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Team Teaching on Strategic Cultural Curriculum Contents against Freshmen -focused on case of Local University(Department of Secondary Special Education)-

대학 신입생 대상 전략교양 교과 콘텐츠의 팀티칭 운영 효과 -지역대학(중등특수교육과) 사례를 중심으로-

  • 류숙열 (유원대학교 중등특수교육과) ;
  • 박혜성 (유원대학교 중등특수교육과)
  • Received : 2016.02.25
  • Accepted : 2016.10.12
  • Published : 2016.12.28

Abstract

A lot of colleges have made continued efforts to help freshmen adapt themselves to a new school life and environment and build a decent relationship with faculty and other students.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figure out the effectiveness of team teaching(team teaching by academic advisor, standard textbook-centered guidance vs. autonomous mentoring) on strategic cultural curriculum as a way to help freshmen adapt themselves to a school life. For research subjects, 31 enrolled freshmen and 5 professors from a college in Chungbuk were selected. In terms of research tools, 'Communication Competence Assessment Sheet' provided by Strategic Cultural Curriculum Development Team and a simple questionnaire on 'curriculum satisfaction, adaptation to school and intimacy' were applied. For data analysis, paired t-test, independent samples t-test and rating scale were conducted. The study results found the followings: First, according to analysis on the effects of two different types of team teaching on the goal of strategic cultural curriculum('improvement of communication competence'), significant effects were found in a standard curriculum(textbook)-centered team. Second, when adaptation to a school life(school adaptation, intimacy) perceived by the students who completed the strategic cultural curriculum according to two different types of team teaching curriculum was analyzed, significant changes were found at standard textbook-centered guidance team. Third, this study has examined other changes, satisfaction, opinions and perception(strength, weakness, opinions for improvement) on the curriculum perceived by the students(learners) and faculty regarding about team teaching curriculum. Based on these results,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reviewed. And a suggestion and limits were presented.

새로운 대학생활과 학습 환경의 적응 및 교우 교수자와의 관계 형성에 부담을 가져야 하는 대학 신입생들을 돕기 위하여 많은 대학들이 노력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 신입생들의 학교 적응 등을 돕기 위한 하나의 방안인 지역 대학 전략교양 교과('의사소통과 대인관계')의 팀티칭 운영(지도 교수 별 팀티칭 시행, 표준 교재 중심 지도 vs. 자율 멘토링 지도)의 효과성을 알아보고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충북에 소재한 신입생 대상 수강인원 31명과 교수자 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 도구는 대학 전략교양 교과 개발팀이 제공한 '의사소통능력 평가지' 및 '교과 만족도, 대학 적응감, 친밀도' 그리고 관련 의견에 대한 간단한 설문을 제작 적용하였다. 이에 대한 자료 분석은 대응 및 독립 표본 T-검정과 평정척도 평가 결과를 중심으로 실시하였다. 연구 문제에 따른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두 가지 유형의 팀티칭 교육과정 운영이 전략교양 교과의 수업목표측면(의사소통능력 개선)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알아본 결과, 표준 교재 지도 중심 운영 팀이 유의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둘째, 두 가지 유형의 팀티칭 운영에 따라 전략 교양 교과를 이수한 수강생들이 지각하고 있는 대학생활 적응 측면(대학 적응감, 친밀감)에의 변화가 어떠한지를 알아본 결과, '표준 교재 중심 운영 팀'이 각 각 유의한 차이의 변화를 나타내었음이 확인되었다. 셋째, 전략교양 교과의 이러한 팀티칭 교육과정 운영에 대해 학습자(수강생)들과 교수자들이 지각하고 있는 전반적인 교과의 만족도와 관련 의견이나 인식(강 약점, 개선 의견)그리고 기타 변화 상황 등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중심으로 지도교수 중심 팀티칭의 교수 형태와 표준 콘텐츠 운영 방안의 교육적 함의점을 고찰하고 제안과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성희, "철학과 문학'의 만남을 통한 토론 교육: 서강대 팀티칭 사례연구," 한국교양교육학회, Vol.6, No.1, pp.71-97, 2013.
  2. 권이종, 김용구, 청소년교육개론, 경기: 교육과학사, 2011.
  3. 오영재, "대학 신입생들의 대학생활 경험에 대한 분석 연구," 교육문제연구, Vol.25, pp.141-164, 2006.
  4. L. Cook and M. Friend, "Co-teaching: Guidelines for creation effective practice," Focus on Exceptional Children, Vol.28, No.3, pp.1-16, 1995.
  5. 장충미, "대학에서 멘토링 활용에 대한 탐색," 여성연구논총, Vol.25, pp.183-202, 2010.
  6. 김영선, 서지영,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모형,"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ol.26, No.6, pp.1439-1452, 2015.
  7. 송창백, 이근우, "전문대학 '전담지도 교수제' 활성화 방안 탐색," 경북전문대학 논문집, Vol.25, pp.137-155, 2005.
  8. L. Burnett, The first year experience project report. Australia: University of Queensland, 2006.
  9. D. Rachael and Rents, "Freshmen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Depressive Symptoms, Stress, and Coping," J. of Clinic Psychology, Vol.62, No.10, pp.1231-1244, 2006. https://doi.org/10.1002/jclp.20295
  10. 서현, 송선화, "유아교육과 신입생의 대학생활적응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 교육연구, Vol.15, No.1, pp.361-391, 2010.
  11. 박미정, 함영림, 오두남, "전문대학 신입생의 의사결정역량, 대학생활적응, 대학생활 만족도 정도 및 상관성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4, pp.327-337,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4.327
  12. 이인경, 김장희, "대학 신입생의 학교 적응을 위한 교수 멘토링 교육과정의 효과," 상담학연구, Vol.12, No.2, pp.673-691, 2011.
  13. 최일수, 박상연, "경영대학 신입생들의 대학적응을 위한 동기유발프로그램의 효과," 경영교육연구, Vol.82, pp.109-128, 2013.
  14. 방희명, 박현옥, "특수교육 및 재활 전공 성인학습자의 대학생활 적응과 학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시각장애연구, Vol.26, No.3, pp.87-99, 2010.
  15. 김성식, "팀티칭에서 교사의 역할," 교원 교육, Vol.26, No.1, pp.113-137, 2010.
  16. G. Kim and J. H. You, "Effects of team teaching in a university setting a preliminary study," The Journal of Studies in Language, Vol.19, No.1, pp.23-40, 2003.
  17. M. C. Pugach and L. J. Johnson, Collaborative practitioners collaborative schools, Denver: Love, 1995.
  18. S. Qinn and S. Kanter, Team teaching: an alternative to lecture fatigue, (JC 850 005), Paper inabstract Innovation Abstracts (Eric Document Reproductive Service N. ED 251 159), 1984.
  19. 장원섭, 김선희, 민선향, 김성길, "일의 세계로의 원할한 이행을 위한 대학생 멘토링 요구 조사," 연세교육연구, Vol.15, No.1, pp.99-118, 2002.
  20. 김상호, "대학교육에서의 팀 티칭 적용을 위한 이론적 탐색,"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 pp.23-35, 1986.
  21. 유숙열, 추헌택, 대학생을 위한 진로 교육지침서: 커리어플래, 영동대학교, 2010.
  22. A. T. Halvorsen, and T. Neary, Building inclusive schools: Tools and strategies for success(2nd ed.), Boston: Allyn and Bacon, 2001.
  23. T. E. C. Smith, E. A. Polloway, J. R. Patton, and C. A. Dowdy, Teaching students with special needs in inclusive settings(4th ed.), Boston: Allyn and Bacon, 2006.
  24. 박동열, 생애고용 가능성 제고를 위한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 직업기초능력 향상 프로그램개발연구, 서울: 한국직업능력 개발원, 2006.
  25. 권두승, 조아미, 성인학습 및 상담, 경기: 교육과학사, 2011.
  26. 성은모, 진성희, 김혜경, "미래사회를 대비한 청소년의 생애학습역량지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1, pp.445-458,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1.445
  27. 김양분, 임현정, 남궁지영, 박희진, 이병식, 김위정, 2013 한국교육종단연구-한국 교육 종단연구 2005: 교교 이후 초기 성인기의 생활과 성과,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RR 2013-25, 2013.
  28. 김수미, 정경은, "대학신입생의 대학생활 적응과학업적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멘토링 프로그램효과 연구," 청소년시설환경, Vol.11, No.4, pp.201-210, 2013.
  29. 김현숙, "교수와 학생의 상호작용이 대학 생활적응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무용학회논문집, Vol.36, pp.5-19, 2003.
  30. 이영민, 임정연, "대학생의 개인특성 및 학교특성에 따른 대학생활 적응 결정요인 분석," 평생교육.HRD연구, Vol.7, No.4, pp.89-118, 2011.
  31. 정채린, 문일봉, 김영근, "방사선과 교수 의 멘토링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9, pp.613-621,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9.613
  32. M. Friend and L. Cook, Interaction: Collaboration skills for school professionals, White Plains, NY: Longman. 1996.
  33. P. Wilcox, S. Winn, and M. Fyvie-Gauld, "It was nothing to do with the university, it was just the people': The role of social support in the first-year experience of higher education," Studies in Higher Education, Vol.30, No.6, pp.707-722, 2005. https://doi.org/10.1080/030750705003400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