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ull

검색결과 1,206건 처리시간 0.028초

복합 적응 어레이 처리기의 성능 (Performance of a Modified Composite Array Processor)

  • 장병건
    • 지질공학
    • /
    • 제5권1호
    • /
    • pp.95-103
    • /
    • 1995
  • 이 논문은 적응 복합 어레이 처리기에 공간과 주파수 영역에 미분 영점 조건을 사용한 개조복합 어레이 처리기에 대하여 서술한다. 방해신호와 원하는 신호의 주파수는 같으나 방향은 서로 다르며, 방해신호의 방향가 주파수는 알고 있다고 가정하였다. 컴퓨터 실험 결과, 고계의 미분영점은 영점 폭을 넓게 하여 광대역 방해신호를 제거하는데 적합하며, 주파수 영역에서의 영계의 미분영점 (단순점 영점)은 복합어레이 처리기에 내재하는 여분의 오류 신호를 줄여 어레이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이 판명되었다.

  • PDF

무작위 오류가 있는 선형 어레이의 최적 광대역 영점 형성 (Synthesis of Optimum Broadband Null in Randomly Perturbed Linear Arrays)

  • 장병건
    • 지질공학
    • /
    • 제5권1호
    • /
    • pp.105-113
    • /
    • 1995
  • 광대역 방해신호가 수신되는 센서 또는 안테나 어레이에는 어레이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각 방해신호 방향에 광대역 영점(null)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대역 영점을 효과적으로 형성하는 한 방법은 미분 영점을 사용하는 것이다. 어레이 계수와 감지기 위치의 무작위 오류가 있는 어떤 조건이 주어진 선형 어레이에서의 미분영점의 성능을 논의하며 컴퓨터 실험 결과를 제시한다.

  • PDF

THE RELATIONS BETWEEN NULL GEODESIC CURVES AND TIMELIKE RULED SURFACES IN DUAL LORENTZIAN SPACE 𝔻31

  • Unluturk, Yasin;Yilmaz, Suha;Ekici, Cumali
    • 호남수학학술지
    • /
    • 제41권1호
    • /
    • pp.185-195
    • /
    • 2019
  • In this work, we study the conditions between null geodesic curves and timelike ruled surfaces in dual Lorentzian space. For this study, we establish a system of differential equations characterizing timelike ruled surfaces in dual Lorentzian space by using the invariant quantities of null geodesic curves on the given ruled surfaces. We obtain the solutions of these systems for special cases. Regarding to these special solutions, we give some results of the relations between null geodesic curves and timelike ruled surfaces in dual Lorentzian space.

Estimation of p-values with Two Dimensional Null Distributions from Genomic Data Set

  • Yee, Jaeyong;Park, Mira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 /
    • 제20권6호
    • /
    • pp.2711-2719
    • /
    • 2018
  • When an observable is described by a single value, the statistic significance may be estimated by construction of null distribution using permutation and counting the portion of it that exceeds the observed value by chance. Genome-wide association study usually focuses on the association measure between a single or interacting genotypes with a single phenotype. However investigation of common genotypes associated simultaneously on multiple phenotypes may involve the observables that should be described with multiple numbers. Statistical significance for such an observable would involve null distribution in multiple dimensions. In this study, extension of the p-value estimation process using null distribution in one dimension has been sought that may be applicable to two dimensional case. Comparison of the position of points within the set of points they form has been proposed to use a positioning parameter inspired by the extension of the Kolmogorov-Smirnov statistic to two dimensions.

Glulathione-S-transferases Gene Polymorphism in Prediction of Gastric Cancer Risk by Smoking and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Status

  • Jing, Chen;Huang, Zhi-Jie;Duan, Yu-Qin;Wang, Pei-Hong;Zhang, Ru;Luo, Ke-Shu;Xiao, Xin-Rong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7호
    • /
    • pp.3325-3328
    • /
    • 2012
  • Aim: To evaluate the association of glutathione S-transferases gene polymorphisms with the risk of gastric cancer, with reference to smoking and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Methods: We conducted a 1:1 matched case-control study with 410 gastric cancer cases and 410 cancer-free controls. Polymorphisms of GSTM1, GSTT1 and GSTP1 were determined using PCR-CTPP. Results: The GSTM1 and GSTT1 null genotype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risk of gastric cancer after adjusting for potential confounding factors (OR=1.68, 95% CI=1.32-2.23 for null GSTM1, OR=1.73; 95% CI=1.24-2.13 for null GSTT1). The combination of null GSTM1 and null GSTT1 conferred an elevated risk (OR=2.54, 95% CI=1.55-3.39). However, no association was found for GSTP1 polymorphism The smoking modified the association of GSTM1 and GSTT1 null genotypes with the risk of gastric cancer. Conclusion: GSTM1 and GSTT1 null genotypes are associated with increased risk of gastric cancer, and smoking modifies the association.

Impact of Tobacco on Glutathione S Transferase Gene Loci of Indian Ethnics

  • Senthilkumar, K.P.;Thirumurugan, Ramasamy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10호
    • /
    • pp.5037-5042
    • /
    • 2012
  • Background: Tobacco contains agents which generate various potent DNA adducts that can cause gene mutations. Production of DNA adducts may be neutralized by glutathione S transferase (GST) along with other phase I and phase II enzyme systems. The existence of null type of GST among the population increases the susceptibility to various disorders and diseases. The present study focuses on the impact of high tobacco usage and possible null type mutation in GST loci. Methods: Genotypes of GST were detected by multiplex polymerase chain reaction in unrelated 504 volunteers of high tobacco using natives of Gujarat. Allelic frequencies were calculated using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tudies-16 software. Hardy Weinberg Equilibrium (HWE) was calculated using Chi square test. Two sided Fisher's significance test was used to compare allelic frequencies of different populations. Results: The frequency of homozygous null genotype of GSTM1 and GSTT1 were 20% (95% CI 16.7-23.9) and 35.5% (95% CI 31.4-39.9) respectively. The GSTM1 and GSTT1 null allele frequency distribution in the Gujarat population was significantly deviating from HWE. GSTT1 null frequency of Gujaratians was significantly higher and different to all reported low tobacco using Indian ethnics, while GSTM1 was not differing significantly. Conclusion: Tobacco usage significantly influences the rate of mutation and frequency of GSTT1 and M1 null types among the habituates. The rate of mutation in GSTT1 loci was an undeviating response to the dose of tobacco usage among the population. This mutational impact of tobacco on GSTT1 postulates the possible gene - environment interaction and selection of null genotype among the subjects to prone them under susceptible status for various cancers and even worst to cure the population with GSTT1 dependent drugs.

분열효모에서 mRNA Export와 관련된 rgm1 유전자의 유전학적 분석 (Genetic Analysis of Fission Yeast rsm1 Which is Involved in mRNA Export)

  • 강숙희;윤진호
    • 미생물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98-104
    • /
    • 2008
  • mRNA의 핵에서 세포질로의 이동(mRNA export)에 관여하는 것으로 여겨지는 분열효모 Schizosaccharomyces pombe의 rsm1 유전자의 역할을 알아보기 위해 $kan^{r}$ 유전자를 이용하여 결실돌연변이주(deletion mutant)를 제조하였다. rsm1 유전자는 생장에 필수 유전자는 아니지만, rsm1 결실돌연변이주는 야생형에 비해 생장이 조금 늦고 mRNA export도 약간의 결함을 보였다. rsm1 유전자와 mRNA export의 중요 유전자와의 연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이중돌연변이주(double mutants)를 제작하여 생장결함 정도와 mRNA export 결함 정도를 조사하였다. 조사한 유전자들 중에서 mex67 또는 npp106 돌연변이 유전자는 rsm1 결실돌연변이 유전자와 함께 존재하면 생장과mRNA export가 더욱 악화되었다. 반면, thp1 돌연변이 유전자는 rsm1 결실돌연변이 유전자와 함께 존재하면 오히려 생장과 mRNA export 정도를 야생형과 유사한 정도로 호전시켰다. 이와 같은 결과들은 rsm1 유전자가 mRNA의 핵에서 세포질로의 이동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개선된 구조의 Null-Type 토크마그네토미터의 설계 및 제작 (Design and Fabrication of Improved Null-Type Torque Magnetometer)

  • 김동현;신성철;허진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8권6호
    • /
    • pp.388-394
    • /
    • 1998
  • 자성물질의 자기이방성을 측정하기 위해 개선된 구조의 null-type 토크마그네토미터를 설계, 제작하였다. 제작된 토크마그네토미터의 측정범위는 $0~{\pm}15\;dyne.cm$이며 조절이 가능하다. 이 범위내에서 분해능은 약 0.0005 dyne.cm 정도이며, 1회 측정시 잡음수준은 ~0.01 dyne.cm, 10회 반복측정한 경우 ~0.004 dyne.cm 이하였으며, 반복재현시 나타나는 오차는 0.5% 이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작된 토크마그네토미터는 종전의 null-type 토크마그네토미터와는 달리 영구자석을 내부에, 헬름홀쯔 코일을 외부에 위치시킨 구조의 토크미터를 포함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기하학적으로 등방적인 모양으로 토크미터를 설계할 수 있었으며, 헬름헬쯔 코일의 입력전선과 출력전선의 역학적 및 전기적 임피던스에 으히나 토크곡선의 왜곡을 방지할 수 있었고, 샘플막대의 관성모멘트를 줄일 수 있었다. 그 결과 토크에 대하 보다 민감하면서도 반응속도가 빠르며 토크곡선의 왜곡요인이 적은 토크마그네토미터를 제작할 수 있었다.

  • PDF

경통고정식 자동무수차점 널 렌즈 테스트법을 이용한 직경 300 mm(f/1.98) 알루미늄 쌍곡면 거울의 형상측정 (Evaluation of a Aluminum Hyperbolic Mirror with the Diameter of 300 mm(f/1.98) by Using the Autostigmatic Null Lens System Assembled in a Fixed Tube Mount)

  • 이영훈;조재흥;임천석;양순철;김건희;원종호;정연홍
    • 한국광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412-419
    • /
    • 2006
  • 초정밀 비구면 기공기로 제작한 구경 300 mm이고 f-수가 1.98인 알루미늄 쌍곡면 거울의 형상을 측정하기 위하여 자동무수차점 널(null) 렌즈 광학계를 설계하고 제작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이 대구경 쌍곡면 거울의 형상을 측정하였다. 이때 널 렌즈간 정렬은 구조적으로 안정하고 부피가 작은 경통고정식을 선택하였고, 널 렌즈 및 경통의 제작 허용오차는 요구되는 측정 정밀도를 만족하도록 공차분석기법을 통하여 계산하고 제작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