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itrite scavenging effect

검색결과 254건 처리시간 0.028초

연근의 성분분석 및 연근 발효음료의 기능성 평가 (Study o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Lotus Root and Functional Evaluation of Fermented Lotus Root Drink)

  • 배만종;김수정;예은주;남학식;박은미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22-227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연근의 건강식품 소재로서의 활용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연근의 성분분석 및 연근을 이용하여 만든 연근음료 및 연근 발효음료의 항산화효과를 비교하였으며, 고지방식이를 공급한 흰쥐에게 연근음료 및 연근발효음료를 7주간 공급하여 혈청의 지방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연근음료 및 연근발효음료는 1%에서 각각 25.55%, 23.88%의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고, 10%에서는 각각 87.5%, 95.81%로 항산화 활성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또한 아질산염 분해활성은 pH 3.0 및 pH 6.0에서 연근음료의 경우 24.97%, 23.73%의 아질산염 분해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연근발효음료도 음료의 농도에 비례하여 아질산염 분해활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고지방식이를 먹인 흰쥐에게 연근음료 및 연근발효음료를 7주간 병행 공급하였을 때 1일 체중증가량은 고지방식이 급여 대조군에 비해 감소하였으나 유의적이지는 않았다. 식이효율은 고지방식이를 급여한 실험군 모두가 정상군에 비해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내었다. 체중 100g당 간의 무게는 고지방식이 급여 대조군에 비해 연근음료 투여군은 11.6%, 연근발효음료 투여군은 9.9% 감소하였으나 유의적이지는 않았다. 혈액 중 총 지방함량과 중성지방 함량은 연근음료와 연근발효음료 급여 시 고지방식이 급여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혈액 중 총콜레스테롤 함량은 연근음료 및 연근발효음료 공급 시 고지방식이 급여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으나 음료 종류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맛버섯 에탄올 추출물의 생리활성 (Physiological activity of Pholiota nameko sp. ethanol extract)

  • 조세현;진경언;우양;정경주;윤형식;유영복;박기문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142-149
    • /
    • 2010
  • 맛버섯 10계통의 에탄올 추출물에 대한 polyphenol 및 ${\beta}$-glucan 함량을 분석하고, 생리활성으로 항산화 및 항암, 항고혈압, 항당뇨, 항염활성을 측정하였다. Polyphenol 함량에서는 전 계통에서 전반적으로 40 mg% 함량 이상이였고, 맛버섯 M-1548이 $61.50{\pm}0.59$ mg%로 가장 높았다. ${\beta}$-glucan 함량에서도 맛버섯 M-1548에서 $37.20{\pm}1.12%$로 가장 높았으며, 그 외에 맛버섯 M-900에서 $36.35{\pm}1.11%$, M-1630에서 $36.24{\pm}1.27%$의 순서로 높은 ${\beta}$-glucan 함량을 나타냈다. 항당뇨 활성에서도 역시 맛버섯 M-1548이 $13.78{\pm}0.56%$로 가장 높은 효소 저해율을 보였으나 항염 활성에서는 맛버섯 M-1630이 $56.59{\pm}7.11%$로 가장 높은 nitric oxide 저해율을 보였으며 맛버섯 M-1548은 $26.21{\pm}0.5%$로 미미한 저해율을 보였다. 전자공여능 및 ACE 저해활성, nitrite 저해활성은 효과가 없거나 미미한 활성만을 나타냈다. 세포독성 실험에서는 1 mg/mL로 처리시 폐암세포에 대해 전반적으로 30%이상의 세포 사멸율을 보였으며, 자궁경부암세포에서도 맛버섯 M-1548에서 $10.05{\pm}0.44%$의 세포 사멸율을 보였다. 그러나 대장암세포와 정상세포인 섬유아세포에서는 세포 사멸율이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맛버섯 10계통은 폐암세포와 자궁경부암세포에 세포 독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아 암세포에 대한 선택성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고 정상세포에 대해선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걸 확인하였다.

  • PDF

우엉 뿌리의 항혈전 및 항산화 활성 (Anti-thrombosis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the root of Arctium lappa L.)

  • 김미선;이예슬;손호용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727-734
    • /
    • 2014
  • 식용 및 약용으로 이용되고 있는 우엉 지하부의 혈전 관련 활성과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고자, 우엉의 ethanol 추출물 및 이의 순차적 유기용매 분획물을 조제하여 혈액응고 저해 활성, 혈소판 응집저해 활성, 인간 적혈구 용혈활성 및 in-vitro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였다. 먼저 우엉 추출 수율은 10.94%로 다른 식용 및 약용식물보다 높았으며, ethanol 추출물의 경우 total polyphenol 함량은 5.01 mg/g으로 낮았으나, 694.53 mg/g의 높은 총당 함량을 나타내었다. 순차적 유기용매 분획의 경우, n-hexane, ethylacetate(EA), n-butanol 분획 수율은 각각 1.62, 0.42 및 5.98%로 나타났으며, 물 잔류물은 85.38%였다. 우엉 시료들의 혈액응고 저해활성을 TT, PT, aPTT를 측정한 결과, ethanol 추출물에서는 유의적인 활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EA 분획에서 강력한 TT, PT, aPTT 연장효과를 확인하였으며, 농도 의존적 혈액응고 저해활성을 확인하였다. 한편 물 잔류물에서는 내인성 혈액응고인자 활성화에 의한 aPTT 감소효과를 확인하여 혈전생성 촉진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혈소판 응집저해 활성평가의 경우, 우엉 ethanol 추출물 및 분획물들은 임상에서 사용하는 항혈소판제인 아스피린보다 강력한 저해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EA 분획은 정제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아스피린의 2배 이상의 강력한 혈소판 응집저해능을 나타내었다. 또한 항산화 활성 평가 결과, EA 분획물은 DPPH 음이온, ABTS 양이온, nitrite에 대해 우수한 소거능 및 환원력을 나타내었다. 또한 우엉 추출물과 분획물들은 0.5 mg/mL 농도까지 인간 적혈구에 대한 특이한 용혈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상기 결과들은, 우엉 EA 분획물이 천연물 유래의 안전한 항혈전제로 개발 가능함을 제시하고 있다.

돈육 소시지에 첨가한 감초 및 강황의 저장성 증진 및 아질산염 소거 효과 (Effect of Improvement of Storage Properties and Reducing of Sodium Nitrate by Glycyrrhiza uralensis and Curcula longa in Pork Sausage)

  • 조선희;정순아;송유진;이소영;김꽃봉우리;박진규;박선미;안동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8호
    • /
    • pp.997-1004
    • /
    • 2006
  • 돈육 소시지에 감초와 강황 열수 추출물을 0.5%, 1%, 5% 농도로 첨가하여 이들이 소시지의 저장성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30 ppm 아질산염과 5% 추출물을 첨가한 실험구에서 소시지의 저장성이 약 4주간 유지되어 아질산염만 150 ppm 첨가한 것과 유사한 저장성을 보였으며, 1% 첨가구에서는 전 저장기간 동안 1 log cycle정도의 미생물 생육억제효과를 보였다. 산화도는 추출물 첨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되는 경향을 보여 산화방지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VBN 함량측정에서도 5.0% 첨가구에서 저장기간 내내 가장 낮은 함량을 보였으며 추출물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소시지의 아질산염 잔류량이 감소하였다. 감초와 강황 첨가구에서 유화안정성이 다소 떨어졌으나 pH의 경우는 5.0% 첨가구에서 소시지의 pH가 안정하였으며 무첨가구가 첨가구에 비해 적색도는 다소 높았으나 황색도는 낮았다. 관능평가 결과 0.5%, 1%가 전체적으로 무첨가구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에서, 감초와 강황 열수 추출물을 소시지에 첨가할 경우 아질산염의 첨가량을 낮추어도 저장성을 증진시킬 수 있으며, 아질산염 잔류량을 낮출 수 있다. 또한 추출물을 1.0% 이하로 첨가할 경우 저장성과 함께 품질개선에도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Effects of Grapefruit Seed Extract on Oxidative Stability and Quality Properties of Cured Chicken Breast

  • Kang, Su-Tae;Son, Hee-Kyoung;Lee, Hyun-Joo;Choi, Jung-Seok;Choi, Yang-Il;Lee, Jae-Joon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429-439
    • /
    • 2017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ntioxidative and functional effects of a curing agent containing grapefruit seed extract (GSE) on the quality and storage characteristics of chicken breast. The total polyphenol and total flavonoid contents of GSE were 45.06 mg/g and 36.06 mg/g, respectively. The $IC_{50}$ value of 2,2-diphenyl-1-picrylhydrazyl hydroxyl scavenging of GSE was $333.33{\mu}g/mL$. The chicken breast comprised six groups: no-treatment (N), 0.2% ascorbic acid + 70 ppm sodium nitrite (C), 0.05% GSE (G0.05), 0.1% GSE (G0.1), 0.3% GSE (G0.3), and 0.5% GSE (G0.5). The pH and cooking loss of cured chicken breast decreased with increasing GSE levels, and the water holding capacity increased with increasing GSE levels. The hardness and chewiness of GSE-treated chicken breast were higher than those of N and C. Hunter's L and a color values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GSE addition. Moreover, 0.1% GSE (G0.1) increased the flavor and total acceptability scores. The 2-thiobarbituric acid and volatile basic nitrogen values of the 0.5% GSE group de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with those of C group. Total microbial counts of GSE-treated chicken breast were higher than those of C, but that lower than those of N. Adding GSE to chicken breast delayed lipid peroxidation and had antimicrobial effects during cold storage. GSE improved shelf life and palatability; therefore, it could be used as a natural antioxidant and functional curing agent ingredient in meat products.

Propolis 에탄올 추출물의 품질특성 및 기능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Ethanol Extract of Propolis)

  • 서권일;오인석;오동환;최성희;손미예;문주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969-972
    • /
    • 2000
  • Propolis의 품질특성 및 기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우리나라 원료 3종(문경, 산청 및 순천)과 수입원료 1종(S사 제품)의 Propolis를 80% 에탄올로 추출하여 최대흡수 파장과 total flavonoid함량을 측정하고, 항균, 수소공여능, 아질산염소거능 및 linoleic acid에 대한 과산화물가를 측정하였다. Propolis 추출물의 최대흡수파장은 208~212 nm이었으며, 다음으로 292~294 nm에서도 큰 흡수파장을 나타내었다 문경, 산청 및 순천지역의 total flavonoid 함량은 16.30~21.87 mg/g이었으나, 시료간에는 함량차이가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4종의 시험균주에 대한 항균 test 결과 시험 균주 모두에서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고, 그중 특히 Salmonella typhimurium 균주에 대하여 가장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시료간에 큰 차이는 없었다 수소공여능은 55.94~78.67%로 대체로 0.1% BHT보다 높게 나타났고, 아질산염소거능은 62.93~83.24%로 나타났으며, 우리나라에서 채취한 3종의 시료가 수입시료인 S사 제품에 비하여 수소공여능 및 아질산염소거능 모두 높게 나타났다. Linoleic acid에 대한 과산화물가는 대조구에 비하여 현저히 낮게 나타나 수입원료 1종과 우리나라 채취 3종의 제품 모두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용담초 추출물의 화장품 소재로서 약리활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Pharmacological Activation as Cosmetic Material of Gentianae scabrae bunge Extract)

  • 최형욱;인명희;문연자;임규상;우원홍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23-229
    • /
    • 2015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ethanol extracts from Gentianae scabrae bunge (GSB) on the activities of antioxidant, whitening and anti-inflammation. Viability of cells was measured by neutral red (NR) assay, and inhibitory effects of GSB on melanin synthesis was determined the melanin production in B16F10 cells. The expression level of matrix metalloproteinase-1 (MMP-1) in media was analyzed by ELISA kit, and nitric oxide (NO) production in RAW264.7 cells was monitored by measuring the nitrite content in culture medium. GSB showed highly efficacy in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significantly reduced melanin synthesis in B16F10 cells. MMP-1 production in UVB-stimulated human dermal fibroblast (HDF) cells was inhibited by GSB treatments. NO production was suppressed by the treatment of GSB in LPS-stimulated RAW264.7 cells. From this results, it was indicated that GSB could be utilized as anti-aging and whitening cosmetic ingredients.

통밤을 첨가한 탁주의 품질특성 및 생리활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Takju with Whole Chestnut)

  • 손종연;정일진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746-756
    • /
    • 2014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takju prepared with whole chestnut (15%, 30% and 50% with steamed rice) during fermentation. The pH level began to decrease after the secondary brewing stage. The total acid as well as the organic acid content increased during fermentation. Lactic acid and succinic acid were the main organic acids in takju fermented with whole chestnut. The level of total sugar and reducing sugars in takju fermented with whole chestnut increased at the first brewing stage and then slowly decreased after 4 days of fermentation. Also, the total number of viable cells and microbial populations such as lactic acid bacteria and yeast in the treatments increased to about 108 CFU/mL after 1 days of fermentation and then decreased gradually afterward. The ethanol content in takju fermented with whole chestnut rapidly increased during the initial 4 days of fermentation, to a maximum content of 18.2% after 8 days. The colour values of the treatment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0% and 15% chestnut content. However L value decreased, while the a and b values increased when the whole chestnut content above 30%. The total polyphenol level, electron donating ability, nitrite-scavenging ability and ferrous ion effect also increased as the ratio of whole chestnut increased. Sensory scores of takju fermented with 15% chestnut were greater than those of takju prepared by other treatments.

추출용매에 따른 단삼 추출물의 항노화 활성 (Effects of solvents on the anti-aging activity of Salvia miltiorrhiza extract)

  • 곽남;이지안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290-297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단삼 뿌리 추출물의 세포 안정성, 수렴 활성, NO 소거능, iNOS 단백질 발현량, 염증성 cytokine 분비, elastase 효소 저해능, type I pro-collagen 합성능 등을 조사하여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단삼 80% 에탄올추출물(SE)과 열수추출물(SW)을 대상으로 NHDF 및 RAW264.7 세포에서 0.05~0.5 mg/mL 농도 처리에 따른 독성을 보이지 않아 수렴, 염증, 주름 개선 효능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수렴활성 측정 결과 SE는 10 mg/mL에서 74.6%의 활성을 나타냈다. SE는 농도 의존적으로 LPS에 의해 유도된 NO, iNOS 단백질, TNF-α 및 IL-6 cytokine의 생성을 유의미하게 감소시켰다. 게다가 SE와 SW는 elastase 효소 활성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TNF-α에 의해 감소된 pro-collagen의 생성을 증가시켰다. 따라서 단삼 에탄올추출물은 수렴제, 염증 관련 피부 질환, 주름 생성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천연 화장품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마늘의 마이크로웨이브 추출 특성과 갈변억제 효과 (Extraction Characteristics and Browning Inhibitory Effects of Fresh Garlic by Microwave-assisted Extraction)

  • 강덕순;정승원;권중호;김현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91-297
    • /
    • 2000
  • 마늘을 MAE방법에 의하여 물과 에탄올로 추출한 후 기능성과 갈변억제 효과를 비교하였다. 에탄올, 물 추출물의 수율은 5분 동안 추출한 경우 각각 12.9% 및 12.7%이었고 추출시간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며 비교적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Polyphenol 함량은 5분 추출물이 각각 574.3mg% 및 569.0mg%로 가장 높았다. 에탄올과 물 추출물의 전자공여작용은 20분 추출물의 경우 각자 17.0% 및 20.7% 수준으로 가장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아질산염 소거작용은 pH 1.2일 때 5분 동안 추출한 추출물이 각각 98.9% 및 99.7%로 가장 높았으며 pH가 증가할수록 효과가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Angiotensin I-converting enzyme 저해 효과는 물 추출물의 경우 5분 추출물이 83.1%로 가장 높은 것에 비해 에탄올 추출물은 87.1%로 20분 동안 추출 하였을 때 그 값이 제일 높았다. Tyrosinase 저해효과는 물 및 에탄올 추출물 모두 30%이하로 매우 낮은 효과를 나타내었으나 15분 에탄올 추출물은 60%이상의 값을 나타내었다. 이들 물과 에탄올 추출물에 대해 0.1% ascorbic acid, citric acid 및 cysteine으로 10일 동안 갈색 억제 효과를 측정한 결과 모든 처리구에 비해 0.1% cysteine이 가장 높은 갈변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0.1% ascorbic acid는 cysteine보다는 낮은 갈변 억제 효과를 보였으며 0.1% citric acid는 대조구와 비슷한 갈변화 진행을 나타내었다. 갈색화 억제 상승 효과는 0.1% cysteine과 ascorbic acid를 첨가한 실험구가 citric acid를 첨가한 실험구에 비해 효과적인 갈색화 억제를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