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urse image

검색결과 138건 처리시간 0.024초

간호대학생이 지각하는 간호사 이미지와 전공만족도 사이의 관계에서 간호전문직관의 매개효과에 대한 융합적 연구 (Convergence Study of Mediating Effect of Nursing Professionalis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e Image and Satisfaction of Major among Nursing Students)

  • 홍은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0호
    • /
    • pp.85-93
    • /
    • 2017
  • 본 논문은 간호대학생이 지각하는 간호사 이미지와 전공만족도의 관계에서 간호전문직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2014년 5월 12일부터 16일까지 G시 1개 대학의 간호학과 학생 200명을 편의표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PC ver 21.0 program으로 분석하였다. 간호사 이미지, 간호전문직관, 전공만족도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간호대학생이 지각하는 간호사 이미지와 전공만족도 사이의 관계를 간호전문직관이 매개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3단계의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Sobel 검증을 실시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따라서 간호교육과정 운영시 전공만족도 향상을 위해 재학생들의 간호전문직관을 바르게 정립해야 하며, 특히 임상실습시 기존에 가지고 있던 간호사 이미지와 현장에서 경험하는 간호사 이미지 사이의 괴리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 간호전문직관 정립이 더욱 필요하다.

간호대학생의 인지하는 자아존중감, 전공만족도 및 진로정체감이 간호사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요인 (The Effect Self-esteem,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identity on Nurse image, in Nursing Students Perceive)

  • 김영희;권영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2호
    • /
    • pp.215-224
    • /
    • 2018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간호사이미지, 자아존중감, 전공만족도 및 진로정체감을 파악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간호 대학생 410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0.0을 이용하여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다중회귀분석(multiple lineat regression)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간호사이미지는 5점 만점에 3.82점, 자아존중감은 4점 만점에 2.64점, 전공만족도는 5점 만점에 3.76점, 전로정체감은 4점 만점에 2.59점으로 나타났으며, 변수간의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리고 간호사이미지에 자아존중감, 전공만족도 및 진로정체감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33.2%의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따르면 간호대학생들은 자아존중감, 전공만족도, 진로정체감이 간호사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때 긍정적인 자아존중감, 간호학의 전공만족도, 간호전문직인 진로정체감을 향상 및 개선하는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을 위한 연구를 제언한다.

간호대학생이 인지하는 간호전문직관, 간호사 이미지, 간호전문직업성 핵심요소간의 관계 (Relationships Among Nursing Professionalism, Nurse Image, and Core Elements of Nursing Professionalism that Nursing Students Perceive)

  • 조헌하;김남희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548-557
    • /
    • 2014
  •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level of nursing professionalism and factors that affect nurse perceptions. Method: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tudy involving 443 nursing students from two universities. Data were collected in September 2012 via a structured self-report questionnaire and subsequently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s,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Results: The mean scores for nurse image, core elements of nursing professionalism and nursing professionalism were $3.65{\pm}.46$, $4.17{\pm}.39$ and $3.59{\pm}.45$, respectively. Nursing Professionalism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nurse image (r=.749, p<.001) and core elements of nursing professionalism (r=.365, p<.001). In multiple linear regression, factors that influenced nursing professionalism were: temperament as nurses, professionalism, vision of career, role performance of nurses' image, and fundamental nursing practical experience. These variables explained about 58.8% of the total variance in nursing professionalism. Conclusion: For more positive nursing professionalism among students, more attention should be paid to enhancing the positive image of nurses. Doing so can serve as a fundamental resource for the development of appropriate strategies for nursing professionalism.

간호역사문화 융합프로그램 수행 전·후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과 간호사이미지 비교 (Comparison of Nursing Professionalism and Nurses's Image Before and After Convergence-based Nursing History and Culture Program in Nursing Students)

  • 임소연;김희정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9호
    • /
    • pp.85-91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간호역사문화 융합프로그램 수행 전 후에 간호전문직관과 간호사이미지의 차이를 비교분석하기 위함이다. 연구대상자는 충남지역에 위치한 B대학 간호학과 1,2학년 학생 29명이고, 2016년 5월 12일부터 2016년 6월 22일까지 6차례에 걸쳐 대상자에게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간호역사문화 융합프로그램 전 후에 간호전문직관과 간호사이미지 정도를 분석한 결과 프로그램 후에 간호전문직관과 간호사이미지는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간호전문직관의 하위항목인 전문직 자아개념, 사회적 인식, 간호의 전문성과 간호사이미지의 하위항목인 간호사의 역할 및 대인관계 항목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간호전문직관과 간호사이미지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간호역사문화 융합프로그램이 간호전문직관 및 간호사이미지 향상을 위해 비교과프로그램으로 정착되고 다양한 개념으로 개발 될 것을 기대한다.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비판적 사고성향, 간호사이미지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among Satisfaction of Major,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Nurse image for Nursing students)

  • 김혜숙;박경;강희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2호
    • /
    • pp.263-270
    • /
    • 2019
  • 본 연구는 간호학과 재학생의 전공만족도 및 비판적 사고성향, 간호사이미지를 파악하고, 제 변수들 간의 관계를 확인하여 전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M시 소재 M 대학 간호학과 학생 2, 3, 4학년 28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분석은 SPSS/WIN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분석하였다. 변수 중 하나인 비판적 사고성향은 7개의 하위영역인 신중성, 지적열정 및 호기심, 자신감, 체계성, 지적공정성, 건전한 회의성, 객관성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대상자의 전공만족도는 5점 만점에 3.81점, 비판적 사고성향은 3.52점, 간호사이미지는 3.85점으로 나타났으며, 전공만족도와 비판적 사고성향, 간호사이미지는 서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효율적인 비판적 사고의 향상을 통해 간호사 이미지를 개선하여 전공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는 것이 필요하다.

간호대학생이 인식하는 간호사 이미지가 전공몰입에 미치는 영향 (Influencing Factors the Nurse Image Recognized by Nursing Students on Major Commitment)

  • 김윤희;김남영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1314-1324
    • /
    • 2021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이 지각한 간호사 이미지와 전공몰입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의 관계를 규명하여 간호대학생의 전공몰입 향상에 필요한 방안을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에는 7개 간호대학에 재학 중인 간호대학생 185명이 참여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4.0 프로그램으로 통계분석하였다. 본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대상자들이 인식한 간호사 이미지는 3.79점. 전공몰입은 3.52점으로 평균 이상의 점수를 보였으며, 대상자가 지각한 간호사 이미지가 긍정적일수록 전공몰입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전공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전공만족도, 간호에 대한 인식, 간호사 이미지, 간호학과 선택 동기 중 적성과 흥미 순으로 확인되었고 전체 설명력은 42%였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볼 때, 간호대학생이 긍정적인 간호사 이미지를 형성하고 전공에 대해 만족감을 증진할 수 있는 교과 및 비교과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할 필요가 있다.

간호대학생의 전문직 자아개념과 간호사에 대한 이미지 (A Study on the Image of Nurses and the Professional Self-Concept Perceived by Nursing Students)

  • 이정애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325-334
    • /
    • 200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mage of nurses and the professional self-concept perceived by nursing students. Method: The subjects included were 93 students. The research tool was the Professional Self-Concept of Nurses Instrument(PSCNI) by Arthur and Image of Nurses by Yang. Result: 1. The professional self-concept consisted of 4 factors : flexibility, satisfaction, competence, empathy. 2. The image of nurse consisted of 4 factors : official image, maternal image, professional image. unfavorable image. 3. The average item score of PSCNI was $2.94{\pm}30$. 4. The average item score of nurse' image was $3.63{\pm}46$ 5. The Professional self-concept of nurses(p=.0001) and image of nurses(p=.001) was found to significantly according to satisfaction for major. 6. The correlation between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image of nurses revealed correlation of r=.315(p=.004). Conclusion: There was a association between professional self concept of nurses, image of nurses and satisfaction for major. Therefore it is required to develop education program and strategy that helps establish satisfaction for major so that nursing students can experience firm professional self concept and positive image of nursing.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