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ccupational accident

검색결과 627건 처리시간 0.039초

허베이스피릿호 유류유출사고 방제작업 참여자의 보호장비착용 효과 (The Effects of Wearing Protective Devices among Residents and Volunteers Participating in the Cleanup of the Hebei Spirit Oil Spill)

  • 이승민;하미나;김은정;정우철;허종일;박석건;권호장;홍윤철;하은희;이종성;정봉철;이정애;임호섭;최예용;조용민;정해관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42권2호
    • /
    • pp.89-95
    • /
    • 2009
  • Objectives : To assess the protective effects of wearing protective devices among the residents and volunteers who participated in the cleanup of the Hebei Spirit oil spill. Methods : A total of 288 residents and 724 volunteers were surveyed about symptoms, whether they were wearing protective devices and potential confounding variables. The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from the second to the sixth week following the accident. Spot urine sampl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or metabolites of 4 volatile organic compounds(VOCs), 2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PAHs), and 6 heavy metals. The association between the wearing of protective devices and various symptoms was assessed using a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djusted for confounding variables. A multiple generalized linear regression model adjusted for the covariates was used to test for a difference in least-square mean concentration of urinary biomarkers between residents who wore protective devices and those who did not. Results : Thirty nine to 98% of the residents and 62-98% of volunteers wore protective devices. Levels of fatigue and fever were higher among residents not wearing masks than among those who did wear masks(odds ratio 4.5; 95% confidence interval 1.23-19.86). Urinary mercury level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higher among residents not wearing work clothes or boots(p<0.05). Conclusions : Because the survey was not performed during the initial high-exposure period,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metabolite levels between people who wore protective devices and those who did not, except for mercury, whose biological half-life is more than 6 weeks.

불산제조업체에서 발생한 불산화상에 관한 조사연구 (A Study on Occupational Hydrofluoric Acid Burns in a Hydrofluoric Acid Manufacturing Factory)

  • 임현술;정해관;김지용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6권4호
    • /
    • pp.587-598
    • /
    • 1993
  • Hydrofluoric acid is one of the strongest irritating, corrosive and poisonous inorganic chemicals. Hydrofluoric acid burns are occurring with ever-increasing frequency due to the wide use of this acid in industries. Hydrofluoric acid burns are characterized by severe progressive tissue destruction and excruciating pain due to the unique properties of the freely dissolvable fluoride ion. The authors reviewed medical records of 32 cases (36 spells) of hydrofluoric acid burns which occurred in a hydrofluoric acid manufacturing factory from Sep. 1, 1990 to June 30, 1993.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Eleven measurements of air concentrations of hydrofluoric acid by detection tube method from 1990 to 1992 were all below TLV (Department of Labor, R.O. K). 2. There were 19 cases (22 spells) of hydrofluoric acid burns which occurred during the study period among regular employees. The overall incidence density of hydrofluoric acid was 17.8 cases (20.6 spells) per 100 person-year. Incidence density was 19.0 cases (22.0 spells) per 100 person-year among male workers and there were no female cases. Incidence density was 32.9 cases (38.3 spells) per 100 person-year among production workers and 1.9 cases (1.9 spells) per 100 person-years among management workers with the difference be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1). 3. Of 32 cases (36 spells) of hydrofluoric acid burns among workers who were regularly employed or temporarily employed, 26 spells (81.2%) were between age 20 to 39. In 15 spells(41.7%) burns occurred between 12:00 and 17:59 with 16 spells(44.3%) having arrived at hospital within 2 hours after the accident. 4. Of 36 spells, the main cause of hydrofluoric acid burns were by splashes (8 spells, 22.2 %). The most frequent site of burns were fingers and pain was the most frequent symptom. Thirty spells (83.3%) of the hydrofluoric acid burns were treated with local injection of antidote (calcium gluconate). Complete recovery without scarring were observed in most of the cases (34 out of 36 cases, 94.4%). The study results suggest that to prevent hydrofluoric acid burns, environmental control and the wearing of hydrofluoric acid resistant protective clothes and gloves are important. It is also stressed that establishment of an emergency management and a transfer system for hydrofluoric acid burn victims is necessary.

  • PDF

가설기자재 관련 안전인증제도 실태조사 및 개선방안 (Survey and Improvement Scheme for Safety Certification System of Temporary Equipment and Materials)

  • 원방희;윤경원;전상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7호
    • /
    • pp.92-102
    • /
    • 2016
  • 본 연구는 국내 외 가설기자재 관련 제도 및 기준 등을 비교 분석하여 가설기자재 안전인증제도 개선방안을 제시하며 건설 산업에서 사용 중인 가설기자재의 안전성을 확보하고자 한다. 현재 사용되는 가설기자재 안전인증제도 이행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생산 임대 사용의 가설기자재 관련 종사자에 대해 인터넷 설문조사 및 현장방문 인터뷰를 실시하여 통계분석을 수행하고 안전인증제도 실태조사 및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안전인증제도는 2009년부터 시행되고 있지만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의 '건설중대재해 사례와 대책'을 확인하면 건설재해는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다. 가설기자재 관련 종사자의 안전인증품목 적절성에 대한 응답은 '예(36%)', '아니오(30%)', '잘 모르겠음(35%)'으로 현행 안전인증제도 적합성에 대한 긍정적인 응답률이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현재의 가설기자재 안전인증제도는 건설 환경의 변화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는 의견이 많았다. 또한 국외 가설기자재 및 신소재 신제품에 대한 인증 방안 모색과 재사용가설기자재 자율등록제 제도 보완 및 안전성 증대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나타난다. 본 연구를 통하여 현행 안전인증제도의 인증대상 품목, 인증규격의 현실 적합성 및 인증방법 등을 검토한 후 안전인증제도 개선방향을 제시 하였다.

진동공구 사용근로자의 피부온도 변화 (Change of Skin Temperature of Workers Using Vibrating Tools in Anthracite Mines)

  • 노재훈;문영한;신동천;차봉석;조수남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1권2호
    • /
    • pp.357-364
    • /
    • 1988
  • 충청북도 단양지역 착암 근로자 79명과 착암기를 사용하지 않는 광산 근로자 39명을 대상으로 1987년 6월 10일부터 1987년 6월 19일까지 면접 조사 및 집단 검사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창백지(white finger)는 오른쪽 손에 더 많이 나타났다. 2. 창백지 발현에 진동 노출량, 연령, 음주 및 흡연 여부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변수로 선정되었다. 3. 진동 증후군 증상자의 수지부 통각역치가 대조군에 비해 증가되었다. 4. 냉수 침적후 진동 증후군의 피부온도가 대조군에 비해 낮았으며 회복은 대조군에 비해 지연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서비스업 기초안전보건교육의 실시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Plan of the Basic Safety and Health Education for Service Industries)

  • 정승래;오현수;최윤정;장성록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87-94
    • /
    • 2016
  • Recently, as Korean industrial structure is moving to the service job, the number of workers engaged in the service job is increasing slowly. According to the statistics by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announced in June, 2013, the number of service job workers in Korea was 7,477,135 which accounted for 48.4% of total workers. The trend of this service job is expected to increase continuously in the future. According to the 2013 statistics by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the number of industrial accidents victims of industrial accidents in the service job was 30,526 which was the biggest number among the entire businesses. The victims in the service job accounted for 33.2% among the total number of industrial accidents and represented more than those in the manufacture and construction industry. The service job had various works and employment patterns and most service jobs are petty and are small-sized establishments and it is difficult to try voluntarily to prevent the industrial accidents. However, Korea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was enacted in accordance with the construction and manufacture in which industrial accidents occurred frequently in the past. The support of the government for the industrial accident prevention is focused on the construction and manufacture. Therefore, the current service job is placed on the blind spot of the safety management. Raising the safety awareness of workers through the safety education is the most important in order to prevent the industrial accidents of the service job with many conventional/repeated disasters such as the conduction by a simple mistake. Accordingly, this study analyzed the features and accidents of the domestic service jobs through the literature survey and analyzed the institutional devices for the safety management of the domestic service job, and the safety management cases of foreign service jobs and compared with domestic systems. Considering demands for the basic safety education for service job workers,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targeting the service job workers and the execution plan of the basic safety & health education targeting the service job workers was carried out through the brainstorming of trainers of worker in the service job.

ANP 기법을 이용한 기업의 재해 수준 평가 (Assessment of Disaster Levels of Company using the Analytic Network Process)

  • 백신원;임미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2호
    • /
    • pp.44-52
    • /
    • 2019
  • 다양한 업종별 산업이 존재하고 규모가 커지면서 산업재해 사고 또한 다양화되고 있고 해마다 줄지 않고 있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산업재해는 다양한 방법으로 분석 및 통계화하여 발표되고 있다. 대부분의 기업은 자사의 재해 수준에 대해 재해율을 이용하여 타 기업체와의 비교 정도만 할 뿐 기업체 개별적 특성을 반영한 비교와 이를 기초로 한 기업의 특성을 고려한 안전관리 활동계획을 수립하는 업체는 거의 찾아볼 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난 5개년(2013~2017) 간의 재해통계에서 도출된 데이터와 전문가 판단에 의한 설문조사를 통한 안전정보 특성과 ANP 기법을 이용한 각 기업들 간의 재해 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기법을 개발하는데 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재해통계자료 중 기업의 재해 수준을 평가하는 데 있어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6가지 요인을 선정하였는데, 이 6가지 요인으로는 산업 형태 및 규모별 현황, 작업자 연령별 현황, 재해 정도별 현황, 입사 근속 기간별 현황, 발생형태별 현황 등을 들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재해요인별 가중치를 도출함으로써 각 기업들의 재해통계와 도출된 가중치를 이용하여 그 기업의 재해 수준을 비교 평가할 수 있도록 점수화하는 방법을 제시할 수 있었다.

건설업 안전보건경영시스템 실행의 성숙도 분석 (The Analysis of Maturity on Implementation of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ystem in a Construction Company)

  • 오병섭;권창희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8권3호
    • /
    • pp.310-318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의 올바른 정착과 지속적인 개선을 통한 산업재해를 줄이기 위한 시스템 성숙도평가를 제안하는데 있다. KOSHA 18001시스템 실행의 현재 수준파악과 성숙도 측정의 검증을 통한 결과로서 다음 내용으로 요약된다. 시스템의 지속적인 성숙도 등급 향상을 위해서는 경영층 인식부문(의사결정) 46.0%, 본사지원활동 32.0%, 현장실행참여 22.0%로 중요도 로 검증되었다. 본사/현장의 활동은 위험성평가, 안전보건 재해예방활동, 성과평가 및 모니터링, 자원관리 및 지원, 경영검토 및 개선 등 활동의 중요도 순으로 실행 우선순위가 결정되었다. 또한, 전문가 그룹은 시스템의 강점, 약점, 개선주제를 제시함으로써 지속적인 개선활동과 연계시켜야 시스템을 정착할 수 있다고 제시하였다. 셋째, 안전보건경영시스템 실행의 성숙도 등급을 관리할 수 있는 도구를 제시하였다.

건설현장 달비계 추락재해 예방을 위한 사례분석 연구 (Analysing Disaster Cases on Construction Sites to Prevent Falling Disaster of Hanging Scaffolding)

  • 임형철;이동헌;정성춘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0권6호
    • /
    • pp.66-73
    • /
    • 2019
  • 정부와 안전보건공단의 재해 절감을 위한 다양한 노력덕분에 산업과 건설업 전반에 걸쳐 재해 사고는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건설업에서의 추락재해는 감소하지 않고 오히려 증가하고 있다. 특히, 달비계에 의한 추락재해는 매년 발생빈도는 낮지만 발생 시 작업자의 사망과 직결한다는 측면에서 재해강도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국내 건설업에서의 달비계 작업환경은 매우 열악하다. 특히 소규모 건설현장에서의 달비계 작업자들은 안전에 대한 감독과 관리를 받을 수 있는 주체가 없다. 달비계 작업자들은 자신들이 직접 제작한 성능이 확인되지 않은 달비계를 가지고 불안전한 작업환경에 내몰리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15년간 달비계에서 기인한 242건의 사고사례들을 분석하여 추락재해 발생 주요 원인 및 개선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주요내용은 불안전한 행동에 의한 재해발생률이 높아서 작업대 안착 시, 안전난간을 넘어가는 과정, 몸의 불균형 등에서 사고가 많으며 설비개선 및 작업방법개선으로 해결이 요구된다. 또한, KOSHA Guide에서 제시하는 작업순서 상의 문제점으로 발생되는 재해는 없었으며, 다만 작업 순서를 따르지 않아 안전대를 안전대 걸이용 로프에 미설치 및 미부착에 의한 사망으로 이르는 재해가 다수 발생된 것으로 파악되어 작업방법의 개선에서 가장 중요한 사항은 수직구명줄 및 안전대의 설치 및 착용이 가장 중요한 사항으로 도출되었다.

학교 급식종사자를 대상으로 한 위험성평가의 실효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Risk Assessment for School Food Service Workers)

  • 조규선;이대호;전진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90-98
    • /
    • 2021
  • 2017년부터 학교 급식업무에 대한 산업안전보건법이 전면 적용되고 그에 따라 2019년부터 위험성평가가 시행되었으나 타 업종에 비해 도입이 늦고 비전문가인 영양(교)사에 의해 평가되고 있어 제도 정착의 한계가 있었다. 서울시교육청 산하 모든 학교에서는 고용노동부의 학교 급식업무의 산업안전보건법 및 고용노동부 고시에 따라 매년 안전보건공단에서 제공하는 위험성평가 지원 시스템의 KRAS 기법을 적용하고 있다. 이렇듯 법적 규제에 따라 위험성평가를 적용하고 있으나 위험의 빈도와 강도 기준이 정성적이고 주관적이어서 평가자에 따라 다른 결과를 도출하여 위험성평가의 실효성이 의문시되었으나 지금까지 학교 급식업무에 대한 위험성평가와 관련된 연구는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급식종사자의 재해통계를 바탕으로 위험의 빈도와 강도 기준을 정량적이고 객관적으로 제시하고 급식업무 중 일부 작업에 대해 새로운 산정기준을 적용하여 위험성평가를 실시하고 기존 위험성평가 결과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위험도가 높아지고 그에 따른 개선방안이 구체적으로 제시되어 실효성 제고가 확인되었으므로 급식업무 전체에 대해 시범평가를 확대하고 타당성을 확인하여 모든 학교에 확대 적용함으로써 위험성평가의 실효성과 작동성 제고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안전보건에 대한 경영진의 지지가 근로자 안전인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anagement Support for Health and Safety on Workers' Safety Perception)

  • 한승조;배영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7호
    • /
    • pp.155-162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안전보건과 관련하여 경영진의 지지가 근로자 안전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1990년대 이후로 우리나라는 국가경쟁력이 급속하게 상승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산업재해 예방과 대처를 위한 노력이 미흡한 실정이며, 특히 2020년대에 들어서면서 기업의 중대재해 책임을 강화하려는 움직임이 크게 일어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경영진의 지지가 해당 업체의 안전보건 관련 조직 및 제도, 의사소통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궁극적으로 근로자들이 안전의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구조방정식모델을 구성하여 정량적으로 분석한다. 구조방정식모델을 위해 산업안전보건연구원에서 수행한 4,169명의 설문지가 관측변수로 활용되었으며, 5개의 가설이 설정되어 가설검증이 이루어졌다. 안전보건 경영과 관련된 경영진의 지지가 높아지면 조직 내의 안전보건 관련 조직과 제도의 구성 및 운영, 안전보건 관련 의사소통이 활발해지고, 최종적으로 사업장에서의 근로자 안전의식 및 행동도 증대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안전보건과 관련된 조직, 제도, 의사소통 등의 제반 조치 이전에 경영진의 안전보건에 대한 중요성 인식 증대가 필요함을 함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