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besity rat

검색결과 151건 처리시간 0.037초

저항성 운동과 고단백식 혼합처치가 sarcopenic obese 쥐의 골격근 내 단백질 합성요인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esistance Exercise Training and High Protein Diet on Anabolic Factors of Skeletal Muscle in Sarcopenic Obese Rats)

  • 정수련;김기진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4권2호
    • /
    • pp.431-439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sarcopenic obese 흰쥐를 대상으로 사다리 등반 운동 또는 고단백식이 처치가 골격근의 단백질 합성과 인슐린 저항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50주령 SD계 수컷 흰쥐를 이용하여 6주간 고지방식이로 sarcopenic obese 쥐를 유도한 다음 4집단(Chow, HP, Ex, HPEx)으로 무선 배정하였다. 연구결과 8주간의 사다리 등반 운동은 sarcopenic obese 흰쥐의 인슐린 저항성과 체지방량을 감소시키고, mTOR 활성도를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그러나 하지 근육양은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고, 고지방식과 운동을 병행 처치한 경우 체지방과 인슐린 저항성이 개선되지 않았으며, 오히려 운동의 효과가 저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노화에 따른 sarcopenic obesity 개선을 위한 고단백식이는 그 양과 조성에 있어서 보다 면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마황약침(麻黃藥鍼)이 지방세포 대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phedrae Herba Pharmacopuncture on Adipocyte Metabolism)

  • 정종진;김병우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80-89
    • /
    • 2008
  • Objectives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phedrae Herba pharmacopuncture (EHP) on the adipogenesis in 3T3-L1 cells, lipolysis in rat epididymal adipocytes and histological changes in porcine adipose tissue. Methods : Inhibition of preadipocyte differentiation and/or stimulation of lipolysis play important roles in reducing obesity. 3T3-L1 preadipocytes were differentiated with adipogenic reagents by incubating for 3 days in the absence or presence of EHP ranging from 0.01 to 1.0 $mg/m{\ell}$. The effect of EHP on adipogenesis was examined by measuring glycerol-3-phosphate dehydrogenase (GPDH) activity and by oil red O staining. Mature adipocytes from rat epididymal fat pad were incubated with EHP ranging from 0.01 to 1.0 $mg/m{\ell}$ for 3 days. The effect of EHP on lipolysis was examined by measuring free glycerol released. Fat tissue from porcine skin was injected with EHP ranging from 0.1 to 10.0 $mg/m{\ell}$ to examine the effect of EHP on histological changes under light microscopy. Results :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rom present study on adipogenesis of preadipocytes, lipolysis of adipocytes and histological changes in fat tissue. Proliferation of preadipocytes was significantly inhibited by EHP at the concentration of 1.0 $mg/m{\ell}$. Lipolysis of adipocytes was increased by EHP at the concentration of 0.1, 1.0 $mg/m{\ell}$. Porcine fat tissues were widely injured by EHP at the concentration of 10.0 $mg/m{\ell}$. Conclusions : From the above results, EHP efficiently induces inhibition of preadipocytes proliferation, lipolysis of adipocytes and histologic injury in fat tissues. Therefore, EHP may be useful to treat localized obesity.

  • PDF

비만모델 랫드에서 지장김치의 혈액 지질대사, 항비만 효능 및 메카니즘 (Biochemical mechanism of Jijang-Kimch on anti-obesity effect and blood lipid metabolism in obesity model rats)

  • 신종서;엄경환;최윤서;이혜선;박희진;박병성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1198-1207
    • /
    • 2019
  • 고지방식이에 의해 유도한 비만모델동물에서 지장김치의 혈액 중 유해 지질 감소, 항비만 효능 및 그 작용 메카니즘을 조사하였다. 4개의 처리구는 CD(일반식이를 섭취한 정상 대조구, chow diet as normal control), HFD(고지방식이를 섭취한 비만 대조구, high fat diet as obesity), HFDCK(고지방식이+일반김치 추출물 투여구), HFDJK(고지방식이+지장김치 추출물 투여구)로 구분하여 김치추출물을 28일 동안 경구투여 하였다. 체중, 간 및 지방조직 무게는 비만모델동물에서 HFDJK가 HFDCK에 비해서 낮았다(p<0.05). 혈액 중성지방, 총콜레스테롤, LDL-C, 혈당은 HFD와 비교할 때 CD, HFDJK, HFDCK의 순서대로 낮았으며 HFDJK는 HFDCK에 비해 낮았다(p<0.05). 간 및 지방세포의 크기는 HFD, HFDCK, HFDJK의 순서대로 증가하였으며 HFDJK는 HFDCK에 비해서 크게 낮았다(p<0.05). 결과는 비만모델동물에서 지장김치의 섭취가 일반김치에 비해서 혈액 지질과 혈당을 낮추고 지방세포의 크기를 줄여줌으로써 항비만 효능을 갖는다는 점을 나타낸다.

고지방 식이 유도 비만 흰쥐에서 홍국발효 참당귀 추출물의 항비만 효과 (Effects of Extracts of Monascus-fermented Angelica gigas Nakai in High-fat Diet-induced Obesity in Rats)

  • 김영완;김태훈;심소연;안희영;박규림;김정욱;조영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58-67
    • /
    • 2018
  • 고지방 식이 유도 비만 흰쥐에 Monascus purpureus균주로 발효시킨 참당귀 추출물을 식이에 첨가하였을 때 나타나는 체중 및 내장지방의 감소, 혈중 및 조직 내 중성지질 및 과산화지질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FAG섭취로 인해 체중증가 및 내장지방 축적 비율을 효과적으로 낮추었으며, 간 기능 지표로 활용되는 혈중 AST, ALT, LDH 및 ALP 활성 변화는 정상 수치와 비슷한 수준으로 감소되었다. FAG를 섭취함으로서 혈중 중성지질 농도가 정상 수준으로 감소하였으며, 혈중 leptin 호르몬 함량 또한 정상 수치와 비슷한 수준으로 증가하였다. 고지방 식이 섭취로 인한 각 조직 과 혈청 내 과산화지질(TBARS)을 측정한 결과 고지방 식이만 섭취한 C군에 비해 각 실험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특히 FAG10군에서 가장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Hematoxylin과 eosin 염색 및 Oil red O 염색을 통해 FAG를 섭취함에 따라 간장 내 지질침착도의 감소를 확인였으며, 부고환 주변 지방 조직의 hematoxylin과 eosin 염색으로 지방세포의 크기가 감소되었음을 확인하였다.

DNA Array Analysis of Changes in Gene Expression Profile in DHEA-induced PCO

  • Yu, Jeong-Min;Yoo, Seong-Jin;Kim, Do-Rim;Youm, Mi-Young, Kim, Jee-Yun;Kang, Sung-Goo
    • 한국수정란이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정란이식학회 2002년도 국제심포지엄
    • /
    • pp.112-112
    • /
    • 2002
  • Under normal conditions, women produce a single dominant follicle that participates in a single ovuation each menstrual cycle. But Polycystic ovary syndrome(PCOS) conditions, folliculogenesis does not proceed normally. This condition leads to the accumlation of large numbers of small graffian follicles in which the theca interstitial cells (TIC) produce abnormally large amounts of androgen. PCOS is probably the most common endocrine disorder, affecting women of reprodutive age with 5-10% prevalence estimate. Chronic anovulation, hyperandrogenism, hirsutism, obesity, infertility and polycystic ovaries are clinical hallmarks of women with PCOS. Its etiology remains unknown. To investigate the gene expression pattern of ovary in PCO-induced rat, we used cDNA expression analysis. Total RNA was extracted from the ovary of PCO-induced rat and reverse-transcribed in the presence of[$\alpha$$^{32}$P]-dATP Which were hybridized to Atlas$^{TM}$ Rat Toxicology 1.2 array (Clontech) representing approximately 1176 rat genes. We compared gene expression between ovary of pco-induced immature female rats and control. Differential gene expression profiles were revealed (LIFR-alpha, ADRA1A, Heat shock 90-kDa protein A, PDGFRA).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RT-PCR) was used to validate the relative expression pattern obtained by the cDNA array. The precise relationship between the altered expression of genes and PCO is a matter of further investigation. This study was supported by Korea Science and Engineering Foundation(KOSEF)

  • PDF

홍삼 및 천연물 혼합소재의 비만 유도 흰쥐에 대한 항비만 효과에 관한 연구 (Effect of Ginseng and Herbal Plant Mixtures on Anti-Obesity in Obese SD Rat Induced by High Fat Diet)

  • 이성계;소승호;황의일;구본석;한경호;고상범;김나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437-444
    • /
    • 2008
  • 홍삼과 보이차, 노팔선인장을 소재로 하여 체중조절효과가 우수하고 부작용이 없는 최적의 원료와 적정 섭취 농도를 설정하고자 홍삼, 보이차, 노팔선인장 혼합소재(DM1) 및 홍삼, 보이차 혼합소재(DM2)를 고지방식이로 8주간 비만을 유도한 수컷 흰쥐에게 100, 300, 500 mg/kg의 농도로 8주간 투여하면서 체중, 혈중 지질 분석, 복부 및 기타지방 조직, 비만에 관련된 몇 가지 생화학적 지표를 조사하였고, 간 기능과 신장 기능, 조혈 기능을 나타내는 생화학적 지표를 조사하였다. 체중은 고지방식이군에 비하여 DM1 투여군에서 $77.1{\sim}51.8%$, DM2 투여군에서 $64.7{\sim}16.1%$ 수준으로 증가하였다. 중성 지질의 농도는 DM1 투여군에서 고지방 식이군의 $84{\sim}54%$, DM2 투여군에서 $62{\sim}58%$의 수준을 나타내었다. 혈청 렙틴의 농도는 DM2 투여군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여 고지방식이군의 $82.8{\sim}66.9%$로 감소되었다. 혈중 인슐린의 농도는 DM1 투여군에서 고지방식이군의 $66.8{\sim}65.1%$, DM2 투여군에서 $66.7{\sim}62.5%$의 수준이었으며 1% 수준에서 통계적인 유의성을 나타내었다. 부고환 주위 지방(좌/우), 내장지방, 신장주위 지방의 무게는 DM1 500 mg/kg과 DM2 300, 500 mg/kg 투여에서 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고 DM2는 정상식이군의 수준으로까지 감소되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간 조직내 지질침착도는 DM2 500 mg/kg 투여군에서는 감소하였다(p<0.05). 간과 신장의 이상 유무를 판단할 수 있는 AST, ALT 및 ALP, T-BIL, BUN 및 WBC 수치는 시험물질 섭취군에서 고지방식이군에 비하여 큰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고 RBC는 DM2 500 mg/kg 투여군에서 다소 증가하였고 다른 시험군에서는 큰 변화가 없어서 부작용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실험결과를 종합해 보면 홍삼과 보이차, 노팔선 인장을 소재로 한 DM1과 DM2 복합 소재는 항비만 효과가 우수하고 부작용이 없었으며, 홍삼과 보이차를 혼합한 DM2의 효과가 더 우수하였으며, 적정 섭취 농도는 DM1은 500 mg/kg, DM2는 $300{\sim}500mg/kg$인 것으로 판단된다.

무독화한 옻발효초가 고지방식이를 급여한 흰쥐에 미치는 항비만 효과 (Anti-Obesity Effect of Fermented Detoxified Rhus verniciflua Vinegar Supplementation in Diet-Induced Obese Rats)

  • 정소라;김란선;박유경;백성열;여수환;이충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12호
    • /
    • pp.1771-1778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고지방식이로 비만 유도된 쥐를 대상으로 10주간 옻식초를 급여하였을 때 비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옻식초는 무독화된 옻을 이용하여 알코올 발효 후 아세트산 발효를 거쳐 제조하였으며, 흰쥐를 일반식이(normal chow diet)와 고지방식이(fat 60 %kcal) 섭취군으로 나누어 12주 동안 비만 유도를 한 후 총 5군으로 나누었다. 일반식이와 정제수를 음용한 CON군, 고지방식이와 정제수를 음용한 OB-DW군, 고지방식이와 1% 아세트산을 음용한 OB-AA군, 고지방식이와 1% 옻식초를 음용한 OBRV군, 고지방식이와 0.1% 카페인 용액을 음용한 OB-CF군으로 나누어 총 10주 동안 해당 식이와 실험시료를 공급하였으며, 연구 종료 후 체중, 지방 무게, 지방구 크기 및 개수, 혈액과 간 조직의 지질 profile, 지방조직의 glycerol-3-phosphate dehydrogenase와 lipoprotein lipase(LPL) 효소 활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OB-DW군과 비교하여 OBRV군에서 체중 증가량과 식이효율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혈중 총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 함량, 심장동맥경화지수(CRI), LPL 활성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또한 혈중 유리지방산과 분변 중성지방의 함량이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P<0.05). 항비만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비만 흰쥐에게 옻식초를 음용시켰을 때 혈청이나 간의 지질 함량을 개선시키고 지질 배설을 증가시켜 부작용 없이 식품소재로서 비만을 일부 개선시키는 효과를 규명하였다.

식이성 고지혈 및 비만에 대한 산마늘 추출물의 효과 (Effect of Allium Victorialis Var. platyphyllum Leaves on Triton WR-1339-Induced and Poloxamer-407-Induced Hyperlipidemic Rats and on Diet-Induced Obesity Rats)

  • 최종원;이경태;김원배;박광균;정원윤;이진하;임상철;정현주;박희준
    • 생약학회지
    • /
    • 제36권2호통권141호
    • /
    • pp.109-115
    • /
    • 2005
  • The herb of Allium victorialis var. platyphyllum (Liliaceae) has been used as an edible wild herb and to treat heart failure and gastritis. We have already reported antihyperlipidemic anti-tumor effects of this plant. To enlarge the commercial availability of this food, it was investigated whether the extracts of A. victorialis var. platyphyllum reduce hyperlipidemia and obesity or not. The plants tested in this experiment were collected from two eco-types of Is. Ullung and Mt. Odae cultivated at Pyongchang. Extracts were prepared by extracting the fresh leaves and those dried at $36^{\circ}C$ and $90^{\circ}C$, respectively. Pretreatment with the ethanolic extracts for two weeks(p.o.) reduced serum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and LDL-cholesterol contents in rats induced by Triton WR-1339, respectively. Furthermore, oral administration of the extracts also inhibited the hyperlipidemia induced with oral diet of 30% corn oil. In the other attempt to find to alleviate the obesity, the model rats with obesity were induced by the high fat-diet for six weeks. Post-treatment with the extracts for two weeks significantly reduced the hyperlipidemia. Retroperitoneal-, epidymal- and total abdominal fat pad weights were considerably reduced at 100 mg/kg oral administration of the extracts. Increased feces lipid contents were also found in the rat treated with the extracts. The extract may lead to the higher activity in treatment of hyperlipidemia and obesity than of the dried one.

게르마늄 복합물이 비만유도 흰쥐의 체지방 및 체중과 생화학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Germanium Complex on the Body Fat Weight, Body Weight and Serum Biochemical Value in Rats Fed High Fat Diets)

  • 정연권;송시환;홍동호
    • 약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160-165
    • /
    • 2006
  • Germanium is found in a range of minerals and ores and is present in foods including beans, tomato juice, oysters, tuna and garlic. Germanium is a non-metallic element, which can exist in valence states of 2 and 4. Clinical trials and use in private practices for more than a decade have demonstrated organic germanium's efficacy in treating serious disease including cancer, arthritis and senile osteoporosis. But it was rarely reported that inorganic germanium has biological properties. STB-BM contains mineral complex, rare earth elements and a little amount of Inorganic germanium.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the anti-obesity effect. To investigate anti-obesity effect of STB-BM, we measured the effect of body weight, fat weight (subcutaneous fat, epididymal fat, visceral fat, kidney fat and total fat) and serum biochemical level in rats fed high fat diets. STB-BM 35 mg/kg suppressed the increasing ratio of body weight, epididymal fat weight, visceral fat weight, total fat weight, triglyceride and LDL-cholesterol (p<0.05).

동아의 체중조절 효과 (Weight Loss Effect of Wax Gourd)

  • 홍석산;이승환;김철용;권석형;황보식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289-294
    • /
    • 2002
  • 본 연구에서 선발된 17종의 천연물을 Sprague-Dawleyra rat에 급여한 결과, 체중증가, 에너지 소비, fat pads 중량, 간의 triglyceride함량, atherogenic index 그리고 혈중 글루코오스의 함량 등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특히 동아를 구강으로 섭취시킨 결과, 체중증가, 에너지 소비, fat pads 중량, 그리고 혈중 글루코오스의 함량 등이 감소하였으나, 간의 triglyceride 함량은 오디와 송엽의 열수 추출물보다 적게 감소하였다. 동아, 오디, 그리고 송엽을 혼합하여 사용한 결과, 각각의 원효를 사용할 경우보다 비만이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