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ursing career

검색결과 803건 처리시간 0.027초

남자 간호대학생의 성역할 갈등, 간호전문직관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Gender Role Conflicts, Professional Nursing Value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of Male Nursing Students)

  • 이영옥;오향련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7호
    • /
    • pp.173-181
    • /
    • 2019
  • 본 연구는 남자 간호대학생의 성역할 갈등, 간호전문직관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2018년 7월 1일부터 11월 30일까지 K남, 북도에 위치한 5개 간호대학 2-4학년에 재학 중인 남자 간호대학생 127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진행하였다. 남자 간호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대한 회귀모형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고(F=12.06, p<.001) 20.8%의 설명력을 보였다. 남자 간호대학생의 진로분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간호전문직관(${\beta}=.28$, p=.001), 전공만족도 중에서 만족(${\beta}=.23$, p=.006), 동아리활동(${\beta}=.19$, p=.020)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남자 간호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을 촉진하기 위해 학년에 따른 진로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간호전문직관 향상을 위한 간호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간호대학생의 강점인식과 간호전문직관이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Strengths Knowledge and Nursing Professionalism on Career Identity in Nursing Students)

  • 김경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363-370
    • /
    • 2022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강점인식과 간호전문직관이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수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G시와 M시 대학의 간호학과에 재학하고 있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2021년 7월부터 9월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 중 198명의 자료를 분석에 이용하였고 분석방법으로는 기술 통계, 독립표본 평균 검정(t-test), 일원 배치 분산분석(ANOVA), 피어슨 상관계수, 통제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자료분석 결과, 강점인식(β=.473, p<.001)과 간호전문직관(β=.167, p<.01)은 진로정체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연구모형은 진로정체감을 48.2% 설명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간호대학생의 진로정체감을 높이기 위해 강점인식과 간호전문직관을 촉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간호교육 현장에서 다양하게 개발 및 운영되어야 함을 시사한다고 할 수 있다.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임상경력개발시스템에 대한 인식과 지불의사 (Nurses' Perception and Willingness to Pay for Nursing Career Ladder System in General Hospital)

  • 이미준
    • 한국병원경영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61-71
    • /
    • 2019
  • Purpo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nurses' perception on the clinical career ladder system which was introduced to enhance the nursing capabilities in general hospital. Methods: Research data has been collected for approximately 30 days since March 28, 2017 from 171 nurses who had been involved in the clinical career ladder system, 177 nurses who had not participated, and a total of 348. Finding: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nurses' perception on the cost effectiveness of clinical career ladder system is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sex, age, program experience, personal stage in the clinical career ladder system and the individual's health condition. In addition, the nurses' willingness to pay for the clinical career ladder system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ir department and the needs for the system. With adjusted age, gender, position, education and marital status, nursing competency was 8.71(95% Confidence Interval; 4.79 to 12.63) in the presence of system experience, but the perception on clinical career ladder system was 4.34(95% Confidence Interval; -6.84 to -1.84). Practical Implications: Based on the study results, we expect that more hospitals introduce the clinical career ladder system and also use these study results as basic data for securing excellent nurses.

간호대학생의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요인 (Factors Influencing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mong Nursing Students)

  • 황성우;차현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131-140
    • /
    • 2020
  • 이 연구의 목적은 간호 대학생들의 전공 선택 동기, 전공 만족도, 간호 전문직관, 취업 준비 행동 등을 조사하고, 취업 준비 행동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자료는 2018년 11월 1일부터 12월 20일까지 전라남도와 경기도에 소재한 2개 대학교 3, 4학년에 재학 중인 208명의 간호 대학생으로부터 자가 기입식 설문지를 사용하여 수집하였다. 자료는 SPSS Win 22.0 program (frequence,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으로 분석하였다. 취업 준비 행동 평균 점수는 2.74±0.70 (범위: 1-5) 이었다. 전공만족도, 간호 전문직관는 각각 취업 준비 행동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취업 준비 행동에 의미 있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간호 전문직관, 일반적 특성 중 성적, 취업 준비 기간 등이었다. 이러한 요인들은 취업 준비 행동에 관해 21.5%의 설명력을 보였다.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양호할수록 취업 준비 행동을 더 잘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취약한 학생들을 선별한 후, 간호 전문직관, 성적 등을 향상시키고, 조기에 취업 준비를 시작하도록 하는 것이 취업 준비 행동을 향상시키는 방법이라는 것이다. 취업 준비 행동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반영한 취업 준비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간호사의 경력몰입에 관한 구조모형 (Structural Model of Nurses' Career Commitment)

  • 이미영;임숙빈
    • 임상간호연구
    • /
    • 제18권3호
    • /
    • pp.341-353
    • /
    • 2012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construct a hypothetical model to explain the factors influencing career commitment of nurses. Methods: Three factors (individual internal-, job- and career-characteristics) and 8 sub-factors were measured with Likert scale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Jan. 11 to 31, 2011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Participants(738 nurses) were selected from 6 hospitals in 2 metropolitan cities of South Korea.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Window 16.0 and Amos 19.0. Results: 1) Among the 3 factors, career commitment was most strongly influenced by career-characteristics. 2) Career commitment wasinfluenced by organizational-career-management but not by personal-career-management. 3) Career commitment was influenced by individual internal-characteristics but not by job-characteristics. 4) Of the 8 sub-factors, career commitment was most strongly influenced by desire-for-growth but not by self-efficiency.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in order to improve career commitment of nurses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custom-made career development policies considering individual characteristics in the organizational level.

간호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의 영향요인 (Convergent Influence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Nursing College Students)

  • 윤주희;윤혜원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1호
    • /
    • pp.279-285
    • /
    • 2021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공감능력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시도하였다. 간호대학생 150명을 대상으로 시행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며, 자료수집 기간은 IRB승인일로부터 2019년 11월 30일까지 시행되었다. 자료 분석은 변수 간의 상관관계는 피어슨 상관계수를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간호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단계별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SPSS 23 version). 연구 결과, 공감능력은 성별과 양의 상관관계(r=.179, p=.029), 자아존중감은 학업성적과 음의 상관관계(r=-.231, p=.005), 진로준비 행동은 실습병원 수와 양의 상관관계(r=.178, p=.030)를 보였다. 간호대학생의 공감능력이 좋을수록(β=.19, p=.020) 진로준비 행동이 증가된 결과를 보였다. 이를 통해 간호대학생의 자아존중감, 공감능력 및 진로준비행동에 대한 관련성을 확인했으며, 진로준비행동의 필요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그러므로 임상현장에 취업을 앞둔 간호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적절한 관리가 필요할 것을 제언한다.

간호대학생의 강점인식과 셀프리더십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trengths Knowledge and Self leadership of Clinical Practice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Nursing Students )

  • 노소영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883-891
    • /
    • 2022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강점인식과 셀프리더십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시행된 서술적 조사연구로 G시의 간호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의 분석을 위해 기술적 통계, t검증, ANOVA, Pearson 상관계수, 통제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강점인식(𝛽=.464, p<.001)과 셀프리더십(𝛽=.512, p<.001) 모두 진로준비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나타냈으며, 연구모형은 진로준비행동을 34.1% 설명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간호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 증진을 위해 감정인식과 셀프리더십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들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간호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문제해결능력 및 취업스트레스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Problem Solving Ability and Job-seeking Stress on Nursing Students' Career Maturity)

  • 안성미;김경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555-565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자는 S시에 소재하는 2개 대학교 간호학과 학생 230명에게 구조화된 설문지로 2017년 10월 20일부터 11월 10일까지 자료 수집을 하였다. SPSS/WIN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one way ANOVA, Pearson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진로성숙도의 차이는 성별(t=2.117, p=.035), 연령(t=-2.572, p=.011), 학년별(F=4.716, p=.010), 대학 입학 당시 학력(t=-2.695, p=.008), 성적(F=11.127, p<.001)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진로성숙도는 진로결정자기효능감(r=.585, p<.001), 문제해결능력(r=.407, p<.001)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에 있었으며, 취업스트레스(r=-.424, p<.001)와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에 있었다. 다중회귀분석으로 간호대학생의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문제해결능력, 취업스트레스임을 확인하였고, 이들 변수의 진로성숙도에 대한 설명력은 42.8%이었다.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간호대학생의 진로성숙도 증진을 위해 간호학 고유의 전문직관에 대한 이해도를 높여 전공에 관한 자신감을 고취시키고 직업적 발달 과업에 대한 준비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중재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검증이 필요하다.

간호대학생의 실습소속감, 전공만족도, 직업가치관이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linical practice belonging, satisfaction with major, and work values on career identity of nursing students)

  • 김창희;김정이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59-268
    • /
    • 2020
  • Purpose: This exploratory study aim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clinical practice belonging, satisfaction with major, and work values on the level of career identity among nursing students.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251 senior students from three nursing departments located in a metropolitan city. Using SPSS 22.0, the study uses technical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average scores for clinical practice belonging, satisfaction with major, and work values were 3.61, 3.87, and 3.70 out of 5.00, respectively, and 2.85 out of 4.00 for career identity. The factors affecting students' career identity were clinical practice belonging, aptitude,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with major, indoor work, service and employment at hospitals with 40 percent being explained by these variables. Conclusion: Through this study we found that clinical practice belonging has the greatest impact on career identity. In order to enhance clinical practice belonging, universities and clinical institutions need to develop new programs and curricula.

응급실 간호사의 업무분석을 통한 경력등급별 실무교육안 개발 (Development of an In-service Education Program for Emergency Room Nurses According to Their Career Ladders)

  • 이은남;김복자;김성숙;강경희;김영순
    • 임상간호연구
    • /
    • 제14권1호
    • /
    • pp.99-111
    • /
    • 2008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an in-service education program to improve nurses' quality. First, frequency of nursing activities and competency levels of emergency nurses according to their career ladders were compared through job analysis and then practical education programs were presented on based of the results. Method: Data were collected from 335 nurses working in emergency rooms in 31 tertiary hospitals. Data collection was done from September to November 2005 using the job analysis questionnaire. Results: There were 41 nursing activities that showed differences in frequency and 78 activities that showed differences in perceived competency level. Irrespective of emergency nurses' careers, activities that show high frequency but low competency were sputum liquefying therapy, assessment of cranial nerve function, identification of diagnostic radiology, and communication with various departments. In-service education content according to nurse's career ladders was presented by adding high frequency nursing activities and activities with low competency level even though having high frequency. Conclusion: There is a need to develop and provide in-service education programs, which consider nurses' difference in frequency and competency level for their career ladder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