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il-contaminated soil

검색결과 216건 처리시간 0.031초

유류오염 토양의 화학.생물학적 통합처리 과정 중의 미생물 군집 변화

  • 최정혜;배재상;박연정;김수곤;고성철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6년도 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
    • /
    • pp.29-32
    • /
    • 2006
  • 화학적 산화처리와 bioremedation 기법을 개별적 또는 복합적으로 동시에 적용함으로써 한 개별 기법의 단점을 보완하고 현장적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통합기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펜톤유사 반응을 통해 고농도의 유류를 산화분해 시킨 후 미생물 처리를 통해 잔류 유류 오염물질을 제거하고자 하였다. 유류 오염토양의 화학 생물학적 통합처리 공정의 현장 적용성 및 토양 미생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처리과정 전 후의 미생물 군집구조를 분석하였다. 또한 토양 내 유류 분해균을 분리하기 위해 탄소원으로 경유와 벙커C를 이용하여 농화배양을 수행하였다. 경유 분해균 10여종, 벙커 C 분해균 6종을 분리하여 분해능 및 동정을 시도하였다. 또한 유류 분해미생물의 consortia를 분자생물학적 기법으로 분석을 시도하였다.

  • PDF

Microsized Corn-Oil Droplet (MOD)의 Trichloroethylene (TCE) 생물학적 탈염소화 분해 자연저감 완효성 촉진제 적용성 평가 (Feasibility of Natural Attenuation for TCE Anaerobic Reductive Dechlorination Using Microsized Corn-Oil Droplet as an Activator)

  • 한경진;김희윤;권수열;김영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11-18
    • /
    • 2024
  • Recently, enhanced in situ bioremediation using slow substrate release techniques has been actively researched for managing TCE-contaminated groundwater. This study conducted a lab-scale batch reactor experiment to evaluate the feasibility of natural attenuation for TCE dechlorination using microsized corn-oil droplet (MOD) as an activator considering the following three factors: 1) TCE dechlorination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MOD; 2) TCE dechlorination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inactivator of native microbial activity; and 3) MOD concentration effects on TCE dechlorination. Batch reactors were constructed using site groundwater and soil in which Dehalococcoides bacteria were present. Without MOD, TCE was decomposed into dichloroethylene (DCE). However, other by-products of TCE dechlorination were not detected. With MOD, DCE, vinyl chloride (VC), and ethylene (ETH) were sequentially observed. This result confirmed that MOD effectively supplied electrons to complete dechlorination of TCE to ETH. However, when an excess of MOD was provided, it formed unfavorable conditions for anaerobic digestion because dechlorination reaction did not proceed while propionic acid was accumulated after DCE was generated. Therefore, if an appropriate amount of MOD is supplied, MOD can be effectively used as a natural reduction activator to promote biodegradation in an aquifer contaminated by TCE.

현장규모의 유류오염 토양세척 및 무방류 세척 유출수 처리 공정 (Full-scale Soil Washing and Non-discharged Washing Water Treatment Process of Soil Contaminated With Petroleum Hydrocarbon)

  • 서용식;최상일;김종민;김보경;김성규;박상헌;주원하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4권1호
    • /
    • pp.61-67
    • /
    • 2009
  • 현장규모의 유류오염 토양세척에 따른 세척 유출수를 처리하기 위해 다단계 물리화학적 무방류 수처리시스템을 이용하였다. 오염토양세척 후 세척토양과 세척수 처리효율을 평가하기 위해 단위공정별 잔류하는 TPH(세척토양), COD$_{Mn}$, SS, n-hexane을 분석하였다. 세척 유출수 시료채취지점은 침사지,응집 침전조 그리고 유수분리조의 유출수,공정수,저장조 유입수로 4곳의 시료채취 지점에서 총 3회에 걸쳐서 실시하였다. 또한 약8개월간의 토양세척 및 공정수 저장조의COD$_{Mn}$, SS, 그리고 n-hexane을 분석하였다. 그결과, 오염토양의 농도조건과 상관없이 오염토양의 세척효율이 평균95.9%로 높았고, 수처리 공정 최종 방류구인 공정수 저장수의 COD$_{Mn}$, SS, 그리고 n-hexane가 수질환경보전법상 청정지역 방류수질기준 미민으로 검출되었다. 현장규모의 토양 세척수 처리시스템은 세척수를 100%세척공정수로 재이용하여 환경친화적이고 경제적인 토양세척 처리공법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고온 공기분사공정에 의한 유류오염대수층의 TPH 제거 (TPH Removal of Oil-Contaminated Soil by Hot Air Sparging Process)

  • 이준호;박갑성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665-675
    • /
    • 2007
  • In-situ Air Sparging (IAS, AS) is a remediation technique in which organic contaminants are volatilized from saturated zone to unsaturated layer. This study focuses on the removal and interaction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and $CO_2$, and Total Petroleum Hydrocarbon (TPH) in saturated and unsaturated, and air space zone on the unsaturated soil surface. Soil sparging temperature of hot air has risen to $34.9{\pm}2.7^{\circ}C$ from $23.0{\pm}1.9^{\circ}C$ for 36 days. At the diffusing point, fluid TPH concentrations were reduced to 78.7% of the initial concentration in saturated zone when hot air was sparged. The TPH concentrations were decreased to 66.1% for room temperature air sparging. The amount of VOCs for hot air sparging system, in air space, was approximately 26% larger than constant air sparging system. The amount of $CO_2$ was 4,555 mg (in unsaturated zone) and 4,419 mg (in air space) when hot air was sparged was 3,015 mg (in unsaturated zone) and 3,634 mg (in air space) for room air temperature in the $CO_2$ amount. The removals of VOCs and biodegradable $CO_2$ through the hot air sparging system (modified SVE) were more effective than the room temperature air sparging. The regression equation were $Y=976.4e^{-0.015{\cdot}X}$, $R^2=0.98$ (hot air sparging) and $Y=1055e^{-0.028{\cdot}X}$, $R^2=0.90$ (room temperaure air sparging). Estimated remediation time was approximately 500 days, if final saturated soil TPH concentration was set to 1.2 mg/L application of tail effect.

Monitoring of Microbial Diversity and Activity During Bioremediation of Crude Oil-Contaminated Soil with Different Treatments

  • Baek, Kyung-Hwa;Yoon, Byung-Dae;Kim, Byung-Hyuk;Cho, Dae-Hyun;Lee, In-Sook;Oh, Hee-Mock;Kim, Hee-Si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1호
    • /
    • pp.67-73
    • /
    • 2007
  • The present study compared the microbial diversity and activity during the application of various bioremediation processes to crude oil-contaminated soil. Five different treatments, including natural attenuation (NA), biostimulation (BS), biosurfactant addition (BE), bioaugmentation (BA), and a combined treatment (CT) of biostimulation, biosurfactant addition, and bioaugmentation, were used to analyze the degradation rate and microbial communities. After 120 days, the level of remaining hydrocarbons after all the treatments was similar, however, the highest rate (k) of total petroleum hydrocarbon (TPH) degradation was observed with the CT treatment (P<0.05). The total bacterial counts increased during the first 2 weeks with all the treatments, and then remained stable. The bacterial communities and alkane monooxygenase gene fragment, alkB, were compared by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DGGE). The DGGE analyses of the BA and CT treatments, which included Nocardia sp. H17-1, revealed a simple dominant population structure, compared with the other treatments. The Shannon-Weaver diversity index (H') and Simpson dominance index (D), calculated from the DGGE profiles using 16S rDNA, showed considerable qualitative differences in the community structure before and after the bioremediation treatment as well as between treatment conditions.

Pseudomonas aeruginosa Kl4를 이용한 등유(Kerosene)의 생물학적 분해 (Biodegradation of Kerosene by Pseudomonas aeruginosa K14)

  • 김지영;이상섭
    • 미생물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56-163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유류로 오염된 토양에서 증식배양을 통해 등유 분해 균주 32개체를 순수 분리하였다. 분리한 개체에 대하여 스크린테스트를 통해 고효율 제거 균주를 선별하였으며, 그 결과 Kl4가 kerosene 1,000 mg/L에서 6일간 가장 높은 제거율을 보였다. Kl4는 형태학적, 생리생화학적 테스트, 16S rDNA 및 지방산 분석을 통하여 Pseudomonas aeruginosa로 동정되었다. 위 균주를 사용하여 다양한 생장조건에서의 등유제거를 측정한 결과, 최적분해조건으로 초기 접종 균농도 1.0 g/L (w/v), 등유 1,000 mg/L, 온도 $30^{\circ}C$, pH 7의 조건이 선정되었다. 이 조건으로 K14에 대한 회분식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위 균주는72시간 동안 등유 1,000 mg/L를 78.3% 이상 제거하였다. 또한, 기질농도에 변화를 주어 실험한 결과 저농도의 등유 200 mg/L에 대하여 48시간 동안 95.8%, 고농도의 등유 5,000 mg/L에서 48시간 동안 42% 이상의 제거능을 보여주었다. 위 결과로 보아, K14에 의한 등유의 생물학적 처리는 유류에 오염된 지하수 및 토양에 적용하였을 시, 뛰어난 제거 효능을 보일 것으로 사료된다.

Low Temperature Thermal Desorption (LTTD) Treatment of Contaminated Soil

  • Alistair Montgomery;Joo, Wan-Ho;Shin, Won-Sik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발표회
    • /
    • pp.44-52
    • /
    • 2002
  • Low temperature thermal desorption (LTTD) has become one of the cornerstone technologies used for the treatment of contaminated soils and sediments in the United States. LTTD technology was first used in the mid-1980s for soil treatment on sites managed under the Comprehensive Environmental Respones, Compensation and Liability Act (CERCLA) or Superfund. Implementation was facilitated by CERCLA regulations that require only that spplicable regulations shall be met thus avoiding the need for protracted and expensive permit applications for thermal treatment equipment. The initial equipment designs used typically came from technology transfer sources. Asphalt manufacturing plants were converted to direct-fired LTTD systems, and conventional calciners were adapted for use as indirect-fired LTTD systems. Other innovative designs included hot sand recycle technology (initially developed for synfuels production from tar sand and oil shale), recycle sweep gas, travelling belts and batch-charged vacuum chambers, among others. These systems were used to treat soil contaminated with total petroleum hydrocarbons (TPH),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 pesticides, polychlorinated biphenyls (PCBs) and dioxin with varying degrees of success. Ultimately, performance and cost considerations established the suite of systems that are used for LTTD soil treatment applications today. This paper briefly reviews the develpoment of LTTD systems and summarizes the design, performance and cost characteristics of the equipment in use today. Designs reviewed include continuous feed direct-fired and indirect-fired equipment, batch feed systems and in-situ equipment. Performance is compared in terms of before-and-after contaminant levels in the soil and permissible emissions levels in the stack gas vented to the atmosphere. The review of air emissions standards includes a review of regulations in the U.S. and the European Union (EU). Key cost centers for the mobilization and operation of LTTD equipment are identified and compared for the different types of LTTD systems in use today. A work chart is provided for the selection of the optmum LTTD system for site-specific applications. LTTD technology continues to be a cornerstone technology for soil treatment in the U.S. and elsewhere. Examples of leading-edge LTTD technologies developed in the U.S. that are now being delivered locally in global projects are described.

  • PDF

미생물활성화제를 이용한 유류오염토양 복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mediation using Microbial Activator from Oil-Contaminated Soil)

  • 이채영;정찬교;김종문
    • 유기물자원화
    • /
    • 제19권2호
    • /
    • pp.41-48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미생물활성화제를 토양경작법에 적용하였을 경우 토양을 복원함에 있어 타 공법에 비해 장시간 걸리는 단점을 최소화하고, 빠른 시일 내에 친환경적으로 복원이 가능한지에 대한 타당성 조사와 더불어 석유계총탄화수소(TPH)의 저감 능력을 확인하였다. Pre-test의 개념으로 미생물활성화제의 성능과 분해 효율을 lab-test를 통해 확인하였으며, 유류오염 토양의 지표인 석유계총탄화수소(TPH)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석유계총탄화수소(TPH)의 처리 효과를 확인한 결과, 20일 정도까지는 자연분해와 미생물활성화제의 차이가 미미하게 발생하였으나, 20일 경과 후에는 처리 효과가 대조군에 비해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각층에 따른 제거율을 살펴본 결과, 상층 85.8 %, 중층 84.4 %의 제거율을 나타냈으나, 하층에서는 66.10 % 제거율을 나타냈다. 대조군에서 자연적으로 줄어드는 석유계총탄화수소(TPH)의 저감율이 평균 71.1 %임을 근거로 봤을 때 미생물활성화제가 하층까지 충분하게 전달되지 않은 상태로 볼 수 있었으며, 이는 토양 더미의 문제로 판단된다. 현장 실험에서는 토양 더미가 1 m 로 진행되었기 때문에 더미 높이를 0.6 m 이하로 낮추게 되면 석유계총탄화수소(TPH)의 처리효율은 더 높아질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기름으로 오염된 토양에서 분리된 다환방향족탄화수소 분해 세균 Idiomarina piscisalsi 10PY1A의 유전체 염기서열 해독 (Complete genome sequence of the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biodegrading bacterium Idiomarina piscisalsi strain 10PY1A isolated from oil-contaminated soil)

  • ;정병권;김민철;;;;;김상준;신재호
    • 미생물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289-292
    • /
    • 2018
  • 석유로 오염된 사우디아라비아의 바다 모래에 pyrene을 영양물로 첨가하는 집식배양을 통해 우점하는 박테리아 균주 10PY1A가 분리되었다. 이 균주는 16S rRNA 유전자 분석을 통해 Idiomarina piscisalsi로 동정되었다. 이 균주는 G + C 비율이 47.4%이며 2.69 Mbp 크기의 원형 염색체를 보유하고 있으며, 해당 염색체는 다환방향족탄화수소 분해와 관련 있는 유전자를 포함한 2,346개의 단백질 코딩 유전자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이 균주가 석유로 오염된 해양과 토양에서 방향족탄화수소를 분해하는 데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자력선별과 토양세척법을 연계하여 금속폐기물과 TPH로 복합 오염된 토양 동시 정화 (Soil Washing Coupled with the Magnetic Separation to Remediate the Soil Contaminated with Metal Wastes and TPH)

  • 한이경;이민희;왕수균;최원우
    • 자원환경지질
    • /
    • 제52권1호
    • /
    • pp.1-12
    • /
    • 2019
  • 금속 폐기물과 TPH(total petroleum hydrocarbon: 석유계 총탄화수소)로 복합 오염된 토양을 정화하기 위하여 자력선별법을 연계한 토양세척 배치실험을 실시하였다. 오염토양의 아연과 TPH 농도는 각각 1743.3 mg/kg과 3558.9 mg/kg으로 심하게 오염되어 있었으며, 아연, 납, 구리, TPH 항목들이 '2지역 토양오염우려기준'(정화목표)을 초과하였다. 중금속 제거를 위해 1차 산세척을 실시하였으나 납과 아연은 산세척 후에도 '2지역 토양오염우려기준'을 초과하였으며, 2차 연속 세척에 의해서 아연과 납의 제거효율은 각각 8 %와 5 % 증가에 그쳐, 정화목표에 도달하지 못하였다. 오염토양의 중금속 초기농도를 줄이고 세척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세척 전 미세입자(직경 < 0.075 mm)를 선별하였으며, 오염토양의 4.1 %가 분리되었다. 미세입자 선별만으로 오염토양의 초기 아연과 납 농도는 1256. 3 mg/kg(27.9 % 감소)과 325.8 mg/kg(56.3 % 감소)으로 감소하였으나, 미세입자 선별 후 오염토양을 1차 세척한 결과 아연 농도가 '2지역 토양오염우려기준'보다 높게 나타나, 이를 만족시킬 수 있는 추가 제거방법이 필요하였다. 본 토양이 무분별한 금속폐기물 투기에 의해 오염되었다는 사실로부터, 미세입자 선별의 대안으로 자력선별법을 적용하였으며, 토양의 16.4 %가 자력선별에 의해 제거되었다. 자력선별 후 오염토양의 아연과 납 농도는 637.2 mg/kg (63.4 % 감소)과 139.6 mg/kg (81.5 % 감소)로 감소하여, 1회 토양세척과 미세입자 선별에 의한 중금속 제거 효과보다 높았다. 자력선별 후 오염토양을 산용액으로 1차 세척한 결과, 오염토양 내 모든 중금속과 TPH농도가 '2지역 토양오염우려기준'이하로 낮게 유지되어, 본 오염토양과 같이 금속폐기물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토양의 경우 자력선별법을 연계한 토양세척에 의해 중금속과 TPH를 동시에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