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umber of tooth brushing

검색결과 82건 처리시간 0.035초

한국 청소년의 구강건강 실태와 주관적 구강건강인식의 관련성 (Relations between oral health status and subjective oral health recognition in Korean adolescents)

  • 이동건;유왕근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593-602
    • /
    • 2015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 between oral health status and subjective oral health recognition in Korean adolescents. Methods: The survey data were extracted from the 2012 Korea National Oral Health Survey from June to November, 2012. The survey consisted of oral checkup data and the oral health interviewing data of 9,981 adolescents(5,335 male, 4,646 female) by proportional distribution. The questionnaire included general objective oral health status and subjective oral health recognition. The subjective oral health recognition consisted of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oral health status, oral health behavior, and subjective oral health recognition. Results: According to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the relations betwee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subjective oral health recognition, subjective health recognition, the influencing factors were gender, age, the number of tooth brushing per day, intake of snacks and carbonated drinks, regular oral examination, decayed teeth (DT), missing teeth (MT,) and DMFT. Conclusions: The routine oral checkup is the most important method to improve the oral health management in the adolescents. The continuing oral health improvement project must be implemented based on the law and will keep the adolescents in good oral health status.

구강보건진료·관리 항목이 노인의 자가인식구강상태에 미치는 영향력 연구 (A Study in Terms of the Impact of Oral Health Care·Management item on the Self-Perceived Oral Condition of the Elderly)

  • 김은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109-115
    • /
    • 2013
  • 이 연구는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에 소재하는 각각 3곳의 노인복지관 및 노인대학의 65세 이상 노인 501명을 대상으로 구강보건진료 관리 항목이 자가인식구강상태에 미치는 영향력을 조사함으로써 효과적인 구강보건관리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령에 따른 구강보건진료 관리 항목의 선호도를 조사한 결과, 65~69세는 불소도포, 65~74세는 치석제거, 칫솔질 교습, 70~74세는 틀니 세정 및 관리, 75세 이상은 틀니 제작을 선호하였다. 구강보건진료 관리 항목이 노인의 자가인식구강상태에 미치는 영향력은 현 구강상태가 좋지 않고, 저작지장이 많으며, 구강건조가 있을수록 틀니 제작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아수가 적고, 틀니를 가지고 있을수록 틀니 세정 및 관리를 가장 선호하였으며, 흔들리는 치아가 있고, 치통이 자주 있을수록 발치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과 구강상태에 따라 구강보건진료 관리 항목의 선호도에 차이가 있으므로 각 개인에게 맞는 구강보건관리를 적용해야 할 것이다.

Digital Shade Analysis System을 이용한 전치부의 색조 특성에 관한 연구 (SHADE ANALYSIS OF ANTERIOR TEETH USING DIGITAL SHADE ANALYSIS SYSTEM)

  • 김희은;조인호;임주환;임헌송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565-581
    • /
    • 2003
  • Statement of problem : A scientific examination and understanding of overall aspects of the natural dentition is the first step involved in making a satisfactory selection in the shade of an aesthetic prosthesis. Proper natural shade selection of the prosthetic restoration that is in harmony with the remaining dentition is as important aesthetically, as harmony of form and function in the anterior dentition. Clinically, the most commonly applied method of shade selection has been visual, but because of the subjective nature inherent to this method, shade selection results are variable and can be influenced by such factors as the technician, the type of shade guide used, and the type and intensity of the lighting.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more objective and scientific approach to examining and understanding the shade of teeth, which has in turn lead to the development of a number of shade analysis devices that present a more objective method of shade analysis. Material and Method : In this study, the shades of healthy anterior teeth were examined and analyzed using the recently developed digital shade analysis of the $ShadeScan^{TM}$ System. The study examined 80 individuals in their twenties, 40 males and 40 females, presenting 6 healthy, unrestored maxillary anterior teeth. Tooth brushing and oral prophylaxis were performed prior to evaluation. The ShadeScan handpiece was used to acquire images of the 6 maxillary anterior teeth. These images were analyzed using the Vita/Classical mode of the $ShadeScan^{TM}$ Software, and shade maps of each tooth were acquired and divided into cervical, middle, and incisal thirds. The shade distribution of each third, left and right symmetry, and gender differences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Results :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 1. An overwhelming majority of the examined teeth were found to possess shades belong to Group A, with the greatest variations occurring at the middle and cervical thirds of the maxillary central and lateral incisors, in both male and female subjects. 2. Canines of both male and female subjects showed left and right symmetry with uniform shade distribution of A4 and C4, while the lateral and central incisors showed left-right symmetry of the incisal 1/3 with a uniform shade distribution of A2 and A3 shades 3.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hade distribution were seen between genders in maxillary canines, whereas maxillary central and lateral incisors showed differences at the middle and cervical thirds between male and female subj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with the exception of maxillary canines, maxillary anterior teeth display a diverse shade distribution as well as gender differences. Conclusion : Clinically, when making a shade selection using the existing shade guide, one must consider the fact that even a single tooth consists of a variety of shad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when selecting a shade from a number of groups is difficult, shades from A group are the most consistent with the natural shade or maxillary anterior teeth.

20대 구강보건지식과 구강위생관리능력이 치주건강상태평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Dental Health Knowledge and Oral Hygiene Management Skills on Periodontal Health Status Assessment in Their Twenties)

  • 복혜정;이은주;최정미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36-44
    • /
    • 2013
  • 본 연구는 치주질환을 조기에 발견하고 예방하기 위해 20대의 구강보건지식과 구강위생관리능력이 치주건강상태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국민의 구강보건관심도를 높일 뿐 아니라 치주건강증진활동에 지식과 정보를 제공하여 건강하고 효율적인 구강관리를 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조사되었다. 포괄 치위생 관리 및 처치를 위하여 치위생과 실습실을 방문한 20대의 성인 13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치주건강상태를 평가하였다. 일반적 특성, 구강보건지식, 구강위생관리능력과 치주건강상태평가의 연관성을 조사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성별에 따른 잇솔질(p=0.030)과 구강위생용품(p=0.047)에 대한 구강보건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여성이 구강보건에 대한 지식이 높게 나타났다. 2. 성별에 따른 잇솔질(p=0.030)과 구강위생용품(p=0.047)에 대한 구강보건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여성이 구강건강에 대한 지식이 높게 나타났다. 3. 성별에 따른 유두변연부착 치은염지수(p=0.047)와 지역사회치주지수(p=0.028)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남자의 유두변연부착 치은염지수, 지역사회치주지수는 여자보다 높았다. 학력에 따른 출혈지수(p=0.042)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고졸 이하가 가장 높았다. 4. 잇솔질(p=0.030), 치주질환(p=0.024)에 대한 구강보건지식이 치면세균막지수에 미치는 영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잇솔질에 대한 구강보건지식($\beta$=-0.137)이 증가하면 치면세균막지수가 감소하고, 치주질환에 대한 구강보건지식($\beta$=-0.144)이 증가하면 치면세균막지수가 감소한다. 5. 잇솔질 총 횟수에 따른 유두변연부착 치은염지수는 2회가 가장 높았다. 잇솔질 방법에 따른 치면세균막지수는 묘원법이 가장 높았으며, 횡마법, 회전법 순으로 나타났다. 구강위생용품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의 지역사회치주지수와 출혈지수가 구강위생용품을 사용하는 경우보다 높았다. 흡연의 경우 유두변연부착 치은염지수, 지역사회치주지수, 출혈지수가 흡연을 하지 않는 경우보다 높았다. 주 당 음주 횟수에 따른 지역사회치주지수와 출혈지수는 3회 이상이 가장 높았다. 구강보건교육을 경험하지 못한 경우의 유두변연부착 치은염지수가 구강보건교육을 경험한 경우보다 높았다.

농촌지역 주민들의 구취실태와 유발요인 (Halitosis and Related Factors among Rural Residents)

  • 이영옥;홍정표;이태용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2권2호
    • /
    • pp.157-175
    • /
    • 2007
  • 본 연구는 농촌지역 주민들의 구취실태를 파악하고 구취에 관련된 요인을 알아봄으로써 구취예방 및 효율적인 구취제거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일부 농촌지역의 주민 293명을 대상으로 2006년 1월 4일부터 1월 21일까지 면접설문조사(구강위생관리 행태, 구취관련 질병력, 구취실태), 구취측정, 구강검사, 치아우식활성검사(스나이더검사, 타액분비율검사, 타액완충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잇솔질 횟수는 1일 2회가 46.1 %로 가장 많았고, 여자가 남자보다 잇솔질 횟수가 많았다. 매일 혀솔질을 하는 군은 25.6%이었고, 보조 구강위생용품을 사용하는 군은 9.2 %이었다. 2. 평상시 구취를 자각하고 있는 사람은 62.5 %이었고, 구취를 가장 심하게 자각하는 시기는 기상 후가 72.7 %, 구취를 자각하는 부위는 잇몸에서 23.0 %, 구취의 유형으로는 구린 냄새가 37.2 %로 높게 나타났다. 3. 구취측정 결과 OG는 50 ppm미만이 54.3 %, $50{\sim}100ppm$ 범위에 41.6 %로 나타났고, $NH_3$$20{\sim}60ppm$ 범위에 52.6 %로 가장 높았다. 4. 구취관련 질병력별 OG는 치아우식증으로 인한 식편압입, 당뇨병과 구취에 대한 가족력군에서 $50{\sim}100ppm$ 범위에 유의하게 높았으며, $NH_3$는 호흡기계 질환군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5 평상시 구취 자각정도별 OG는 '냄새가 나지 않는다'는 군과 '가끔 냄새가 난다'는 군에서 50 ppm 미만에 각각 55.9 %, 57.5 %로 나타났고, '본인이 느낄 정도로 항상 냄새가 난다'는 군과 '항상 심하게 냄새가 난다'는 군에서 $50{\sim}100ppm$ 범위에 각각 52.0 %, 63.6 %로 높게 나타났으며, $NH_3$는 모두 $20{\sim}60ppm$ 범위에 높게 나타났다. 6. 구강검사별 OG는 치수노출치와 식편압입이 많을수록, 설태지수가 높아질수록 $50{\sim}100ppm$ 범위에 OG값이 증가되었고, $NH_3$는 보철치가 많을수록, 설태지수가 높아질수록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며, 하악 국소의치군에서 60 ppm 이상으로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7. 스나이더검사는 고도활성이 43.0 %로 가장 높았고, 산 생성균의 활성이 높을수록 OG값이 증가되었다. 자극성 타액분비율 검사는 8.0 ml 이하에서 62.5 %로 가장 높았고, 타액분비율이 많을수록 OG값이 감소된 분포를 보였으며, 타액완충능검사는 0.1N 유산용액의 방울 수가 $6{\sim}10$ 방울에서 58.7 %로 가장 높았고, 타액완충능이 증가될수록 OG값이 냄새를 느끼지 못하는 50 ppm 미만에서 증가되었다. 8. 구강환경과 구취와의 상관관계에서 OG는 타액분비율, 보철치와 음의 상관관계를, 치수노출치, 충전치, 현존치, 설태량, 식편압입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NH_3$는 우식치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철치, 잇솔질 횟수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9. 다중회귀분석 결과에서 OG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여자, 치수노출치, 보철치, 식편압입, 타액분비율, 설태지수, 스나이 더검사의 고도활성이 선정되었고 이들의 설명력은 45.1 %이었으며, NH3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여자, 치수노출치, 설태지수, 보철치가 선정되었으며 이들의 설명력은 6.6 %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조사대상 농촌지역 주민들의 구취실태는 구강환경 및 구취관련 요인, 치아우식활성검사의 스나이더 검사, 타액분비율검사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이들 주민들의 구취예방을 위해서는 식후에 올바른 잇솔질 방법 및 혀솔질과 더불어 보조 구강위생용품을 사용하여 식편압입과 설태제거를 해야 할 필요성이 강조된다. 구취의 원인과 그 성분은 매우 복잡하고 다양하므로 개인별 구취발생 요인을 정확하게 분석하기 위해서는 추후 계속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보건(지)소의 치과위생사를 활용하여 지역사회 주민들에게 계속적인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PRECEDE 모형을 이용한 영·유아교육기관 교사의 구강보건교육행태 연구 (Infants according to type of teacher education oral health education behavioral research using PRECEDE model)

  • 심재숙;문하영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603-613
    • /
    • 2011
  • Objectives :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factors that predispose the oral health education patterns of teachers at preschool institutions such as kindergartens and day nurseries, for which a comparison was made among the patterns, whereto the PRECEDE model was applied. Methods : A survey was conducted by two visits, a preliminary survey and a main survey, and teachers at the foregoing institutions personally filled in the questionnaire. Results : 1. With relation to epidemiological and social diagnosis, the largest number of respondents (53.7%) agreed on the need for oral health education, but at the same time, the largest number of respondents (40.3%) was unsatisfactory with oral health education given by them. 2. With relation to behavioral diagnosis, there were many cases where respondents taught their students to brush their teeth after meals and snacks. Oral health education was focused on safety and injuries. There was no significant intergroup difference (p>0.05). 3. Predisposing factors (a subcategory of educational diagnosis)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As for the frequency of oral health education, most respondents at both institutions answered preferred once every six month (p>0.05). In the case of oral health checkup, 75.4% of respondents at kindergartens preferred once a year. 72.2% of respondents at day nurseries preferred the same frequency. They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05). In enabling factors, it was found that most respondents at both institutions collected information and teaching materials from mass media and public health centers respectively. In enabling factors, insufficient teaching materials, media and knowledge were found to be obstacles to oral health education. Conclusions : Oral healthcare providers' cooperation is required to diversify away from tooth brushing-centered education and to enrich oral health education. In addition, continuous supplements are required to make teachers at preschool institutions acquire expert knowledge and give oral health education with confidence. Moreover, it needs to train them for various education programs as well as to support them with educational media. Lastly, family members' cooperation is required to develop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s.

일부지역 중학생의 구강건강 지식 및 행동에 관한 조사연구 (A Descriptive Study of Oral Health Knowledge & Behaviors in Middle School Students)

  • 류정숙;김정희;한수진;심상효;김윤신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85-97
    • /
    • 2008
  • 학교구강보건은 학생의 구강건강을 합리적으로 관리하고, 구강건강에 대한 지식과 태도 및 행동을 변화시켜, 일생동안 구강건강을 적절히 관리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시키는 과정이다. 이러한 학교구강보건의 목적은 학생의 구강질환을 예방하고 초기에 치료함으로써, 구강건강을 증진 유지시켜 건전한 심신을 양성하여 교육 본래의 목표를 달성함에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중학생의 구강건강에 대한 인식 및 행동을 파악하여 대상에 알맞은 학습 목표와 교육방법을 모색하고 효과적인 구강건강관리 방안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실시하였다. 농촌 지역인 충청북도 OO군에 소재한 중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자기기입방식의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중학생의 구강건강 지식에 대한 항목 중 치과질환의 증상에 대한 인지율에 비해 부정 교합의 원인(51.5%)과 잇몸병 예방법(15.1%) 등 치과질환의 원인과 예방법에 대한 인지율이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2. 잇솔질 시기에 대한 지식과 행동을 비교하여 살펴본 결과 인식 및 행동 모두 50% 수준 또는 그 이하였으며, 특히 점심식사 후에는 46.2%가 인식, 실천은 33.0%에 불과하였다. 3. 하루 잇솔질 횟수는 하루에 두 번 하는 경우(47.5%)가 가장 많았으나, 한 번 또는 한 번도 닦지 않는다는 응답(5.8%)도 있어 소수의 학생들이지만 잇솔질 실천이 매우 저조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4. 중학생들의 간식섭취 횟수는 일일 2회 이하가 68.8%였으나, 5회 이상 섭취하는 학생도 9.8%로 조사되었으며, 남학생은 5회 이상이 15.8%로 조사되어 성별의 차이가 있었다(p<0.01). 5. 전신건강 중 치아가 차지하는 비중에 대해 30-40% 중요하다는 응답이 31.3%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50-60% 중요하다 30.6%, 60%이상 중요하다 29.9%고 응답하여 학생들은 전신건강 중 구강건강이 매우 중요하다고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반면, 치과내원은 이가 아플 때에만 간다 49.3%로 가장 많았으며, 이가 아팠지만 치과에는 가지 않았다 21.7%로 응답하여 치아의 중요성에 대한 인지도에 비해 치과에 내원하는 비율은 매우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6. 현재 우리나라 학교구강보건사업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세부적인 프로그램과 국가의 지원은 있으나 청소년을 위한 구체적인 프로그램 및 지원은 미비한 상태이다. 건강에 대해 자기 스스로 관리할 수 있는 시기인 청소년 시기의 학교구강보건사업은 효과적이라고 판단되며, 이 시기에 구강보건교육을 비롯한 구체적인 구강건강증진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학교구강보건사업이 중 고등학교에도 확대 실시되어야 할 것으로 검토되었다.

  • PDF

18개월 유아의 섭식, 구강위생 관리실태 및 구강상태에 관한 기초조사 (A PILOT SURVEY ON THE STATE OF FEEDING, ORAL HYGIENE CARE TOOTH ERUPTION AND CARIES IN 18-MONTH OLD INFANTS)

  • 이창한;정태성;김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714-720
    • /
    • 2004
  • 본 조사는 소아치과에서 중요한 시기인 생후 18개월 유아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를 위한 기초 조사의 일환으로 부산대학교 병원과 일신기독병원에서 출생한 생후 18개월 유아 154명을 대상으로 구강검진을 하고 그 보호자들을 대상으로 직접 면담을 하여 수유 및 섭식실태, 구강위생관리 실태, 치아맹출과 우식 실태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73%의 유아에서는 여전히 수유가 시행되고 있었으며 그 중 82%는 수면중 수유하거나 수유후 적절한 구강위생관리 없이 잠드는 상태였다. 2. 고형간식은 과일 비스킷류, 치즈, 빵, 사탕류의 순으로, 음료는 물, 유산균 발효유, 우유, 가당쥬스, 생과일 쥬스의 순으로 많았으며, 전체의 61%가 불규칙한 섭취를 하고 있었다. 3. 구강위생관리에 있어서는 92%가 어떤 방식으로건 관리를 하고 있었고, 유아용 칫솔을 이용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그 시작시기는 평균 13.8개월, 1일 1.6회를 실시하고 있었고 잇솔질의 주체는 유아가 흉내낸 후 보호자가 마무리하는 경우가 77%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4. 모든 유절치는 맹출된 상태였으며 제1유구치는 86%, 유견치는 66%의 유아에서 관찰되었고 개인별 치아의 수는 평균 14.1개였다. 5. 우식 이환율은 27.3%이었고 전체우식의 73%는 상악 유절치에 나타났으며 dmft index는 0.97이었다. 본 조사를 통하여 이 연령대 유아 보호자들을 대상으로 적절한 이유시기, 올바른 간식습관과 구강위생방법에 대한 교육이 절실함을 알게 되었다.

  • PDF

구강보건인력의 예방치과진료에 대한 인식 및 교육요구도 (Awareness and educational needs on preventive dental treatment among oral health workers)

  • 정재연;한수진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875-887
    • /
    • 2017
  •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needed in developing an educational program designed to upgrade capacity and awareness of preventive dental treatment among oral health workers, by analyzing levels of awareness of preventive dental treatment and educational needs among dentists and dental hygienists. Method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with SPSS program ver. 19.0. The data was under t-test. Results: The frequency level of giving preventive dental treatment to patients among dentists and dental hygienists is below mid-point, 3 on the 5-point Likert scale. In terms of frequency level per item, scaling & polishing was ranked the highest, followed by periodontal maintenance, tooth-brushing instruction, and prescription and instruction of oral care product in descending order. On the questions asking how important preventive dental care they perceive to be, both dentists and dental hygienists perceived it to be highly important. When they were asked to rank those items by the importance of education, they considered periodontal maintenance as the most important one, followed by individual education of oral health, incremental oral health care, scaling& polishing, toothbrushing instruction, and prescription and instruction of oral care product. Respondents pointed out problems in running a preventive dental treatment program as follows: overwork, lack of dedicated workforce, un-fixed costs, and lack of necessary equipment. When they were asked to point out items needed to run such a program, the largest number of respondents indicated dedicated workforce placement, followed by improving awareness of the customer, and improving awareness of the dental workers. Conclusions: In order to effectively run a preventive dental treatment program, it is necessary for oral health workers to clearly understand the concept of it. It is also necessary to develop and operate an education program on preventive dental treatment targeting oral health professionals.

G대 부속 유치원생의 치면세균막 형성 및 구강건강실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ntal Plague Formation and the Oral Health Condition of Preschool Children in G College in Affiliation)

  • 이천희;장영호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63-72
    • /
    • 2010
  • The present study purposed to prevent oral diseases and to improve oral health in children. For this purpose, we selected 70 cases who are 5~7 years old preschoolers at the kindergarten affiliated to G College in Gyeongsangbukdo, and analyzed the general patterns of oral care and the relation of the patterns with dental plaque and deciduous dental caries in the children. Specifically, we conducted oral examination and applied pit and fissure sealant according to the eruption of deciduous molar and first molar. In addition, we executed the 1st and 2nd tooth brushing instruction (TBI), and surveyed S-OHI and PHP twice. Excluding 14 preschoolers who did not appear in the 2nd survey, we performed the study with 56 preschoolers and drew conclusions as follows. 1. The number of decayed or missed or filled teeth among deciduous teeth was 3 or more in 42.9% of female children, and 46.4% of male children, so male children showed a slightly higher rate. 2. The degree of dental plaque formation was $1.64{\pm}1.22$ among the surveyed children. 3. The oral health index was lower after TBI than before in all the children (P<.001). 4. Change in the oral health index was particularly larger in 7 year old female children (p<.005). 5. The patient hygiene performance index was lower after TBI than before in both the buccal surface and lingual surface of the children (p<.005). 6. The patient hygiene performance index was lower after TBI than before in all of male children's teeth except the right maxillary first deciduous molar (p<.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