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rfloxacin

검색결과 163건 처리시간 0.028초

Preparation of graphene oxide incorporated polyamide thin-film composite membranes for PPCPs removal

  • Wang, Xiaoping;Li, Nana;Zhao, Yu;Xia, Shengji
    • Membrane and Water Treatment
    • /
    • 제9권4호
    • /
    • pp.211-220
    • /
    • 2018
  • Incorporating nano-materials in thin-film composite (TFC) membranes has been considered to be an approach to achieve higher membrane performance in various water treatment process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jection efficiency of three target compounds, i.e., reserpine, norfloxacin and tetracycline hydrochloride, by TFC membranes with different graphene oxide proportions. Graphene oxide (GO) was incorporated into the polyamide active layer of a TFC membrane via an interfacial polymerization (IP) reaction. The TFC membranes were characterized with FTIR, FE-SEM, AFM; in addition, the water contact angle measurements as well as the permeation and separation performance were evaluated. The prepared GO-TFC membranes exhibited a much higher flux ($3.11{\pm}0.04L/m2{\cdot}h{\cdot}bar$) than the pristine TFC membranes ($2.12{\pm}0.05L/m2{\cdot}h{\cdot}bar$) without sacrificing their foulant rejection abilities. At the same time, the GO-modified membrane appeared to be less sensitive to pH changes than the pure TFC membrane.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anti-fouling property of the membrane was observed, which was ascribed to the favorable change in the membrane's hydrophilicity, surface morphology and surface charge through the addition of an appropriate amount of GO. This study predominantly improved the understanding of the different PA/GO membranes and outlined improved industrial applications of such membranes in the future.

세팔로스포린 3'-퀴놀론의 물리화학적 성질, 안정성 및 체내약물동태 (Physicochemical Properties, Stabilities and Pharmacokinetics of Cephalosporin 3'-Quinolone Dithiocarbamate)

  • 나성범;공재양;김완주;지웅길
    • 약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638-646
    • /
    • 1993
  • A cepfialosporin with an aminothiazoiylmethoxyimino-type side chain at the 7 position and bicyclic quinolone dithicarbamate at the 3' position was synthesized. It has broad and potent antivacterial activity in vitro. The antibacterial spectrum reflects contributions of both the cephalosporin moiety and the quinolone moiety. Thus, this compound was named DACD implying a dualaction cephalosporin derivative. In this paper,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lipid-water partition, pKa), stability and pharmacokinetics of DACD were determined and compared with cefotaxime 3'-norfloxacin dithiocarbamate (CENO). Stability tests were studied in pH 1.20, 6.80 and 8.00 buffers and in the presence of AB type human plasma, rat liver homogenate and its .betha.-lactamase. The pharmacokinetic parameters of DACD were evaluated in mice after a single intravenous dose of 40 mg/kg.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lipid-water partition coefficient of DACD was higher than that of CENO. The calculated pKa values of CENO and DACD, were 6.82$\pm$0.03, 7.53$\pm$0.21, respectively. In the hydrolysis test, half-lives (t$^{1/2}$) of CENO and DACD was 66.0 hr and 80.0 hr in pH 6.80 buffer, 190 hr and 91.4 hr in pH 8.00 buffer. CENO and DACD were rapidly hydrolyzed in human plasma and in rat liver hornogenate. Half-lives (t$_{1/2}$ of CENO and DACD were 1.29 hr and 1.15 hr in hyman plasma, 0.62 hr and 0.71 hr rat liver homogenate. In $\beta$-lactamase stability test, CENO and DACD were very stable to the .betha.-lactamases obtained from three different strains. Half-life (t$_{1/2}$) and areas under the curve (AUC) in mice were 2.33 hr and 15.97 (mg.h/1), respectively.

  • PDF

Iron Increases Susceptibilities of Pseudomonas aeruginosa to Ofloxacin by Increasing the Permeability

  • Kim, Sookyoung;Kim, Jinsook;Hyeran Nam;Yusun Jung;Lee, Yeohee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38권4호
    • /
    • pp.265-269
    • /
    • 2000
  • Iron increased the susceptibilities of clinical isolates Pseudomonas aeruginosa to quinolones. In the presence of iron, increased susceptibilities to ofloxacin were observed in twenty-six out of thirty isolates and with no change in four isolates. In the case of norfloxacin, iran increased susceptibilities of twelve isolates but did not render any change in eighteen isolates. In the case of ciprofloxacin, iron decreased the MICs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of twenty isolates, increased the MIC of one isolate, and did net change the MICs of nine isolates. To find out how iron increased susceptibility to ofloxacin, bacterial cells were grown in Muller Hinton (MH) media and succinate minimal media (SMM) to induce iran acquisition systems and the intracellular ofloxacin concentrations were assayed in the presence of iron. The addition of iron to the media decreased the MICs of cells whether they were grown in MH or SMM. Siderophores, carbonyl cyanide m-chlorophenylhydrazone (an inhibiter of proton motive force), and ouabain (an inhibitor of ATPase) did not decrease the effect of iron. Results suggested that the increase in the intracellular ofloxacin concentration by iron is accomplished not by decreasing the efflux but by increasing the of ofloxacin permeability.

  • PDF

2004년 부산시내 일부 대학생의 검체에서 분리된 황색포도상구균의 항생제 내성 양상 (Antibiotic Resistance Patterns of Staphylococcus aureus Isolated from the Specimen of University Students in Busan in 2004)

  • 김태운;김윤태;권헌영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155-163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arrier rate of S. aureus in the community, antibiotic susceptibility patterns of the organism, detection of MRSA and mecA gene in MRSA. Identification and antibiotic resistance patterns of S. aureus and MRSA were done by MicroScan Panels. MRSA strain was confirmed by disk diffusion method using oxacillin disk. The mecA gene in MRSA was detected by PCR. Eighty-four strains (27.4%) of S. aureus were isolated from the nasal specimens of 307 university students in Busan in 2004. Sixty-eight strains (81.9%) of 83 S. aureus were resistant to penicllin, 16 strains(19.3%) to erythromycin, 15 strains (18.1%) to gentamicin, 12 strains (14.5%) to tetracycline, 6 strains (7.2%) to chloramphenicol, 3 strains (3.6%) to ofloxacin, 2 strains (2.4%) to cefepime, clindamycin, imipenem, meropenem, norfloxacin, respectively. One strain (1.2%) was resistant to ciprofloxacin, cefazolin, cefotaxime, cefuroxime, and oxacillin. And all the strains (100%) of 84 S. aureus were susceptible to amoxicilin/K clavulanate, ticarcillin/K clavulanate, trimethoprim/sulfamethoxazole, rifampin, syncroid, teicoplanin, and vancomycin. One strain of 84 S. aureus isolates was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The mecA gene was detected from the MRSA strain.

  • PDF

잉어에 있어서 Quinolones (Ciprofloxacin, Norfloxacin 및 Oxolinic acid)의 경구투여에 따른 장기내 분포상 (Distribution of Quinolones (Ciprofloxacin, Norfloxacin and Oxolinic acid) after Oral Administration in Carp (Cyprinus carpio))

  • 최민순;박관하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69-276
    • /
    • 2005
  • 본 실험에서 잉어를 대상으로 CPF, NRF 및 OXA등의 약제를 어체당 20 mg/kg 현탁액을 경구투여 후에 1-96 시간 경시적으로 약물의 동태를 조사 하였다. 각 약제별 최고장기농도도달시간은 간장 (8 h), 혈액 (12 h), 신장(12 h) 및 근육 (24 h) 이었다. 각 약제별 최대농도는 CPF (13.8-19.6 ${\mu}g$/$m\ell$), NRF (11.8-15.9 ${\mu}g$/$m\ell$), 및 OXA (10.8-13.9 ${\mu}g$/$m\ell$)순으로 나타났다. 약제농도는 최고치의 도달 이후 빠르게 소실되다가 48-96 h는 완만한 감소를 보였으며, 이때 장기별 약제농도는 근육 (3.3-6.3 ${\mu}g$/$m\ell$)> 간장 (2.5-5.5 ${\mu}g$/$m\ell$)> 신장 (2.3-4.2 ${\mu}g$/$m\ell$) > 혈장 (2.1-3.0 ${\mu}g$/$m\ell$)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OXA의 경우 다른 약제에 비해서 약물의 정체기가 나타났다. 즉 혈중은 12-36 h;, 고농도저류대 (24 hr; 10.9-8.8 ${\mu}g$/$m\ell$), 근육은 36-96 h에 중간농도대 (60 hr; 8.5-5.8 ${\mu}g$/$m\ell$) 및 간장은 12-96 h에 저농도대 (84 hr; 6.8-3.3 ${\mu}g$/$m\ell$)등이 형성되었다.약제의 혈중농도에 대한 각 장기농도비 (간장;L, 신장;K, 및 근육;M / 혈액;B)는 시간대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CPF는 즉 L>K>M (0.65-1.2/0.82-0.93/1.0-1.7)순으로 시간대별로 차이가 없었다. NRF는 시간대별로 1-8 h 및 12-24 h L>K>M (0.65-1.3/0.86-1.0)순이었으나, 36 h 이후 L>M>K (0.89-1.26)순이었다. OXA의 있어서는 1-8 h에는 L>K>M (0.95-2.1), 12-36에는 M>K>L (0.51-1.0) 및 48-96 h에는 M>L>K (1.0-2.3)으로 나타났다.

설사 증상의 돼지 분변에서 분리된 용혈성 대장균의 항생제 내성과 독소의 인체로부터 분리된 균주로의 전이 (Transfer of Genes for Antimicrobial Resistance and Toxin of Hemolytic Escherichia coli Isolated from Feces of Pig Suffering Diarrhea to Human Isolates)

  • 이계남;정병열;이연희
    • 미생물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86-294
    • /
    • 2004
  • 1997년과 1998년 사이에 설사 증상을 보이는 돼지의 분변으로부터 총56균주의 Escherichia coli를 분리하여 이중 용혈성을 나타내는 38균주의 항생제 내성과 독소 생산능을 확인하였다. 항생제 한천 희석법으로 최소억제농도(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를 측정한 결과 36균주$(94.7\%)$가 tetracycline에 대해 내성을 나타내었고, 27주$(71.0\%)$는 ampicillin에 내성, 26균주$(68.4\%)$는 chloramphenicol에 내성, 그리고 21균주$(55.2\%)$는 tri-methoprim에 내성을 나타내었으나, aztreonam, amikacin, norfloxacin에 내성을 나타낸 균주는 발견되지 않았다. 이중 4가지 이상의 항생제에 대해 내성을 가지는 다제내성(multiple drug resistance, MDR)을 보인 균주는 총 38 균주 중 21균주$(55.3\%)$였다. 또한 이중 디스크 시험법(Double Disk Synergy Test)을 수행한 결과 extended spectrum $\beta-lactamase$를 생산하는 균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중 가장 많은 수의 균주가 내열성 독소$(ST,89.5\%)$를 생산하였고, 다음으로 베로 독소(VT와 VTe, 각각$47.4\%$)와 이열성 독소$(LT,31.6\%)$를 생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에서 8균주$(21.0\%)$는 57만을 생산하였던 반면에 12균주$(31.6\%)$는 LT와 ST를 동시에 생산하였고, 13균주$(34.2\%)$는 ST, VT, VTe를 동시에 생산하였으며, 5균주$(13.2\%)$는 VT와 VTe를 동시에 생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네 가지 독소를 동시에 생산하는 균주는 없었다. 또한 이 균주들은 매우 다양한 혈청형(serotype)을 가지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사람에 직접적인 유해성을 가지고 있는 지 확인하기 위해 사람 방광 유래의 T-24세포와 장내 표피 유래의 Caco-2세포에 대한 부착능을 시험하였을 때, 16균주$(42.1\%)$가 T-24방광 세포에, 그리고 17균주$(44.7\%)$가 Caco-2장세포에 대해 강한 부착능을 나타내었다. 특히 11균주$(28.9\%)$는 두 세포 모두에 강한 부착능을 가지고 있었다. Filter mating method를 수행하여 이들 균주들의 독소 생산 유전자와 항생제 내성 유전자가 사람에서 분리된 균주로 전달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실험의 결과는 설사 중상을 나타내는 돼지로부터 분리된 용혈성 E. coli의 독성과 세포 부착능력, 그리고 항생제 내성간의 상호 연관성을 보여주지 않았으나 동물 분리 세균의 항생제 내성과 독소 생산 능력이 유전자 전달을 통해서 뿐만 아니라 세균의 직접 접촉에 의해서도 인체로 전달될 수 있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국내 대학병원에서 분리된 Eschepichia coli의 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 (ESBL) 현황 (Prevalence of Extended Spectrum $\beta-Lactamase-Producing$ Clinical Isolates of Escher­ichia coli in a University Hospital, Korea)

  • 이계남;김우주;이연희
    • 미생물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95-301
    • /
    • 2004
  • 최근 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 생산 임상 균주의 급속한 증가와 확산은 매우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이에 국내에서 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 생산 임상 균주의 발생율을 파악하고자 국내 한 대학병원에 입원한 환자로부터 대장균을 분리하여 항생제 감수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충 233균주 중 184균주 $(78.9\%)$가 ampicillin에 대해 내성을 나타냈으며, 80균주$(34.3\%)$가 cephalothin에, 93균주$(39.9\%)$가 gentamicin에, 64균주$(27.5\%)$가 norfloxacin에 대해 내성을 나타내었다. 이중 17균주$(7.3\%)$가 double disk synergy test에 의해 양성반응을 나타낸 것으로 확인되었고, 이들에 대해서 6가지 항생제에 대한 최소 억제 농도를 추가적으로 시험한 결과, 13 균주가 4가지 이상의 다른 계열의 항생제에 대한 다중 약제 내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Isoelectric focusing gel electrophoresis에 의한 pI값과 DNA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5균주가 TEM-1,1균주가 TEM-15,1 균주가 TEM-20,4균주가 TEM-52,2균주가 TEM-1과 AmpC, 1균주가 TEM-1과 OXA-30,1 균주가 TEM-1과 OXA-33,1 균주가 TEM-1, CTX-M-3, AmpC, 그리 고 1 균주가 AmpC를 생산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SHV를 생산하는 균주는 없었다. 이들의 항생제내성 유전자가 전달되는지 확인한 결과 동물로부터 분리된 대장균 (CCARM No.1203)에 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생산 유전자가 전달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와 pulsed field gel electrophoresis분석을 사용하여 genomic DNA에 대한 유전형을 분석한 결과 균주간의 유전적 연관성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나 한 병원에서 발견되는 균주는 clonal spread에 의한 것이라는 일반적인 보고와 다른 결과를 얻었다.

젖소 유방염에 대한 Ozonated oil의 치료효과 (A Therapeutic Effect of Ozonated Oil on Bovine Mastitis)

  • 조성남;유건주;이상은;홍민성;김덕환;김명철;조성환;전무형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18-321
    • /
    • 2005
  • 충남 공주, 조치원, 연기 및 전북 익산 지역에서 사육 중인 만성유방염에 이환된 비유우 24두로부터 49분방을 선발하였다. 유방염에 이환된 49분방은 대조군(항생제 투여군: 7분방)및 실험군(ozonated oil투여군· 42분방)으로 각각 구분하였다. 또한 실험군의 분방은 우유 중 체세포를 기준으로 실험군 A(체세포 수$50-100\times10^4/ml)$ : 10분방), 실험군 B(체세포 수 $100-300{\times}10^4/ml)$ : 14분방) 및 실험군 C(체세포 수$>300\times10^4/ml$ : 18분방)로 각각 구분하였다. 대조군의 분방은 항생제 감수성시험의 결과를 토대로 norfloxacin(10g/tube)을 2회/1일, 3일간 유두내로 주입하였고, 또한 실험군의 분방에는 ozonated oil(200ppm 농도, 3일간 폭기) 10m1를 2회/1일, 3일간 유두내로 주입하였다. 대조군 및 실험군간 우유 중 체세포 수 및 세균수의 변화를 각각 비교 검토하였다. 그 결과 대조군의 분방은 처치 7일째 우유 중 체세포 수 및 세균수가 각각 감소 소견을 나타내었으나, 처치 전에 비하여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한편 실험 군의 분방은 처치 후 7일째 처치 전에 비하여 체세포 수 및 세균수의 감소소견을 각각 나타내었으며, 특히 실험군 B(p<0.01) 및 실험군 C(p<0.01)에서 우유 중 체세포수는 처치 후 7일째에 처치 전에 비하여 각각 유의한 감소 소견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대조군 및 실험군 양 군간에는 체세포 수 및 세균수의 변화에 있어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ozonated oil을 이용한 오존요법은 만성 유방염에 이환된 분방에 치료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정할 때 꼭두서니 염료의 사용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대조구 화합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퇴화 전후의 색차에 대한 측정결과는 퇴화에 따른 염료의 색 변화에 대한 결과이다 출토복식의 갈변현상은 염료의 변색과 더불어 토양 유기물에 의한 착색도 기인하므로, 출토복식의 색상 변화를 실질적으로 조사하기 위해서는 본 연구의 결과와 함께 토양유기물에 의한 착색에 대한 연구가 병행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받고 또한 높은 수준의 직무 관여를 소매업 종사자들이 경험한다면, 그들의 직업 만족은 증가하고 이는 곧 장래에 그들이 소매업을 직업으로 선택하게 할 수 있는 가장 최우선적인 동력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TEX>연질, 대${\cdot}$소립의 영향과 높은 상관관계 가능성을 암시해주었다. R1과 R2분에서는 찰성밀이 일률적으로 보통밀보다 높은 수율을 지님으로서 배유조직의 제분특성에서 찰성밀이 보통밀보다 분말화가 용이하지 않음을 나타내 주었다.>${\~}$l16.9 RVU (SW97105) 범위로서 보통밀 148.0 (우리밀)${\~}$171.8 RVU (올그루밀)보다 낮았다.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사료되고 이의 객관적 평가로는 KT-2000 관절 계측기가 유효한 것으로 생각된다.있었다. 또한 지단백중 스테로이드를 사용하기전의 HDL cholesterol, apoB, apoB/HDL cholesterol등은 관해 유도기간과 의미 있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서 신증후군 환아의 재발을 예측 할 수 있는 지표로서 임상적인 의미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또는 세포독성물질로도 스테로이드 의존성을 없애거나 재발율을 낮출 수 없었던 스테로이드 의존성 미세변화형 신증후군의 치료에서는 스테로이드 의존성 혹은 재발율의 변화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따라서 장기간의 MP 요법은 스테로이드

제주도 양식넙치병어에서 분리된 연쇄상구균의 약제내성 전이성 plasmid (Transferable R plasmid of Streptococci Ioslation from Diseased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in Jeju)

  • 김종훈;이창훈;김은희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67-276
    • /
    • 2006
  • 제주도내 양식넙치 병어에서 분리된 연쇄상구균 75균주의 항균제에 대한 감수성 경향 및 내성균 출현빈도를 조사하고 다재내성 균주로부터 전이성 R plasmid를 검출하였다. 넙치 병어에서 분리된 모든 연쇄상구균은 flumequine (AR)과 oxolinic acid (OA)에 대하여 저항성이었으며, 그 중 30균주 (41%)는 ampicillin (ABPC), doxycycline (DOXY), erythromycin (EM), norfloxacine (NFLX), oxyteracycline (OTC)의 약제에 대하여 다양한 조합으로 동시내성을 나타내었다. AR과 OA를 포함하여 4~6약제에 대하여 다재내성을 보인 균주는 26주였다. 연쇄상구균의 다재내성 전이에 관여하는 R plasmid인 pST9와 DNA구조가 유사한 plasmid의 분포를 알아보기 위하여 60 분리 균주에 대한 colony 혼성화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13 분리균에서 혼성화 양성반응이 나타났으며 생사료의 원료로 사용되는 양치와 고등어에서도 양성반응이 나타남으로써 동일 DNA구조의 plasmid가 분포함을 시사하였다. 혼성화 양성반응을 보인 13균주로부터 전이성 R plasmid를 검출하기 위하여 conjugation을 실시하였다. OTC, DOXY, EM에 대한 항균제 내성 marker인 Otc, Doxy, Em은 R plasmid에 의하여 수용균인 Streptococcus sp.로 전이가 이루어졌다. 또한 이들 전이성 R plasmid를 보유하고 있는 연쇄상구균들이 동일 분류군에 속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RAPD pattern을 분석하였다. 내성균주들의 RAPD pattern은 모두 유사하였으며, Streptococcus iniae type의 RAPD pattern (Kim and Kim, 2003)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므로 pST9와 동일 DNA 구조의 R plasmid는 S. iniae에서의 출현빈도가 매우 낮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젖소 유방염에서 16S rRNA 파이로시퀀싱을 이용한 우유 내 마이크로바이옴의 동정과 난백의 항균효과 (Identification of microbiome with 16S rRNA gene pyrosequencing and antimicrobial effect of egg white in bovine mastitis)

  • 김단일;김은경;성원진;노영혜;고대성;김남형;김재홍;권혁준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57권2호
    • /
    • pp.117-126
    • /
    • 2017
  • Bovine mastitis is an important microbial disease in the dairy industry. We investigated the frequencies of bacterial pathogens in 62 farms and pathogen antibiotic resistance from mastitis samples (n = 748). We tested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chicken and duck egg white and lysozyme purified from chicken egg white. Moreover, we compared the microbiomes of normal and mastitic raw milk obtained by 16S rRNA gene pyrosequencing and culture method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requencies of Gram-positive pathogens (Enterococcus faecalis 37% and Staphylococcus aureus 36%) were higher than that of a Gram-negative pathogen (Escherichia coli 15%). Resistance frequencies to ampicillin and norfloxacin were lowest in Staphylococcus aureus (21%), Enterococcus faecalis (23%), and Escherichia coli (33%), and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chicken egg white was higher than those of lysozyme and duck egg white. Pyrosequencing results revealed clear differences between the microbiomes of mastitic and normal raw milk samples and revealed a slightly similar, but clearly different, composition of pathogens compared to that from the culture method. Thus, pyrosequencing may be useful for elucidating changes in microbiomes during mastitis progression and treatment. A chicken egg white and antibiotic combination may help with mastitis treatment; however, further studies are nee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