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itrate synthesis inhibitory effect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9초

기생초 꽃 추출물의 생리활성 (Biological Activities of Coreopsis tinctoria Nutt. Flower Extracts)

  • 황인국;김현영;신소림;이철희;이준수;장금일;정헌상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8권5호
    • /
    • pp.857-863
    • /
    • 2010
  • 기생초 꽃의 생리활성을 평가하여 천연물 유래 기능성 소재를 개발하기 위하여 에탄올 추출물 및 용매분획물의 항산화활성, ACE 저해활성, ${\alpha}$-glucosidase 억제능, 항염활성 및 항암활성을 측정하였다. 에탄올 추출물의 DPPH radical 소거 활성($IC_{50}$)과 ABTS radical 소거활성은 각각 $0.100mg{\cdot}mL^{-1}$ 및 3.427 AEAC였으며, 용매분획물 중 ethyl acetate 분획물이 각각 $0.034mg{\cdot}mL^{-1}$ 및 15.785AEAC으로 가장 높았으며, ACE 저해활성 및 ${\alpha}$-glucosidase 억제활성도 각각 40.96% 및 $0.125mg{\cdot}mL^{-1}$로 ethyl acetate 분획물이 우수하였다. 또한 에탄올 추출물, chloroform 및 ethyl acetate 분획물에서 세포독성 없이 효과적으로 NO의 생성을 억제하였고, 대장암 세포주에 대한 에탄올 추출물, n-hexane, chloroform 및 ethyl acetate 분획물의 $IC_{50}$값은 각각 0.208, 0.041, 0.142 및 $0.107mg{\cdot}mL^{-1}$으로 우수한 증식억제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기생초 꽃의 우수한 생리활성을 이용한 기능성 소재로의 활용이 가능 할 것으로 판단된다.

목련(Magnolia denudata Desr.) 꽃 추출물의 생리활성 (Biological Activities of Magnolia denudata Desr. Flower Extracts)

  • 노진우;황인국;정은미;김현영;장성준;정헌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11호
    • /
    • pp.1478-1484
    • /
    • 2009
  • 목련 꽃 에탄올 추출물과 용매분획물에 대한 항산화활성, 항암활성 및 항염증활성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목련꽃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216.14 및 86.93 mg/g이었고, DPPH법에 의한 항산화활성의 $IC_{50}$값은 0.232 mg/mL이었으며, 용매분획물 중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우수한 항산화활성을 보였다($IC_{50}$: 0.197 mg/mL, AEAC: 0.90 mg AA eq/100 mg). 또한 에탄올 추출물 및 용매분획물은 대장암, 폐암 그리고 간암세포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낮은 농도에서 증식억제효과를 보였으며, 클로로포름 분획물은 리포폴리사카라이드 유도 일산화질소 생성 저해효과를 보였다($IC_{50}$: 49.5 $\mu$g/mL).

Influence of Nitric Oxide on Steroid Synthesis, Growth and Apoptosis of Buffalo (Bubalus bubalis) Granulosa Cells In vitro

  • Dubey, Pawan K.;Tripathi, Vrajesh;Singh, Ram Pratap;Sastry, K.V.H.;Sharma, G.Taru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4권9호
    • /
    • pp.1204-1210
    • /
    • 2011
  •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sodium nitroprusside (SNP), a nitric oxide (NO) donor on steroid synthesis, growth and apoptosis of buffalo granulosa cells (GCs) in vitro. Follicular fluid of antral follicles (3-5 mm diameter) was aspirated and GCs were cultured in 0 (control), $10^{-3}$, $10^{-5}$, $10^{-7}$, $10^{-9}\;M$ of SNP for 48 h. To evaluate whether this effect was reversible, GCs were cultured in presence of $10^{-5}\;M$ SNP+1.0 mM $N^{\omega}$-nitro-L-arginine methyl ester (L-NAME) a NO synthase (NOS) inhibitor or hemoglobin (Hb, $1.0{\mu}g$) as NO scavenger. Nitrate/nitrite concentration was evaluated by Griess method, progesterone and estradiol concentrations by RIA and apoptosis by TUNEL assay. SNP ($10^{-3}$, $10^{-5}$, $10^{-7}\;M$) significantly (p<0.05) inhibited estradiol and progesterone synthesis, growth, disorganized GCs aggregates and induced apoptosis in a dose dependent manner. However, $10^{-9}\;M$ SNP induced the progesterone synthesis and stimulated GCs to develop into a uniform monolayer. Combination of SNP $10^{-5}$ M+L-NAME strengthened the inhibitory effect while, SNP+Hb together reversed these inhibitory effects. In conclusion, SNP at greater concentrations ($10^{-3}$, $10^{-5}$ and $10^{-7}\;M$) has a cytotoxic effect and it may lead to cell death whereas, at a lower concentration ($10^{-9}\;M$) induced progesterone synthesis and growth of GCs. These findings have important implications that NOS derived NO are involved at physiological level during growth and development of buffalo GCs which regulates the steroidogenesis, growth and apoptosis.

참깨 뿌리배양에 의한 hydroxymethylfurfrual 생산 (Production of Hydroxymethylfurfrual by Sesamum indicum L. Root Cultures)

  • 천재안;이진우;이영병;홍성식;조강진;정정한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12호
    • /
    • pp.1836-1840
    • /
    • 2009
  • 참깨의 뿌리를 바이오촉매로 이용한 뿌리 배양을 통하여 HMF를 생산하기 위하여 뿌리의 생장과 HMF의 합성에 적합한 뿌리배양 조건을 탐색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NAA(naphthalene acetic acid), silver nitrate의 적정 농도조건 및 적정 배양온도 조건에 대한 실험이 수행되었다. 뿌리의 생장이 가장 높은 처리구는 $30^{\circ}C$에서 NAA의 농도가 1.0 mg/l로 첨가된 처리구에서 측정되었으며, 평균적으로 볼 때 두 배양 온도($25^{\circ}C$$30^{\circ}C$)간에는 뿌리의 생장차이는 측정되지 않았다. NAA가 첨가되지 않은 처리에서는 두 배양온도 모두에서 참깨의 뿌리생장이 전혀 생기지 않은 반면에, NAA가 첨가된 배양에서는 두 배양온도에서 뿌리의 생장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0.5 mg/l의 질산은이 첨가된 처리구에서 참깨의 뿌리생장이 가장 높게 측정되었으며, $25^{\circ}C$에서 배양된 처리구 보다는 $30^{\circ}C$에서 배양된 뿌리의 생장이 약간 높게 나타났고, 질산은의 농도가 0.5 mg/l 이상의 높은 농도에서는 뿌리의 생장이 오히려 감소되는 경향이 있었다. 그리고 HMF의 합성의 경우 가장 높게 측정된 처리구는 배양온도 $25^{\circ}C$에서 NAA 0.5 mg/l이 첨가된 처리구에서 측정된 반면에 NAA 무처리구에서는 HMF 합성이 측정되지 않았다. 질산은이 첨가된 처리구에서는 HMF의 합성이 오히려 억제되는 경향을 보여준 반면에 질산은의 무처리구에서 HMF의 합성이 가장 높은 결과가 나타났다. 질산은의 농도가 0.5, 1.0 및 1,5 mg/l로 처리된 구에서는 질산은 무처리구에 비해서 약 8-10% 정도의 HMF 합성이 감소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두 배양 온도($25^{\circ}C$$30^{\circ}C$ 배양) 간에도 HMF의 합성에는 차이가 보이지 않았다.

흰쥐의 염증반응에 대한 CW-501027과 CW-501029의 억제효과 (The Inhibitory Effect of CW-501027 and CW-501029 on the Anti-inflammatory Action in Rats)

  • 정지훈;심재호;양성준;민영실;송현주;우재광;김용성;조영래;손의동
    • 약학회지
    • /
    • 제48권6호
    • /
    • pp.317-322
    • /
    • 2004
  • The use of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s) is limited by their ability to induce gastrointestinal injury. It has been shown that nitric oxide (NO), similar to pro staglandins (PGs), appears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gastric mucosal defence. We hypothesized that NSAIDs contained NO group would be less acutely toxic to the gastric mucosa, but would not interfere with their ability to suppress inflammatory process in rats. We have compared the ulcerogenic and anti-inflammatory effect of CW-501029 (NO-NSAIDs), CW-501027 (NSAIDs) and indomethacin. Both did not change mean blood pressure and heart rates, indicating that they had no side effect on cardiovascular system. We found that CW-501029 increased nitrite/nitrate levels without changing of blood pressure and heart rates. We suggest that it may help gastric mucosal blood flow, the which helps reducing the discomfort in astrointestinal system. Carrageenan-induced PGE2 increase was reduced in a similar tendency when compared CW-501027 or CW-501027 with control in back exudate of rats, but CW-501029 less reduced PGE2 than CW-502027 or indomethacin in gastric tissues. CW-501027 or CW-501029 reduced platelet aggregation. From these results we suggest that CW-501029 may improve the side effect by reduction of short-term gastric injury and less inhibition of PGs synthesis.

수도묘(水稻苗)의 Butachlor 흡수(吸收) 및 약해발생(藥害發生) 특성(特性)에 관한 생리적(生理的) 연구(硏究) (Uptake of Butachlor by Rice Seedlings and Its Phytotoxic Action to the Physiological Activities)

  • 정봉진;권용웅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57-68
    • /
    • 1981
  • 수도묘(水稻苗)의 Butachlor(2-chloro-2',6'-diethyl-N-(carboxymethyl) acetanilide) 흡수특성(吸收特性)과 약해발생가구(藥害發生機構)를 밝히어 Butachlor의 안전사용(安全使用)에 도움을 주고자 시도(試圖)되었다. 수도품종(水稻品種) '만석(萬石)'(수원(水原)264호(號))을 사용(使用)하여 제(第)6, 7여기(葉期)까지 수경재배(水耕栽培)한 후 Butachlor를 0, 1.8, 3.6, 7.2, 10.8 또는 14.4ppm 되도록 처리(處理한) 수경액(水耕液)으로 1, 2, 4일간(日間) 생육(生育)시킨 경우와 Butachlor 처리(處理) 후(後) 정상수경액(正常水耕液)으로 교체(交替)하고 6일간(間生) 생장(生長)시킬 경우 약해(藥害)의 진전(進展) 또는 회복과정중(恢復過程中)에 일어나는 수도(水稻)의 Butachlor 흡수(吸收)에 따른 생장반응(生長反應), 수분흡수(水分吸收), 양분흡수(養分吸收), 기공(氣孔) 개폐(開閉), 질산환원효소(窒酸還元酵素)(Nitrate reductase)의 생합성(生合成) 및 분해작용(分解作用)의 변화(變化)를 검정(檢定)했고 Butachlor의 세포구성물질(細胞構成物質)들에 대한 흡착특성(吸着特性)을 비교(比較)하였으며 그 결과(結結)는 다음과 같이 요약(要約)된다. 1. 수도묘(水稻苗)의 Butachlor의 흡수(吸收)는 처리농도(處理濃度) 및 기간(期間)에 비례(比例)하여 거의 직선적(直線的)으로 증가(增加)하였다. 2. Butachlor는 지상부(地上部) 생육(生育)보다는 뿌리생육(生育)을, 지상부(地上部) 생체중(生體重) 및 출엽(出葉)보다는 초장(草長)의 생육(生育)을 더욱 저해(沮害)하였으며, 처리종료(處理終了) 후(後) 지상부(地上部) 생체중(生體重)과 출엽(出葉)은 조속(早速)히 회복(恢復)되었으나 초장(草長) 및 뿌리생체중(生體重) 생장(生長)은 4일(日) 이후(以後) 회복세(恢復勢)를 보였다. 3. Butachlor는 뿌리의 수분흡수(水分吸收)를 처리농도(處理濃度) 비례(比例)하여 곧 저해(沮害)하였고, 그 결과(結果) 엽면(葉面) 기공(氣孔)의 저항(低抗)을 증가(增加)시켰으며, 처리종료(處理終了) 후(後)에는 수분흡수력(水分吸收力)은 곧 회복(恢復)되었으나 기공(氣孔)의 개도(開度)는 서서히 회복(恢復)되었다. 4. Butachlor는 처리(處理) 전(前) 후(後) 수도묘(水稻苗)의 $NH_4^+$, $K^+$$Ca^{++}$ 같은 양(陽)이온의 흡수(吸收)에는 영향(影響)하지 않았으나 $NO_3^-$의 흡수(吸收)를 뚜렷이 저해(沮害)했고, 7.2 ppm의 고종도(高濃度)에서는 인산(燐酸)의 흡수(吸收)도 저해(沮害)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