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w freshmen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23초

대학 신입생 대상 전략교양 교과 콘텐츠의 팀티칭 운영 효과 -지역대학(중등특수교육과) 사례를 중심으로- (Effects of Team Teaching on Strategic Cultural Curriculum Contents against Freshmen -focused on case of Local University(Department of Secondary Special Education)-)

  • 류숙열;박혜성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310-326
    • /
    • 2016
  • 새로운 대학생활과 학습 환경의 적응 및 교우 교수자와의 관계 형성에 부담을 가져야 하는 대학 신입생들을 돕기 위하여 많은 대학들이 노력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 신입생들의 학교 적응 등을 돕기 위한 하나의 방안인 지역 대학 전략교양 교과('의사소통과 대인관계')의 팀티칭 운영(지도 교수 별 팀티칭 시행, 표준 교재 중심 지도 vs. 자율 멘토링 지도)의 효과성을 알아보고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충북에 소재한 신입생 대상 수강인원 31명과 교수자 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 도구는 대학 전략교양 교과 개발팀이 제공한 '의사소통능력 평가지' 및 '교과 만족도, 대학 적응감, 친밀도' 그리고 관련 의견에 대한 간단한 설문을 제작 적용하였다. 이에 대한 자료 분석은 대응 및 독립 표본 T-검정과 평정척도 평가 결과를 중심으로 실시하였다. 연구 문제에 따른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두 가지 유형의 팀티칭 교육과정 운영이 전략교양 교과의 수업목표측면(의사소통능력 개선)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알아본 결과, 표준 교재 지도 중심 운영 팀이 유의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둘째, 두 가지 유형의 팀티칭 운영에 따라 전략 교양 교과를 이수한 수강생들이 지각하고 있는 대학생활 적응 측면(대학 적응감, 친밀감)에의 변화가 어떠한지를 알아본 결과, '표준 교재 중심 운영 팀'이 각 각 유의한 차이의 변화를 나타내었음이 확인되었다. 셋째, 전략교양 교과의 이러한 팀티칭 교육과정 운영에 대해 학습자(수강생)들과 교수자들이 지각하고 있는 전반적인 교과의 만족도와 관련 의견이나 인식(강 약점, 개선 의견)그리고 기타 변화 상황 등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중심으로 지도교수 중심 팀티칭의 교수 형태와 표준 콘텐츠 운영 방안의 교육적 함의점을 고찰하고 제안과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학습역량 저하 공과대학 신입생을 위한 기초역량 증진 복습교과목 개발 및 효과성 분석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Analysis of a Review Course to Enhance Basic Competencies for Freshmen with Reduced Learning Ability in the College of Engineering)

  • 김기대
    • 공학교육연구
    • /
    • 제25권4호
    • /
    • pp.35-41
    • /
    • 2022
  • In order to enhance basic competencies for freshmen at engineering college, whose learning ability is gradually declining, a new course was developed to review basic mathematics and physics through a process of collecting opinions from fellow professors. Tests in six fields of math and physics with the same problems showed the correct answer rate rose from 24.8% at the beginning of the semester to 59.0% at the end of the semester after operating the course developed. According to the survey, the students' self-evaluated confidence on the basic competencies in 16 fields of math and physics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Students with high confidence in basic competencies also received high actual grades. General high school graduates' confidence point in basic competencies improved from 54.7 at the beginning to 75.3 points at the end of the semester, while specialized high school graduates' enhanced from 38.3 to 64.0 which is higher than that of general high school graduates at the beginning of the semester.

대학생의 대인관계와 사회적지지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Interpersonal Relation and Social Support on College Freshmen's Adaptation to College Life)

  • 송진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335-345
    • /
    • 2017
  • 새로운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고 시작하는 대학 신입생들에게 대인관계능력은 대학생이 반드시 갖추어야 할 사회적 핵심역량이다. 본 연구 대학 신입생을 대상으로 대인관계능력과 사회적지지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둔 실증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경기 지역 D대학교 신입생 268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수집된 설문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빈도분석, 기술통계, 상관관계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을 통해 나타난 본 연구의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인관계능력, 사회적지지, 대학생활 적응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대인관계능력은 대학생활 적응에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대인관계능력 하위요인의 처음관계 맺기, 권리 주장, 정서적 지지, 대인갈등 다루기 순으로 대학생활 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지지는 대학생활 적응에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사회적지지 하위요인 가운데 가족지지, 친구지지, 교수지지 순으로 대학생활 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학이라는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는데 대인관계능력과 가족, 친구, 교수의 사회적 지지는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시사하고 있어 대학생활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대인관계능력을 함양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할 필요가 있다.

언택트 시대에 가상현실 기술을 이용한 가상 학교생활 체험 콘텐츠 연구 및 개발 (Research and Development of Virtual School Life Experiencing Contents Using Virtual Reality Technology in the Untact Era)

  • 심재혁;조세홍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5권1호
    • /
    • pp.108-114
    • /
    • 2021
  • 최근 인류는 예전에는 경험하지 못하였던 '언택트(untact)'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언택트 시대의 주목할 만한 특징은 일상생활 환경에서 타인, 물체 등과 대면과 접촉을 하지 않거나 최대한으로 제한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특수한 상황을 극복하고자 ICT 등 여러 최신의 기술들이 대면과 접촉의 효과를 주기 위하여 활용되고 있다. 특히 가상현실 기술은 사용자가 능동적으로 가상의 환경, 사물, 타인과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여 실제 생활에서 경험과 최대한 유사한 효과를 제공하고 있다. 학교 신입생들 또한 언택트 시대에 새로 입학한 학교의 환경이나 학사 운영 등을 경험하고 있지 못하고 있기에 여러 불편을 겪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교의 신입생들을 위한 가상 학교생활 체험 콘텐츠에 대한 연구와 구현으로, 신입생들이 학교 건물 내외부의 활용, 수강 신청을 비롯한 학사 일정의 경험, 입학식 및 동아리 행사의 참여 등을 실제와 최대한 유사한 환경에서 실행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신입생들은 구현된 VR 콘텐츠를 통하여 새로운 학교에 쉽사리 적응할 수 있을 것이다.

문이과 통합형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이공계열 신입생의 고교 수학 및 과학 교과목 학습경험 분석: S 대학교를 중심으로 (Analysis of the Learning Experience of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 신동주;김진호
    • 공학교육연구
    • /
    • 제25권1호
    • /
    • pp.3-11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learning experiences of high school mathematics and science subjects of new students in science and engineering, and to provide basic data and respond to strengthen basic knowledge of science and engineering students in the future. The subjects of the survey were 481 freshmen in science and engineering at S University.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learning experiences of freshmen, the geometric subjects were significantly lower, which is the result of students' sensitive responses to transitional changes in the curriculum and SAT system after revision. In science, general elective subjects were higher than career elective subjects, and there was a deviation between science subjects, which is a result of reflecting the diversity and hierarchy of science subjects. Nex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in learning experience after revision compared to before the revision of the curriculum, the learning experience of Mathematics II increased significantly and the geometry decreased significantly. Both Chemistry I and II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before the revision, and Earth Science I decreased significantly. This can be seen as a result of strategic choices based on obtaining grades in the CSAT and disadvantages in college entrance exams. As a result of the study, students' sensitive reactions to changes in the high school education environment were confirmed, basic mathematics and science-related courses were opened to alleviate variations in the academic ability due to elective courses, and countermeasures tailored to each university's situation.

전문대학 식품영양과의 교육연한 연장에 관한 연구

  • 소명환;윤성식;남궁석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9-20
    • /
    • 199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e the propriety of prolongation in educational term of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at junior college in Korea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dietitian by giving substantial education. The prolongation of educational term from two to three years is necessary to cultivate a more excellent dietitian because of the following three reasons. First, the freshmen in junior colleges are poor in basic scholastic ability which is needed for the study of nutrition science. Second, many new subjects which will support the new rollers of dietitian, in accordance with social changes, should be supplemented In curriculum. Third, the subject of spot-practice for dietitian should be established as a regular course in curriculum.

  • PDF

일부 치위생과 신입생의 학과 선택 동기와 학과 SNS 이용 만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otivation to Choose a Major and Satisfaction with Social Media Usage in Dental Hygiene Freshman)

  • 장성연;오현경
    • 대한치위생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97-104
    • /
    • 2022
  • Background: Due to the declining number of students preparing for university entrance exams , the quota of universities has been decreasing continuously. This situation became increasingly diverse as new media used online, mobile, and PR tools to continuously invite students. This study is aimed at offering the helpful data to plan an effective PR strategy by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ajor selection and satisfaction of the department's social media usage among freshmen majoring in dental hygiene. Methods: The collected data from the self-reported survey with freshmen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2.0 program. The survey items were motive to select the major, social media platform that subjects used, reasons to use the media, time to visit the department's social media platform, and satisfaction level on the department's social media platform, using a 5-point Likert Scale. Results: The reasons for choosing a major were given by 32.2% and 15.9% respondents, respectively, as the vision after graduation and practice facilities. 39.9% and 31.4% used Instagram and YouTube for social media platforms, respectively, for using social media platform; 26.9% and 26.3% visited the department's social media before and after entering the university, respectively; 46.4% and 24.9% used Instagram and YouTube for department social media; and they generally satisfied with the contents of the department's social media. 40.9% of them said that information from the department's social media was useful. 33.8% of them said the information from the department's social media exceeded their expectations. 46.8% of them answered that the department's social media made the department's image positive. 33.4% got interested in the major more due to the department's social media. According to 32.1% of respondents, the department's social media was helpful in deciding on a major. With 35.4%, a positive correlation was discovered between the department's practice facilities and satisfaction on the department's social media. Conclusion: It is thought that the department's social media should try continuously by uploading the contents to meet the users' needs on a regular basis and seeking the plans to be able to collect various opinions using surveys through the related social media so that students can select the major and, moreover, lead the positive direction to adapt the university life under the unfamiliar environment after admission.

코로나 19상황에서 대학신입생들의 자아탄력성 정도에 따른 우울감과 심리적 정서의 차이 (Differences in depression and psychological emotions according to the degree of self-elasticity of college freshmen in COVID-19)

  • 양혜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3호
    • /
    • pp.75-82
    • /
    • 2020
  • 본 연구는 코로나 19상황에서 대학신입생들의 자아탄력성 정도에 따른 우울감과 심리적 정서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2020년 4월 6일부터 13일까지 온라인을 통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불충분한 설문을 제외하고 총 220부의 설문자료를 활용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자아탄력성이 평균미만인 경우가 평균이상인 경우에 비해 신입생들의 우울감 뿐 아니라 코로나 19로 인한 심리적 정서인 불안, 초조, 답답함, 무기력, 분노, 두려움, 혼란, 불신 등 모든 정서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더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재학생들의 심리적 안정과 정신적 건강을 회복하고 유지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대학의 역할과 대처 방안을 몇 가지 제안하였다.

소프트웨어 프로젝트에서 학습자 전공분야의 융합 가능성 탐색 - 컴퓨터 비전공 대학 신입생을 중심으로 - (Exploring the Convergence Possibility of Learner's Major Field in Software Project -Focus on the Non-Computer Major Freshmen-)

  • 정혜욱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2호
    • /
    • pp.263-270
    • /
    • 2020
  • 최근 여러 학문 분야와의 협력과 통합을 통한 새로운 지식의 창출과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을 갖출 수 있는 교육의 필요성이 증가됨에 따라 대학에서는 타 전공지식과 소프트웨어 소양을 겸비한 창의융합인재 양성을 위해 소프트웨어 역량 교육의 필수화를 추진하고 있다. 컴퓨터 비전공자를 대상으로 하는 소프트웨어 교육을 통해 창의융합인재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학습자가 다양한 지식을 활용 및 적용하여 문제를 스스로 해결 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컴퓨터 비전공 대학 신입생들이 소프트웨어 교과목을 이수하며 만들어낸 프로젝트와 학습자의 사전 사후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해봄으로써 소프트웨어와 학습자 전공분야와의 융합 가능성을 탐색하고 향후 컴퓨터 비전공 대학 신입생들의 소프트웨어 교육 방향에 대해 제언하고자 한다.

비대면 환경에서의 비판적 사고와 토론교육 - 공대 신입생 대상 온라인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Critical Thinking and Debate Education under Non-Face-to-Face Situation - Through Online classes for Freshmen at the Engineering College)

  • 신희선
    • 공학교육연구
    • /
    • 제24권1호
    • /
    • pp.34-45
    • /
    • 2021
  • This research is a case study about "Critical Thinking and Debate Education" class which was done for freshmen at the engineering college of "S" Women's University. Real time remote classes through LMS and ZOOM were the most effective tools under on-line circumstances, considering the fact that video lectures only cannot cultivate students' capabilities of critical thinking and communication. Throughout the analysis on students' self-reflection journals and lecture evaluations, this paper examined considerable future points and the pros and cons of "Critical Thinking and Debate Education" under online presentation and discussion situation. As research outputs, students told they could feel less nervousness and anxiety when they exercise and have a presentation because they could choose familiar space for them. In addition, students also told that they feel comfortable about both self-feedback and peer evaluation, repeatedly seeing the recorded video clip. However, on the contrary, sometimes students felt uncomfortable due to unstable internet connection through the online classes, and they also were regretful about the missing chances of interaction between a teacher and students and of intimate exchanges among students. They also told they had felt a kind of limit of enhancing their presentation skills just in front of the monitor. Considering these outcomes, this research paper points out that online education needs to be proceeded by strengthening multi layered feedback to students with the build-up of a non-face-to-face stable educational infrastructure, application of online instructional strategy, and utilization of YouTube platform and video contents. Through this research paper, I hope the new system of encompassing on/off line "Critical Thinking and Debate Education" and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can be developed soon by strengthening the strength of online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