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sted design

검색결과 90건 처리시간 0.03초

클라우드 컴퓨팅 공동 환경의 네스티드 세션관리에서의 응용 및 오류 훅킹 (An Application and Error Hooking running on Nested Session Management of Cloud Computing Collaboration Environment)

  • 고응남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145-150
    • /
    • 2012
  • 본 논문은 규칙-기반 DEVS 모델링과 시뮬레이션 기법을 사용하면서 클라우드 컴퓨팅 공동 환경의 네스티드 세션 관리에서의 오류 감지 시스템의 성능 분석을 설명한다. 본 논문은 FDA(Fault Detection Agent)의 설계와 구축을 설명한다. FDA는 클라우드 컴퓨팅 공동 환경의 네스티드 세션 관리에서 멀티미디어 원격 제어를 위한 소프트웨어 오류를 감지하기에 적합한 에이전트이다.

효율적인 Nested Loops Join을 위한 조인순서 선정 및 인덱스 구성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the Method that to Choice Efficient Nested Loops Join Order and the Index Design)

  • ;여정모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3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877-880
    • /
    • 2013
  • 정보시스템의 기반이 되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는 데이터의 양에 따라 성능 차이가 발생한다. 데이터베이스에 관한 여러 가지 기능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여 많은 성능 저하 문제를 유발하는데, 그중에 조인 성능문제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아주 드문 경우가 아니라면 대부분의 데이터 처리는 하나 이상의 테이블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조인을 정확하게 사용하면 성능 개선에 큰 이점을 가져 올 수 있다. 본 연구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가장 기본적인 조인방식인 Nested Loops Join 방식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조인순서 선정 및 인덱스 구성에 관한 연구를 하였다. 연구 결과를 평가하기 위해서 SQL Trace을 추출한 후 성능을 비교함으로써 선정된 조인순서가 효율적인 것을 입증하였다. 또한 기존의 응답시간을 기준으로 성능평가방법보다 액세스한 데이터 블록 수를 기준으로 한 성능 평가방법이 더 근본적으로 조인 성능을 개선할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 차후에는 더 복잡한 조인 형태 및 다른 조인방식의 성능개선 방법에 관한 연구를 진행할 것이다.

포화 구동기를 갖는 선형 시스템의 이득 스케듈링 제어기 설계 (Design of Gain Scheduled Controllers for Linear Systems with Saturating Actuators)

  • 송용희;김진훈
    • 대한전기학회논문지:시스템및제어부문D
    • /
    • 제52권9호
    • /
    • pp.511-519
    • /
    • 2003
  • In this paper, we considered the design of gain scheduled controllers for linear systems with saturating actuators. Our basic idea is to design a control that uses higher control gain when the states are smaller, and lower gain when it is higher. By doing this, we can avoid the saturation and we can improve the performance. First, we derive a control and a reachable set expressed as LMI form, which minimizes not only the L$_2$ gain from the disturbance to the measured output but also the control is never saturated within this reachable set. Next, the reachable set is divided as nested subsets, and at each nested subset, the control gain is designed to minimize the L$_2$ gain and it is never saturated. Finally, the control gain is scheduled according to the status of states, i.e., the subset in which the states are located. A numerical example is presented to show that our gain scheduled control significantly improves the performance.

측정 시스템 분석 모형의 고찰 및 새로운 모형의 제안 (Review and Suggestions of Models for Measurement System Analysis)

  • 최성운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91-195
    • /
    • 2008
  • The present study contributes reviewing and suggesting various models for measurement system analysis (MSA). Measurement errors consist of accuracy, linearity, stability, part precision, repeatability and reproducibility (R&R). First, the major content presents split-plot design, and the combination method of crossed and nested design for obtaining gage R&R. Second, we propose $\bar{x}-s$ variable control chart for calculating the gage R&R and number of distinct category. Lastly, investigating the determination of gage performance curve which establishes the control specification propagating calibration uncertainties and measurement errors is described.

반응표면법을 이용한 광학미러용 일체형 유연힌지 마운트 최적설계 (Optimal Design of the Monolithic Flexure Mount for Optical Mirror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

  • 이경호;남병욱;남성식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05-213
    • /
    • 2023
  • An optimal design of a simple beam-shaped flexure hinge mount supporting an optical mirror is presented. An optical mirror assembly is an opto-mechanically coupled system as the optical and mechanical behaviors interact. This side-supporting mount is flexible in the radial direction and rigid for the remaining degrees of freedom to support the mirror without transferring thermal load. Through thermo-elastic, optical and eigenvalue analysis, opto-mechanical performance was predicted to establish the objective functions for optimization. The key design parameters for this flexure are the thickness and length. To find the optimal values of design parameters, response surface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design of experiment based on nested FCD. Optimal design candidates were derived from the response surface analysis, and the optimal design shape was confirmed through Opto-mechanical performance validation analysis.

Comparison between Overview Menu and Text Menu in Smartphone

  • Kim, Kyungdoh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529-534
    • /
    • 2013
  • Objective: This study determines which of two types of 2D menu is better on iPhone. Background: Menu systems have been important components in modern graphical user interfaces. Review of menu design studies for human-computer interaction suggests that menu design guidelines for smartphones need to be reappraised. Method: A nested factorial design was used. Twenty-four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subjects were nested within the menu type. Two types of menus are an overview menu and a text menu. Two different breadth levels are 16 and 64. The participants performed five tasks in each breadth level. A task is defined as locating a product or product class on the deepest level of the hierarchy. An Apple iPhone 2G was used. Results: The results for ANOVA indicated a lack of a significant difference for time to respond between the two types of 2D menus. The overview menu showed the better satisfaction score between the two menu types. Conclusion: Even though the differences were not significant, an overview menu tended to show better performance and preference scores than a text menu that required scrolling. Application: This study can provide menu design guidelines when 2D menus are considered for small displays in a high breadth level.

암반터널 예비설계를 위한 인공신경회로망 전문가 시스템의 개발 (Development of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Expert System for Preliminary Design of Tunnel in Rock Masses)

  • 이철욱;문현구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10권3호
    • /
    • pp.79-96
    • /
    • 1994
  • 인공신경회로망을 이용하여 터널굴착설계를 위한 전문가 시스템 NESTED를 개발하였다. 이를 위하여 지하 암반의 안정성을 평가할 수 있는 신경회로망 모델과 대표적인 암반분류법인 RMR과 Q 시스템 사이의 상관관계를 결정할 수 있는 신경회로망 모델을 사용하였다. 또한 사용된 모델과 전산화된 암반분류법 프로그램이 동일한 사용자 환경을 통해 운용될 수 있도록 통합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NESTED에 사용된 신경회로망의 구조는 역전파 학습 알고리즘을 채용한 다층 역전파 신경 회로망이다. 전문가 시스템에 필요한 지식기반을 구축하기 위해 이전의 현장 시공사례로 학습과정을 수행함으로써 불완전하거나 오류가 포함된 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공학 데이터베이스를 개발하였다. 일련의 실험을 통해 전문가 시스템을 현장사례에 적용해보고 여기서 출력된 결과를 문헌에 보고된 자료와 비교하였다. 이 결과 암반의 파괴거동을 추정하고 이에 따른 보강시기의 변화를 정확히 예측하는 신경회로망의 추론능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신경회로망 전문가 시스템을 암반터널에 적용할 경우 부족한 지질자료에 대해 합리적인 기준을 제공하고 터널의 예비설계에 필요한 보강설계를 제시할 수 있었다.

  • PDF

당뇨병 관리전략을 위한 혈당조절 관련 생활습관 요인: 국민건강영양조사 활용 코호트내 환자-대조군 연구 (Lifestyle factors related to glucose control for diabetes management strategies: Nested case control design using KNHANES data)

  • 김윤정;조은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11호
    • /
    • pp.501-510
    • /
    • 2019
  • 본 논문은 당뇨병의 관리전략 수립을 위해 일상생활에서 조절가능한 혈당조절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개인이 조절하기 어려운 성별, 당뇨병 유병기간, 당뇨병 치료방법, 교육수준, 가구소득 등을 매칭한 코호트내 환자-대조군 디자인으로 분석을 하였다. 7기 국민건강영양조사(2016-2017)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983명의 당뇨병 환자를 분석한 결과, 289명(30%)만이 당화혈색소가 6.5% 미만으로 혈당이 조절되었다. 일상생활에서 조절이 가능한 당화혈색소 조절 요인 파악하기 위해 조건부 다변량 로짓스틱 회귀분석 시행한 결과, 매칭전 코호트에서는 당뇨병 유병기간, 당뇨병 치료 여부, 매칭 코호트에서는 체질량지수, 흡연, 안저검사가 당화혈색소 달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결과는 집중 관리가 필요한 대상선정(장기 유병기간, 약물치료 대상자) 및 생활습관(체질량지수, 흡연, 안저검사 등) 관리전략을 마련하는데 근거자료로 활용되고, 지역사회내 국민건강 증진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OQL 질의 처리기를 위한 중첩 질의 구조 제거용 전위 모듈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n Unnesting Front-End Module for an OQL Query Processor)

  • 정승진;정진완;김형주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6권1호
    • /
    • pp.11-20
    • /
    • 2000
  • ODMG의 표준 객체 질의어인 OQL을 비롯하여, 최근 여러 객체 질의어에서는 위치에 관계없이 select, from, where절 어디서나 중첩구조를 자유롭게 허용하여 여러가지 복잡하고 다양한 형태의 중첩 질의(nested query)를 표현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중첩 질의는 질의 처리기(query processor)의 성능에 중요한 영향을 끼치므로, OQL 질의 처리기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중첩 질의를 최적화하는 방안을 반드시 마련하고 있어야 한다. 본 논문은 중첩 OQL 질의의 최적화 기능을 제공하는 중첩질의 구조 제거용 전위 모듈(unnesting front-end)을 설계, 구현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중첩 질의 처리 능력을 가진 질의 처리기를 새롭게 구현하거나 이미 존재하는 질의 처리기를 확장하여 중첩 질의 처리 기능을 추가하고자 할 때, 중첩 구조 제거(unnesting)를 위한 구현자의 구현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이는 중첩 질의 구조 제거용 전위 모듈에서 사용하는 대수 연사자와 질의 최적화 모듈에서 사용하는 대수 연사자(algebraic operator)를 분리함으로써 가능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