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gative opinion

검색결과 339건 처리시간 0.033초

뉴스와 주가 : 빅데이터 감성분석을 통한 지능형 투자의사결정모형 (Stock-Index Invest Model Using News Big Data Opinion Mining)

  • 김유신;김남규;정승렬
    • 지능정보연구
    • /
    • 제18권2호
    • /
    • pp.143-156
    • /
    • 2012
  • 누구나 뉴스와 주가 사이에는 밀접한 관계를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그래서 뉴스를 통해 투자기회를 찾고, 투자이익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그렇지만 너무나 많은 뉴스들이 실시간으로 생성 전파되며, 정작 어떤 뉴스가 중요한지, 뉴스가 주가에 미치는 영향은 얼마나 되는지를 알아내기는 쉽지 않다. 본 연구는 이러한 뉴스들을 수집 분석하여 주가와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 분석하였다. 뉴스는 그 속성상 특정한 양식을 갖지 않는 비정형 텍스트로 구성되어있다. 이러한 뉴스 컨텐츠를 분석하기 위해 오피니언 마이닝이라는 빅데이터 감성분석 기법을 적용하였고, 이를 통해 주가지수의 등락을 예측하는 지능형 투자의사결정 모형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모형의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마이닝 결과와 주가지수 등락 간의 관계를 통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뉴스 컨텐츠의 감성분석 결과값과 주가지수 등락과는 유의한 관계를 가지고 있었으며, 좀 더 세부적으로는 주식시장 개장 전 뉴스들과 주가지수의 등락과의 관계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뉴스의 감성분석 결과를 이용해 주가지수의 변동성 예측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렇게 도출된 투자의사결정 모형은 여러 유형의 뉴스 중에서 시황 전망 해외 뉴스가 주가지수 변동을 가장 잘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분류정확도는 주가하락 시 70.0%, 주가상승 시 78.8%이며 전체평균은 74.6%로 나타났다.

의도된 의견 대상의 추출을 위한 경험적 방법 (A Heuristic Method for Extracting True Opinion Targets)

  • 소윤규;김한우;정성훈;김동주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9호
    • /
    • pp.39-47
    • /
    • 2012
  •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특정 상품에 관한 의견을 표현할 때 그 상품이 갖는 개별속성에 대해 긍부정 성향을 표시한다. 어떤 경우에는 상품이 갖는 동질의 개별 속성에 대해 포괄적으로 긍부정 성향을 표현하거나 상품 자체에 대해 표현하기도 한다. 따라서 의견검색 분야에서 추출 대상이 되는 의견 속성명에는 상품의 개별 속성명, 이 개별 속성들을 포함하는 전체어, 그리고 상품명이 존재한다. 그러나 의견 대상을 상품명이나 전체어로 표현할 때, 경우에 따라 의견문장 표면에 나타나는 속성명과 의견 작성자가 의도한 실제 대상이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의견문장으로부터 의견 대상을 추출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무엇보다 우리는 의도한 대상과 일치하지 않는 속성명으로부터 의도한 대상을 추출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을 제안한다. 제시하는 방법에서는 단어간 의존관계를 이용하여 의견속성 후보쌍을 추출하고, 추출된 후보쌍들 중 의견 대상과 일반적으로 빈번히 불일치하는 속성명을 선택한다. 선택된 속성명을 작성자가 의도한 개별속성으로 변경한 뒤, 이를 포함한 전체 의견속성 후보쌍들로부터 적합한 의견속성을 추출하기 위해 사람들이 관심 있어할만한 순으로 재배열하게 된다.

온라인 구전정보 수용자의 지각된 정보유용성과 자기효능감이 구전정보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의견고수와 구전수용의 비교 (Investigating the Influence of Perceived Usefulness and Self-Efficacy on Online WOM Adoption Based on Cognitive Dissonance Theory: Stick to Your Own Preference VS. Follow What Others Said)

  • 이정현;박주석;김현모;박재홍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23권3호
    • /
    • pp.131-154
    • /
    • 2013
  • New internet technologies have created a revolutionary new platform which allows consumers to make decision about product price and quality quickly and provides information about themselves through the transcript of online reviews. By expressing their feelings toward products or services on virtual opinion platforms, users extend their influence into cyberspace as electronic word-of-mouth (e-WOM). Existing research indicates that an impact of eWOM on the consumer decision process is influential. For both academic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investigating this phenomenon of information sharing in online website is essential given the increasing number of consumers using them as sources of purchase decisions. It is worthwhile to examine the extent to which opinion seekers are willing to accept and adopt online reviews and which factors encourage adoption. Discerning the most motivating aspects of information adoption in particular, could help electronic marketers better promote their brand and presence on the internet.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how online WOM influences a persons' purchase decision by discovering which factors encourage information adoption. Especially focused on the self-efficacy, this research investigates how self-efficacy affects on information usefulness and adoption of online information. Although people are exposed to same review or comment about product or service, some accept the reviews while others do not. We notice that accepting online reviews mainly depends on the person's preference or personal characteristics.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s this issue by using cognitive dissonance theory. Specifically, in the movie industry, we address few questions-is always positive WOM generating positive effect? What if the movie isn't the person's favorite genre? What if the person who is very self-assertive so doesn't take other's opinion easily? In these cases of cognitive dissonance, is always WOM generating same result? While many studies have focused on one direct of WOM which indicates positive (or negative) informative reviews or comments generate positive (or negative) results and more (or less) profits, this study investigates not only directional properties of WOM but also how people change their opinion towards product or service positive to negative, negative to positive through the online WOM. An experiment was conducted quantitatively by using a sample of 168 users who have experience within the online movie review site, 'Naver Movie'. Users were required to complete a survey regarding reviews and comments taken from the real movie page. The data reflected user's perceptions of online WOM information that determined users' adoption level. Analysis results provide empirical support for the proposed theoretical perspective. When user can't agree with the opinion of online WOM information, in other words, when cognitive dissonance between online WOM information and users' preference occurs, perceived self-efficacy significantly decreases customers' perception of usefulness. And this perception of usefulness plays an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users' intention to adopt online WOM information. Most of researches have been concentrated on characteristics of online WOM itself such as quality or vividness of information, credibility of source and direction of online WOM, etc. for describing effect of online WOM, but our results suggest that users' personal character (e.g., self-efficacy) plays decisive role for acceptance of online WOM information. Higher self-efficacy means lower possibility to accept the information that represents counter opinion because of cognitive dissonance, whereas the people that have lower self-efficacy are willing to accept the online WOM information as true and refer to purchase decision. This study suggests a model for understanding role of direction of online WOM information. Also, our result implicates the importance of online review supervision and personalized information service by confirming switching opinion negative to positive is more difficult than positive to negative through the online WOM information. This implication would help marketers to manage online reviews of their products or services.

의견정보 모니터링을 위한 웹 마이닝 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Web Mining System for Real-Time Monitoring of Opinion Information Based on Web 2.0)

  • 주해종;홍봉화;정복철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149-157
    • /
    • 2010
  • 최근에 인터넷 사용이 점차 활발해 짐에 따라, 다른 사람들이 인터넷 상에 올려놓은 의견정보를 참조하고자 하는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인터넷상에존재하는의견들은개개의웹사이트들에만존재하여, 이러한 의견정보들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일일이 이러한 개개의 모든 웹사이트를 수동으로 찾아보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은 웹 콘텐츠에서의 통계기반 웹 마이닝(Web Mining)을 통한 의견 추출 및 분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인터넷 상에 존재하는 여러 웹사이트들에 흩어져 있는 웹문서에서 사용자 의견정보들을 자동으로 추출 및 분석한다. 또한, 긍정/부정 의견별로 실시간으로 검색 및 통계를 확인할 수 있는 의견정보 검색 서비스를 간편하게 제공할수 있으며, 의견정보 검색 사용자들은 특정 키워드에 대하여 다른 사용자들의 의견정보를 손쉽게 실시간으로 검색 및 모니터링(Monitoring)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제안한 기법들은 기존의 다른 기법들과의 비교 실험을 수행하여 실제 성능이 우수함을 증명하였다. 성능 평가는 긍정/부정 의견정보를 추출하는 기능의 성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적용 사례로 대표적인 영화 리뷰 문장 실험 데이터를 대상으로 실험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오피니언 분류의 감성사전 활용효과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Using Sentiment Lexicon in Opinion Classification)

  • 김승우;김남규
    • 지능정보연구
    • /
    • 제20권1호
    • /
    • pp.133-148
    • /
    • 2014
  • 최근 다양한 정보채널들의 등장으로 인해 빅데이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의 가장 큰 원인은, 스마트기기의 사용이 활성화 됨에 따라 사용자가 생성하는 텍스트, 사진, 동영상과 같은 비정형 데이터의 양이 크게 증가하고 있는 것에서 찾을 수 있다. 특히 비정형 데이터 중에서도 텍스트 데이터의 경우, 사용자들의 의견 및 다양한 정보를 명확하게 표현하고 있다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텍스트에 대한 분석을 통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자 하는 시도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텍스트 분석을 위해 필요한 기술은 대표적으로 텍스트 마이닝과 오피니언 마이닝이 있다. 텍스트 마이닝과 오피니언 마이닝은 모두 텍스트 데이터를 입력 데이터로 사용할 뿐 아니라 파싱, 필터링 등 자연어 처리기술을 사용한다는 측면에서 많은 공통점을 갖고 있다. 특히 문서의 분류 및 예측에 있어서 목적 변수가 긍정 또는 부정의 감성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전통적 텍스트 마이닝, 또는 감성사전 기반의 오피니언 마이닝의 두 가지 방법론에 의해 오피니언 분류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텍스트 마이닝과 오피니언 마이닝의 특징을 구분하는 가장 명확한 기준은 입력 데이터의 형태, 분석의 목적, 분석의 결과물이 아닌 감성사전의 사용 여부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오피니언 분류라는 동일한 목적에 대해 텍스트 마이닝과 오피니언 마이닝을 각각 사용하여 예측 모델을 수립하는 과정을 비교하고, 결과로 도출된 모델의 예측 정확도를 비교하였다. 오피니언 분류 실험을 위해 영화 리뷰 2,000건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실험 결과 오피니언 마이닝을 통해 수립된 모델이 텍스트 마이닝 모델에 비해 전체 구간의 예측 정확도 평균이 높게 나타나고, 예측의 확실성이 강한 문서일수록 예측 정확성이 높게 나타나는 일관적인 성향을 나타내는 등 더욱 바람직한 특성을 보였다.

2012년, 2014년과 2016년의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에 대한 빅데이터와 오피니언 마이닝을 통한 비교 (Comparison of the Center for Children's Foodservice Management in 2012, 2014, and 2016 Using Big Data and Opinion Mining)

  • 정은진;장은재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23권2호
    • /
    • pp.192-201
    • /
    • 2017
  • This study compared the Center for Children's Foodservice Management in 2012, 2014, and 2016 using big data and opinion mining. The data on the Center for Children's Foodservice Management were collected from the portal site, Naver, from January 1 to December 31 in 2012, 2014, & 2016 and analyzed by keyword frequency analysis, influx route analysis of data, polarity analysis via opinion mining, and positive and negative keyword analysis by polarity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nursery had the highest rank every year and education supported by Center for Children's Foodservice Management has increased significantly. The influx of data has increased through the influx route analysis of data. Blog and $caf\acute{e}e$, which have a considerable amount of information by the mother should be helpful for use as public relations and participation recruitment paths. By polarity analysis using opinion mining, the positive image of the Center for Children's Foodservice Management was increased. Therefore, the Center for Children's Foodservice Management was well-suited to the purpose and the interests of the people has been increasing steadily. In the near future, the Center for Children's Foodservice Management is expected have good recognition if various programs to participate with family are developed and advertised.

심리학적 감정과 소셜 웹 자료를 이용한 감성의 실증적 분류 (Empirical Sentiment Classification Using Psychological Emotions and Social Web Data)

  • 장문수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563-569
    • /
    • 2012
  • 소셜 웹이 확산되면서 오피니언 마이닝 혹은 감성 분석 연구가 주목을 받고 있다. 감성 분석을 위해서는 감성을 판별하기 위한 감성자원이 제공되어야 한다. 기존 감성 분석에서는 감성의 극성에 대한 강도를 표현하는 방법으로 리소스를 구축하고 이를 통하여 의견의 극성을 결정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의견의 극성뿐만 아니라 긍/부정의 근거가 되는 감성의 카테고리를 구성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합리적인 분류를 위하여 심리학적 감정들을 초기 감성으로 정의한다. 그리고 실제로 소셜 웹에서 사용되는 감성의 분포를 얻기 위하여 소셜 웹의 텍스트를 분석하여 감성 정보를 추출한다. 추출한 감성 정보를 이용하여 초기 감성들을 재분류함으로써 소셜 웹을 위한 감성 카테고리를 구성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 방법을 통하여 23개의 감성 카테고리를 제시한다.

우리나라 여대생의 배우자 선택 및 결혼관에 관한 조사연구 (A Study on the View of Choice of Spouse and Marriage of Unmarried Women's College Students)

  • 김영옥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29-43
    • /
    • 199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view of the choice of spouse and marriage of unmarried women's college students. Most respondents in this study think that the optimum age for marriage is 27 and prefer a seniority in age of 3-4 years who feels in love as the future husband. Also, they wish that the job of future husband be a technical expert. Approximately 63% of respondents recognize the necessity of marriage but 38% of respondents do not show a positive opinion for marriage. They also expect the emotional stabilization or partnership from marriage. Majority of respondents show a negative response to the marriage as means to solve economic difficulties. However, only 25.9% of respondents strongly show the negative opinion. In the acquaintance of the opposite sex in the purpose for marriage, most respondent are negative. However, they are positive in keeping virginal purity prior to marriage. Also, it has revealed that respondents want a partnership through allotment in domestic duties including baby sitting rather than household management through patriarchal system. In household economy, they prefer sharing living expenses and having a job after marriage. In choosing an ideal husband, although the academic background is considered as an important factor, but the present occupation is more important than the academic background. Also, one of the priority to choosing a spouse is influenced by each household circumstance and economic balance. About half of respondents want their parents-in-law to be alive, however, few respondents want to live together with parents-in-law.

  • PDF

Does Instagram Have More Negative Impa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The Case of Korean College Students

  • Indeok Song
    • Asian Journal for Public Opinion Research
    • /
    • 제11권1호
    • /
    • pp.4-30
    • /
    • 2023
  • Previous research has empirically demonstrated the negative effects of social media use on young people's psychological well-being. Unlike most previous studies that focused on either Facebook or Instagram, this study comparatively examined the differences in upward comparison and its effects on self-esteem,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between Facebook and Instagram. An analysis of survey data from 641 Korean college students, who reportedly use these two social media more actively than any other age group, found that college students experience more upward comparisons on Instagram than on Facebook. Upward comparisons on both Facebook and Instagram increased by college students' age and weekly usage time. Upward comparisons on Instagram increased by the additional factors of gender (females more than males) and number of "followings." Subsequently, the effects of upward comparison on psychological well-being were found to differ by social media platform. Upward comparisons were found to negatively impact all determinants of psychological well-being only on Instagram, but not on Facebook. The differences in upward comparison and its impact on young users' psychological well-being found in this study were discussed in terms of the different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two social media platforms, which provides direction for further research needed to establish guidelines for healthy social media use by young people.

단어패턴 빈도를 이용한 단문 오피니언 문서 분류기법의 실험적 평가 (An Experimental Evaluation of Short Opinion Document Classification Using A Word Pattern Frequency)

  • 장재영;김일민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243-253
    • /
    • 2012
  • 데이터 마이닝의 문서분류 기술에서 발전된 오피니언 마이닝은 이제 국외뿐만 아니라 국내 산업에서 중요한 관심분야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오피니언 마이닝의 핵심은 문서에서 감정 단어를 추출하여 긍정/부정 여부를 얼마나 정확하게 판별하느냐를 평가하는 것이다. 국내에서도 이에 관련된 많은 연구가 이루어 졌으나 아직 실용적으로 적용할 만큼의 분류 정확도를 보이지 않고 있다. 한국어의 경우 비문법적 표현, 감정단어의 다양성 등으로 인해 문서의 극성을 판별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문법적 요소를 최대한 배제하고 단어패턴의 빈도만을 고려한 새로운 오피니언 문서 분류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에서는 문서를 단어들의 리스트로 추상화한 후, 패턴들의 빈도를 이용하여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적용한다. 이후에 적절한 스코어 함수를 적용하여 문서의 극성을 판별한다. 또한 제안된 기법의 정확도를 평가하기 위해서 실험결과를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