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ursing intervention

검색결과 4,743건 처리시간 0.038초

청소년의 자아분화 수준 및 자아존중감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lf-differentiation and Self-esteem on School Adjustment among Adolescents)

  • 이혜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333-341
    • /
    • 2013
  • 본 연구는 청소년의 자아분화, 자아존중감, 학교생활 적응과의 관계와,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는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2011년 5월 9일부터 27일까지 K시에 소재한 2개 중학교 재학생508명이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n (%), t-test, ANOVA 및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및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자 학교생활 적응은 학년, 성별, 성적, 모 교육수준, 가정경제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상자의 자아분화 총점 평균은 102점, 자아존중감 평균은 27.3점, 학교생활 적응 총점 평균은 63.6점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상자 학교생활 적응은 자아분화(r=.54, p<.001) 및 자아존중감(r=.52, p=.001)과 정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상자 학교생활 적응을 설명해주는 변인으로 자아분화 수준의 하위영역에서 가족퇴행, 정서적 단절, 인지 정서적 기능, 가족투사와 자아존중감, 그리고 일반적 특성에서 성별(여), 모 교육수준(대학교이상), 성적(상)이 확인되었으며, 46.5%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인간의 기본적 발달이 이루어지고 초기 소속집단인 가족적 맥락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청소년기 학교생활 적응 관리를 위한 간호중재 개발 시 가정환경을 고려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대전 지역 대학생의 6개월 금연 성공 관련 요인 (Factors Associated with the Continuous Abstinence Rate from Smoking on Smoking Cessation Program over 6 Months in College Students of Daejeon, Korea)

  • 서은선;김철웅;이승은;임효빈;이상이;강정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247-257
    • /
    • 2020
  • 대학생 흡연자가 중증고도 흡연자로 진입하는 것을 차단하고자 여러 가지 금연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지만 대학생의 금연시도율은 다른 연령대의 금연시도율보다 낮은 수준을 보인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6개월 금연 성공과 관련된 변수를 도출하여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자료는 2015년 6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대전금연지원센터에서 제공하는 금연지원서비스를 이용한 대학생 781명에 대한 자료를 국가금연지원센터로부터 제공받아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4주, 12주, 24주 금연성공률에 모두 유의한 변수는 호기 중 일산화탄소 농도와 금연상담횟수였다. 호기 중 일산화탄소 농도가 10ppm 미만인 사람이 10ppm 이상인 사람보다 금연에 성공할 확률이 4주 2.53배, 12주 2.33배, 24주 2.13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담횟수의 경우, 상담횟수 1회 증가 당 4주, 12주, 24주 각각의 OR은 12.39, 13.13, 12.21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금연 중재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금연 상담 횟수를 향상시키는 것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학군사관후보생의 자아존중감, 조직몰입, 변혁적 리더십 비교 -비흡연자와 흡연자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Self-esteem, Organizational commitment,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ROTC Cadets: focus on a non-smoker and smoker)

  • 윤홍규;도은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164-172
    • /
    • 2017
  • 본 연구는 ROTC 후보생의 비흡연자와 흡연자간의 체력측정, 자아존중감, 조직몰입과 변혁적 리더십의 정도를 비교하여 검증함으로써, 흡연하는 ROTC 후보생의 금연실천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자는 P시와 K도에 소재한 12개 대학교의 ROTC 후보생 3, 4학년 남학생 42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2017년 5월 1일부터 6월 23일까지 자료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3.0 program을 이용하여 ${\chi}^2-test$, Independent t-test, Pearson 상관계수(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흡연군이 비흡연군 보다 체력측정의 3km 달리기(t=3.26, p=.046)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느리게 나타났으며, 자아존중감(t=1.06, p=.003), 조직몰입(t=2.57, p<.001)과 변혁적 리더십(t=3.98, p<.001)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 또한 비흡연군과 흡연군 모두 자아존중감, 조직몰입과 변혁적 리더십 간에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 흡연하는 ROTC 후보생의 건강증진을 위해 금연을 실천하기 위해서는 자아존중감, 조직몰입과 변혁적 리더십을 높일 수 있는 효율적인 교육 및 중재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교육상담 기반 심장재활 프로그램이 노인 관상동맥질환자의 심혈관 위험도, 건강행위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Education and Counselling-based Cardiac Rehabilitation Program on Cardiovascular Risk, Health Behavior and Quality of Life in Elderly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 원미화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303-313
    • /
    • 2015
  • 본 연구는 교육상담 기반 심장재활 프로그램이 노인 관상동맥질환자의 심혈관 위험도와 건강행위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실시하였다. 유사 실험설계의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시차설계를 이용하였다. 2010년 5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 부산광역시 D병원에 입원한 노인 관상동맥질환자를 대상으로 자료수집하였다. 실험군 22명, 대조군 22명 총 44명을 편의표집하고, 교육상담 기반 심장재활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심혈관 위험도, 건강행위 및 삶의 질을 측정하였다. 교육상담 기반 심장재활 프로그램을 받은 실험군은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심혈관 위험도(U=118.5, p=.002), 건강행위(t=6.776, p=.001)와 삶의 질(t=2.431, p=.010)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교육상담 기반 심장재활 프로그램은 노인 관상동맥질환자의 심혈관 위험도를 감소시키고 건강행위와 삶의 질을 높이는데 효과적인 간호 중재임이 확인되었다.

만성질환노인 및 가족의 사회복지적 욕구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Social Welfare Needs of the Aged Chronic Patients and Their Family)

  • 왕경희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59-74
    • /
    • 2007
  •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family which maintain a close connection with their patients from the moment of their falling sick to hospitalization to discharge, the family is the most important environmental factor of the social supporting system, and is the important object of the client as well as activity system. The medical social work intends to meet the practical needs of aged chronic patients, providing them and their family with a professional human service. The end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hardships of both the aged chronic patients and their family as well as their needs for the social welfare service, and to search out the way of comprehensive social work service. The summary of the analysis of the survey is as follows: 1. The needs of aged chronic patients are divided into those of the solution of the problems of falling ill, social welfare program and discharge. Those needs arc affected by the various factors of the types of hospitals, the patients' age, the kinds of insurance, and the supporting systems, etc. Accordingly, the assessment of the needs of the patients are asked to be done comprehensively in accordance with the kinds of diseases and social environments. 2. The importance of the family to the aged chronic patients is evident. The family plays a decisive role in the patients' hospitalization and discharge, the family being an important supporting system and making it necessary to take an approach to client system. The family has difficulty in getting connection of community resources, in adapting to social life after the patient's discharge, and in paying the treatment. The family suffers the secondary hardships more than the burden of the treatment expenses. 3. For this reason various interventions are needed to reduce the stress caused by supporting and nursing patients. Thus the social welfare service for the aged chronic patients and their family needs the following prepositions: 1. It is the characteristics of the aged chronic patients that they need continuous care and that the strengths of the patients and their family cannot be too much emphasized, and that comprehensive assessment based on the connection 'with the community and the mutual interchange 'with the environment, is much emphasized. 2. The family of the aged chronic patient is a resources system as well as a client one. 3. Another characteristic of the aged chronic patients is that with the resources connection in mind, it needs an active intervention of social workers in the community. With these prepositions considered, the development of practical social work service for the aged chronic patients is thought urgently needed.

  • PDF

관절염환자의 증상완화를 위한 온요법과 냉요법의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Symptom control between Heat and Cold therapy in Patients with Arthritis)

  • 강현숙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47-159
    • /
    • 1995
  • Although there are many research studies on the effectiveness of heat and cold therapy for patients with arthritis at home or health care center,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determining which therapy associates with season is effective for patients with chronic arthriti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iveness of heat and cold therapy associated with season for patients with arthritis. An experimental design using replications with intervention was employed. A total of 27 female arthritic patients were selected. Data were collected in summer and winter. Hot bag and ice bag were applied on each patient's knee for each 20 minutes alternatively. Joint pain, discomfort and range of motion were measured. Data were analyzed using paired t-test, and two-way ANOV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 1. Joint pain Heat therapy was effective for pain relief, as compared with cold therapy. Heat therapy was more effective for pain relief in winter than in summer. Cold therapy was effective for pain relief,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pain relief between summer and winter. 2. Discomfort Discomfort was decreased using heat therapy, whereas it was increased using cold therapy. Although discomfort was decreased using heat therapy in both summer and wint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discomfort between summer and winter. Using cold therapy, discomfort was decreased in summer, but increased in winter. and season had effect on discomfort. 3. Range of motion Although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range of motion for both heat and cold therapy, range of motion was Increased using both heat and cold therapy. In winter, range of motion was increased rather than in summer by using heat therapy. Using cold therapy, The range of motion was decreased in both summer and winter. There was no stas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range of motion between heat therapy and cold therapy. Furthermore,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range of motion between summer and winter. In conclusion, both heat and cold therapy were effective for pain relief, discomfort, and range of motion, especially heat therapy. Heat therapy was effective for pain relief, discomfort, and range of motion in winter, as compared with summer. Cold therapy, however, was effective for only pain relief in winter, The findings suggest the use of heat therapy for patients with arthritis especially in winter.

  • PDF

재가 양육미혼모가 지각한 자아존중감, 사회적지지, 상태불안 간의 관계 (Relationship among Perceived Self-Esteem, Social Support, and State Anxiety in Community-dwelling Unmarried Mother raising a Child)

  • 김혜순;이명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225-235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재가 양육미혼모 65명을 대상으로 재가 양육미혼모가 지각한 자아존중감, 사회적지지 및 상태불안 정도와 상관관계를 파악하여 재가 양육미혼모의 간호중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재가 양육미혼모가 지각한 자아존중감 3.52점, 사회적지지 3.49점, 상태불안 2.47점으로 중간수준 이상의 점수를 나타내었다. 자아존중감은 연령, 아버지의 교육정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사회적지지는 연령, 평소피로감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상태불안은 연령, 평소 피로감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재가 양육미혼모가 지각한 자아존중감과 사회적지지(r=.286, p=.021)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자아존중감과 상태불안(r=-.780, p=<.001) 그리고 사회적지지와 상태불안(r=-.425, p=<.001)은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자아존중감에 대한 영향 변수로서 상태불안과 사회적지지와의 관련성을 확인함으로써 재가 양육미혼모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지지를 향상시키고 상태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 시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여대생의 건강증진행위와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Factors Influencing Health Promoting Behavior and Satisfaction of Life in Female College Students)

  • 백경신;최연희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27-147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health promoting behavior and satisfaction of life in female undergraduate students,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health promoting intervention in order to improve satisfaction of lif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45 female undergraduate students living in Jecheon city who were selected by convenience sampling.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self-reported questionnaires from Oct. 2 to Dec. 20, 2001. Research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the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ofile developed by Walker et al(1987), satisfaction of life developed by Pavot and Diener(1993), perceived health status by Lawston et al(1982), self-esteem by Rosenberg(1965), self-efficacy by Becker et al(1993), health locus of control by Wallston et al(1978). The data was analyzed by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Win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mean score of health promoting behavior was 2.31 point out of 4. Among the sub-levels of health promoting behavior, the order of importance was the following self-actualization(2.76), interpersonal support(2.75), stress management(2.31), nutrition(2.06), health responsibility(1.83), exercise(1.76). The mean score of satisfaction of life was 4.11 point out of 7. 2) The health promoting behavior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perceived health status, self-esteem, self-efficacy, internal health locus of control, powerful others health locus of control. The satisfaction of life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perceived health status, self-esteem, self-efficacy, internal health locus of control, health promoting behavior. 3)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ajors(F=8.50, p=.000).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satisfaction of lif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 grades(F=2.67, p=.04) and economic status of parents(F=8.59, p=.000) 4) The most powerful predictor of health promoting behavior was self-efficacy. A combination of self-efficacy, self-esteem and powerful others health locus of control accounted for 34.7% of the variance in health promoting behavior. The most powerful predictor of satisfaction of life was self-esteem. A combination of self-esteem, health promoting behavior, perceived health status, economic status of parents and grade accounted for 34.0% of the variance in satisfaction of life. In conclusion, we need a health promotion program focusing on exercise, health responsibility and nursing strategies enhancing self-efficacy and self-esteem should be developed to promote a healthy lifestyle and satisfaction of life in female college students.

중소병원 간호사의 신체 억제대 사용에 대한 인식 (A Study on perceptions about physical restraint use of nurse in small and medium sized hospitals)

  • 김남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2호
    • /
    • pp.581-590
    • /
    • 2017
  • 본 연구는 300병상 미만 중소병원 간호사의 신체 억제대 사용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SPSS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서술통계, t-test, ANOVA, factor analysis로 연구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간호사의 신체 억제대 사용 인식에 대한 전체 평균은($3.91{\pm}0.54$)으로 높은 인식률을 나타내었다. 요인분석 결과 '문제행동관리($3.81{\pm}0.67$)', '의료적 처치 유지($4.11{\pm}0.60$)', '환자안전($4.13{\pm}0.63$)' 3개의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신체 억제대를 사용하는 이유 중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항목은 침대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환자를 보호하기 위해($4.37{\pm}0.68$)로 환자안전이었다. 중소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의 신체 억제대 사용에 대한 특성과 요인을 파악하고, 신체 억제대 사용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바탕으로 최소한의 신체적 억제대 사용 및 환자의 안전과 권리보장에 대한 인식 필요하다. 그러므로 이를 위해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하는 신체 억제대에 대한 직무교육이 필요하며, 간호업무 실정에 맞도록 교육 및 중재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정신요양시설 만성조현병환자의 상부위장관질환 유무에 따른 식습관, 생활습관, 건강태도 및 자기효능감 비교연구 (Comparison of Dietary Habit, Lifestyle, Health Attitude and Self-efficacy by Upper Gastrointestinal Disease among Group Mental Health Care Facilities with Chronic Schizophrenia)

  • 오은정;박근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7호
    • /
    • pp.317-330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상부위장관질환을 가진 만성조현병환자와 상부위장관질환이 없는 만성조현병환자를 대상으로 생활습관, 식습관, 건강태도와 자기효능감을 비교 확인함으로써 정신요양시설에서의 만성조현병환자의 생활습관, 식습관과 건강태도를 향상시키고,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기 위한 대안을 모색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 기간은 2019년 2월 20일에서 4월 30일까지이다. 자료는 SPSS/WIN 22.0을 활용하여 카이제곱, 독립 t-검정과 ANCOVA로 분석하였다. 상부위장관질환 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인 영향요인은 인구사회학적 요인으로 연령과 교육정도, 생활습관 요인으로는 탄산음료와 신체활동강도, 식습관 요인으로는 과식, 간식, 야식, 지방음식, 다른 요인으로는 자기효능감이 있었다. 본 연구는 만성조현병환자가 일상생활에서 흔히 접하게 되는 상부위장관질환의 특징적인 특성을 확인한 연구라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결과는 만성조현병환자의 생활습관과 식습관을 개선하고 자기효능감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중재 방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