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ural killer cell activity

검색결과 215건 처리시간 0.028초

인삼의 지용성 추출물 투여가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ipid Soluble Ginseng Extract on Immune Response)

  • 김동청;황우익;인만진;이성동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2권1호
    • /
    • pp.19-25
    • /
    • 2008
  • 인삼의 지용성 성분을 2개월 및 6개월 동안 암환자에게 복용시킨 결과, 인삼의 지용성 성분은 CD4/CD8 비율과 자연살해세포의 수를 정상적으로 유지시킴으로써 암환자의 면역기능 유지에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인삼의 지용성 성분을 2개월간 투여한 실험군의 87.5%에서, 6개월간 투여한 실험군의50%에서 암환자의 종양수치가 낮아지거나 정상범위에서 안정하게 유지되는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인삼의 지용성 성분을 6개월간 투여한 실험군에서 간 기능을 나타내는 GOT,GPT 및 ALP 수치와 신장 기능을 나타내는 BUN과 creatinine수치도 역시 정상 범위로 유지되어 인삼의 지용성 성분의 장기 복용이 간과 신장 기능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인삼의 지용성 성분이 암환자들의 면역성 강화,간·신장 기능을 유지 및 개선시켜 건강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평가됨으로써 인삼의 지용성 성분을 암환자의 식이 및 항암보조제로서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이러한결과는 비록 통계학적인 유의성은 없지만 본격적인 임상실험의 수행을 위한 기초 자료로서 충분한 가치를 가지므로, 이를바탕으로 대단위 개체를 대상으로 하는 본격적인 추가 임상실험 연구를 수행하여 인삼의 지용성 성분이 암환자의 항암및 면역기능 강화에 효과가 있음을 임상적으로 증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Inhibitory effect of Panax ginseng and Pleurotus osteratus complex on expression of cytokine genes induced by extract of Dermatophagoides pteronissinus in human monocytic THP-1 and EoL-1 cells

  • Park, Kyeong Hun;Lee, Eun Suk;Jin, Yong Ik;Myung, Kyung Sun;Park, Hong Woo;Park, Chun Geon;Kong, Won Sik;Kim, Young Ock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155-161
    • /
    • 2016
  • A recent study reported that Pleurotus ostreatus has the potential to be used as a ${\beta}-glucan-based$ cream for supportive complementary therapy of atopic dermatitis. KH054 is a new herbal prescription consisting of P. ostreatus and Panax ginseng. The effects of atopic dermatitis-induced materials on the expression of cytokine genes in human monocytes (THP-1, EoL- 1) have been examined. Some reports demonstrated that P. ginseng augments the activity of natural killer cells, which plays an important role in innate immunity against infection and tumor development. Monocyte chemotactic protein 1 (MCP-1), interleukin (IL)-6, and IL-8 have important roles in mediating the infiltration of various cells into the skin of atopic dermatitis and psoriasis.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whether KH054 on induced IL-6, IL-8, and MCP-1 secretion by house dust mite (Dermatophagoides pteronissinus) in THP-1 (human acute monocytic leukemia) and EoL-1(Human eosinophilic leukemia) cell. D. pteronissinus functions in the pathogenesis of allergic diseases, including atopic dermatitis and asthma. The inhibitory effect of KH054 on the induction of IL-6, IL-8, and MCP-1 secretion by D. pteronissinus extract in THP-1 and EoL-1 cells was examined. KH054 potently suppressed the elevated production of IL-6 and IL-8 induced by D. pteronissinus treatment in THP-1 and EoL-1 cells. Based on the present results, KH054 may be useful for developing functional foods to treat atopic dermatitis.

스트레스와 면역반응에 대한 국내 논문분석 (Analysis of the Researches on Stress and Immune Responses)

  • 채영란;김금순;최명애;안경애;김명애;서순림;홍해숙;정재심;박금화;이성희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4권2호
    • /
    • pp.79-92
    • /
    • 2002
  • This study was aimed to analyze the variables measuring stress and immune response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immune responses, and to find out the effect of nursing interventions associated with stress and immune responses by reviewing thirty-four published articles since 1970 in Korea. The articles were selected in the field of nursing, stress management, and masters or doctoral dissertations and limited to human subject. Among these, the thirty-one articles were published since 1996 and mainly distributed in nursing (44.1%) and medicine(44.1%). The prevailing research design was nonequivalent control pre-post experimental design(41.1%). The research subjects were 55.9% for patients and 44.1% for healthy general persons including 20.6% of university students. To evaluate stress, both physiologic and psychosocial measures were adapted together in 35.3% of the articles. The most frequent two variables measuring stress and immune response were cortisol level(15.9%) and number or activity of natural killer cell(25.9%). The relation between stress and immune responses was positive in 4 articles, negative in 9 cases, and none in 12 cases. Decreased stress and enhanced immune function have been found when massage, abdominal breathing, exercise, relaxation, and touch were provided as nursing interventions. The article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immune function were limited and the tested variables were diverse. Also there was no consistent evidence to correlate the stress and immune function at present.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construct a valid research design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immune responses. Nursing interventions to decrease stress should be developed to result in the increased immune function and the effect of these interventions would be verified.

  • PDF

적양배추에서 분리한 다당의 면역 및 항전이 활성 (Immunomodulatory and anti-metastatic activities of polysaccharide isolated from red cabbage)

  • 이수정;신광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263-271
    • /
    • 2019
  • 적양배추 유래물의 면역 활성 및 항전이 활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적양배추 유래 열수추출물 RCW 및 조다당 RCP를 분리하였다. RCW는 중성당이 60%의 높은 비율로 검출되었으며, 이중 Glc가 28.2%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RCP는 중성당과 산성당이 각각 40.0% 및 58.9%로 이루어져 있으며, 구성당 분석 결과, Ara(27.5%)와 Gal (17.2%)가 높은 비율로 검출되었다. RCW와 RCP는 정상세포 및 암 세포에 대한 어떠한 독성도 나타나지 않았으며, 오히려 정상세포에서는 약간의 증식능이 확인되었다. 또한 대식세포 자극을 통한 cytokine 분비능을 측정한 결과, RCW는 IL-6, IL-12 및 $TNF-{\alpha}$ 생산능은 어떠한 농도에서도 확인되지 않았으며, $1000{\mu}g/mL$ 고농도에서 NO 생산능이 확인되었다. 반면에 RCP는 $8{\mu}g/mL$의 저농도에서도 IL-6, IL-12, $TNF-{\alpha}$ 및 NO의 생산능이 확인되었다. 높은 cytokine 생산능을 나타낸 RCP의 NK 세포 활성 및 항전이 활성을 측정한 결과, RCP를 $1000{\mu}g/mouse$농도로 정맥투여할 경우, NK 세포를 무처리군 대비 최대 12배 활성화 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47.3%의 항전이 활성이 확인되었다. 적양배추 유래 면역 활성 다당의 구조를 추정하기 위하여 ${\beta}-Glucosyl$ Yariv reagent와의 반응성을 검토한 결과, RCP $1000{\mu}g/mL$에는 약 9.7%의 $arabino-{\beta}-3,6-galactan$이 검출되었다. 본 결과로부터 적양배추에는 $arabino-{\beta}-3,6-galactan$을 일부 함유하는 RG-I 형태의 다당으로 존재하며, 이들에 의해 강력한 면역 증진 활성이 나타나는 것이라 결론지을 수 있었다.

Shewanella oneidensis PKA 1008 유래 조효소 처리에 의한 큰잎모자반(Sargassum coreanum) 추출 분해물의 면역증진 효과 (Immuno-Enhancing Effect of Enzymatic Extract of Sargassum coreanum Using Crude Enzyme from Shewanella oneidensis PKA 1008)

  • 박선희;김민지;김고은;박소영;김꽃봉우리;김연지;조영제;안동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8호
    • /
    • pp.919-928
    • /
    • 2017
  • 큰잎모자반에 함유되어 있는 다당류를 저분자화하기 위해 알긴산 분해 효소를 생산하는 Shewanella oneidensis PKA 1008의 조효소액을 첨가하여 저분자화하고 이의 면역증진능을 확인하였다. 먼저 저분자화됨을 확인하기 위하여 TLC를 실시한 결과 분해 24 h 이후부터 분해되기 시작하여 최종 60 h에서 dimers로 분해되었다. 그 후 비장세포에 큰잎모자반의 효소적 추출 분해물을 처리하여 in vitro에서 면역증진능을 확인한 결과 $IFN-{\gamma}$, IL-2, IL-6, IL-10의 경우 분해가 진행될수록 분비량이 많아졌다. 또한, 큰잎모자반의 효소적 추출 분해물을 2주 동안 마우스에 경구투여 한 결과, MTT assay 및 비장세포에서 분비되는 $IFN-{\gamma}$ 및 IL-2의 분비량의 경우 24 h 처리구에서 대조군보다 높은 수치로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함을 나타내었다. IgG2a 분비량의 경우 24 h와 48 h 처리구에서 다소 증가하였으며, NK 세포의 경우 24 h 처리구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활성이 증가하여 면역력을 증진시키는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전혈을 이용하여 일반혈액검사의 경우 24 h 및 48 h 처리군에서 대조군보다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볼 때 S. oneidensis PKA 1008 유래 조효소에 의한 큰잎모자반 효소적 추출 분해물이 면역 관련 세포증식률을 증가시키고 이에 따른 사이토카인의 분비량을 증가시키며 혈액 내 다양한 면역세포들의 수치를 증가시킴으로써 면역증진능에 탁월한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으나, 면역증진 효과에 기여하는 활성물질에 대해서는 밝혀지지 않아 그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