자헌, 조재형, 송진여, 정지현, 김종희(2019). 중등과학영재 학생의 탐구 사고력 향상을 위한 R & E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2(1), 94-108.   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