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ural antimicrobial substance

검색결과 49건 처리시간 0.034초

오미자로부터 항균활성 물질의 분리 및 항균효과 (Isolation of Antimicrobial Substance from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and Antimicrobial Effect)

  • 이주연;민용규;김희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389-394
    • /
    • 2001
  • 오미자 열매로부터 항균활성물질을 분리하기 위하여 methanol 조추출물의 용매분획의 항균력을 측정하였다. 항균활성을 나타낸 methanol 조추출물은 다시 여러 가지 용매로 순차적으로 분배하여 n-hexan층, dichloromethane층, ethyl acetate층, buthanol층과 water층을 얻은 다음, 이들 분배층에 대해 항균활성을 검색한 결과, ethyl acetate층에서 가장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활성이 높게 나타난 ethyl acetate층은 감압증류한 후, 여러 가지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분리, 정제한 다음, MS, $^1H-NMR,\;^{13}C-NMR,\;$, DEPT 및 2D NMR등을 이용하여 항균활성물질의 구조를 동정하였다. 그 결과 오미자의 약리기능을 나타내는 주요성분인 lignan계통의 화합물인 gomisin C로 추정되는 compound를 분리하였고, 다른 하나는 오미자의 정유성분인 trimethylcitrate로 동정하였다. 또한 오미자추출물의 균증식도와 분쇄육의 저장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식품보장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Salmonella typhimurium에 의해 문제시되는 식품에 천연보존료로서의 이용가능성을 시사하였다.

  • PDF

Monascus anka Y7이 생성하는 황색소의 항균 특성 (Antimicrobial Characteristics of Yellow-Pigment Produced by Monascus anka Y7)

  • 이호재;박미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338-342
    • /
    • 2002
  • Monascus anka Y7이 생성하는 황색소의 항균활성 특성을 규명하였다. Y7의 조황색소는 그람 양성균보다 그람 음성균에 대한 항균 활성이 더 크게 나타났으며 Candida 등과 같은 효모에 대해서도 항균활성을 나타냈다. 특히 황색소의 항균성분 중 TLC로 분리한 E2 분획은 E. coli에 대한 항균활성이 크며 373 nm에서 주된 흡광 특성을 보이고 있고 흡수 파장 범위가 장파장 부위로 넓어져 있어 외관상 진한 밝은 황색을 나타내는 형광색소이다. Y7의 조색소 및 각 TLC 분획의 HPLC분석 결과 citrinin이 검출되지 않았다. 이는 Y7의 항균 특성이 최근 Monascus 색소에서 안전성의 논란이 되고 있는 citrinin과는 무관한 것을 의미한다. 한편 E2 분획을 주로하는 조황색소는 식품에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천연황색소인 치자황색소, 아나토색소, 홍화색소보다 황색도(b/a)가 매우 높고 이들 색소와 유사한 색조를 나타내므로 항균성을 보유한 대체 황색소로서의 가치가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Rosa multiflora Thunberg Fruits Extracts

  • Cho, Young-Je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31권3호
    • /
    • pp.170-176
    • /
    • 2013
  • In this study, we selected some material to have potential bioactivity from natural plants, confirmed as basic data for industrializing and tried to develope the food materials using them. DPPH, ABTS, antioxidant protection factor, TBARs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extracts from Rosa multiflora Thunberg fruits were determined. The total phenolics extracted from Rosa multiflora were 12.08, 11.82, 11.1 and 12.6 mg/g when using water, 70% ethanol, 70% methanol and 70% acetone as the solvent, respectively. The optimum conditions for extracting the phenolic compounds were 70% ethanol over for 12 hrs(11.82 mg/g). The electron donating ability and inhibition rate on ABTS of the 70% ethanol extracts were 97% and 92.2%, respectively while the antioxidant protection factor(PF) of the water extracts and 70% ethanol extracts were 1.79 and 1.34 PF, respectively. The TBAR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 value were $1.3{\mu}M$ for the control and $0.15{\mu}M$ for the 70% ethanol extracts. The inhibitory activity against ${\alpha}$-amylase was 26% for the 70% ethanol extracts. The 70% ethanol extracts from Rosa multiflora Thunberg fruits exhibited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H. pylori, S. epidermidis, S. aureusand and E. coli with clear zone diameters of 14, 25, 14 and 13 mm, respectively when using $200{\mu}g/mL$ of the phenolic compounds. An HPLC analysis identified 6 major phenolic metabolites in the Rosa multiflora Thunberg fruits extracts: rosmarinic acid, caffeic acid, chlorogenic acid, courmaric acid, protocatechuic acid and quercetin. In particular, the content of rosmarinic acid was the highest in the 70% ethanol extracts. Therefor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70% ethanol extracts from Rosa multiflora Thunberg fruits can be useful as a natural antioxidant and in functional foods.

  • PDF

Antimicrobial and cytotoxic properties of calcium-enriched mixture cement, Iranian propolis, and propolis with herbal extracts in primary dental pulp stem cells

  • Mohammad Esmaeilzadeh;Shirin Moradkhani;Fahimeh Daneshyar;Mohammad Reza Arabestani;Sara Soleimani Asl;Soudeh Tayebi;Maryam Farhadian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48권1호
    • /
    • pp.2.1-2.12
    • /
    • 2023
  • Objectives: In this study, natural substances were introduced as primary dental pulp caps for use in pulp therapy, and the antimicrobial and cytotoxic properties of these substances were investigated. Materials and Methods: In this in vitro study, the antimicrobial properties of calcium-enriched mixture (CEM) cement, propolis, and propolis individually combined with the extracts of several medicinal plants were investigated against Enterococcus faecalis, Escherichia coli, Pseudomonas aeruginosa, and Staphylococcus aureus. Then, the cytotoxicity of each substance or mixture against pulp stem cells extracted from 30 primary healthy teeth was evaluated at 4 concentrations. Data were gathered via observation, and optical density values were obtained using the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2H-tetrazolium bromide (MTT) test and recorded. SPSS software version 23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Data were evaluated using 2-way analysis of variance and the Tukey test. Results: Regarding antimicrobial properties, thyme alone and thyme + propolis had the lowest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s (MICs) against the growth of S. aureus, E. coli, and P. aeruginosa bacteria. For E. faecalis, thyme + propolis had the lowest MIC, followed by thyme alone. At 24 and 72 hours, thyme + propolis, CEM cement, and propolis had the greatest bioviability in the primary dental pulp stem cells, and lavender + propolis had the lowest bioviability. Conclusions: Of the studied materials, thyme + propolis showed the best results in the measures of practical performance as a dental pulp cap.

Anticaries Activity of Antimicrobial Material from Bacillus alkalophilshaggy JY-827

  • Chun, Ju-Yean;Ryu, Il-Hwan;Park, Jung-Sun;Lee, Kap-Sa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2권1호
    • /
    • pp.18-24
    • /
    • 2002
  •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xcellent microbial anticaries substance, aminoglycoside antibiotic, which is more effective than chlorhexidine for the treatment of dental caries. The aminoglycoside antibiotic against Streptococcus mutans JC-2 from a novel alkaliphilic Bacillus alkalophilshaggy JY-827 exhibited no significant difference at the treatment concentration of $2.5{\times}10^{-7}M$, however, it inhibited the activity of the Streptococcus mutans glucosyltransferase by 70.2% and 99.8% at the concentrations of $2.5{\times}10^{-7}$M\;and\;2.5{\times}10^{-6}M$, respectively. Lineweaver-Burk plot of the inhibitory aminoglycoside antibiotic showed competitive inhibition, with $K_i$ value of $6.4{\times}10^{-6}$ M. The aminoglycoside antibiotic did not show any cytotoxicity against human gingival cells. To evaluate the industrial applicability of the aminoglycoside antibiotic, a toothpaste containing this substance was prepared and tested on the extracted human teeth. The inhibitory rate of tooth calcification and calcium ion elution by the aminoglycoside antibiotic were 50% and 2.5 times,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aminoglycoside antibiotic from Bacillus alkalophilshaggy JY-827 is an effective agent against dental caries.

Ethanol Extracts from Mistletoe (Viscum album L.) Act as Natural Antioxidants and Antimicrobial Agents in Uncooked Pork Patties during Refrigerated Storage

  • Kang, Suk-Nam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9권1호
    • /
    • pp.109-118
    • /
    • 2016
  • The antioxidant potential of mistletoe (Viscum album L. var. coloratum Ohwi; VAL) extract in uncooked pork patties was evaluated. Three concentrations of VAL extract (0.1 [T1], 0.5% [T2] and 1.0% [T3]) along with 0.02% ascorbic acid as a positive control (V) were added to ground pork and pork patties were prepared. Incorporation of VAL extract decreased (p<0.05) the pH of the pork patties throughout the storage time and reduced (p<0.01) the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 values after day 14 of storage. Total plate counts of the VAL extract-treated samples and V-treated samples were also significantly lower (p<0.01) than that of the control (C) throughout the storage period. In addition, odor scores of the VAL extract-treated patties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C- or V-treated samples on 3rd day of the storage period.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VAL extract acts as a natural antioxidant in uncooked pork products.

침구류 세균에 대한 테르펜의 항균 및 항진드기 효과에 대한 연구 (Study on The Antibacterial and Anti-mite Effects of Terpenes Against Bedding Bacteria)

  • 고원진;서용모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454-463
    • /
    • 2020
  • 본 연구는 최근 인간의 건강을 위협하는 다양한 원인 중에서 우리 주변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대상을 통해 그 원인의 해결을 제안하고자 시도 되었다. 천연물 유래의 테르펜의 경우 기존의 피톤치드와 같은 역할을 하고 있으며 다양한 생리활성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주변에서 용이하게 구할 수 있으며 적용이 가능한 생물소재를 통해 오염원을 제거할 수 있는 생리활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계피오일과 테르펜을 이용하여 다양한 질병과 오염원이 되고 있는 진드기와 미생물에 대한 효능을 검증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베개를 이용하여 베게 등과 같은 침구류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미생물과 진드기의 발생에 대한 작용에 대해 그 효능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로 테르펜의 항 미생물 활성은 Pour plate 방법을 사용하여 관찰하였다. 항진드기 효과는 테르펜을 사용하지 않고 첫 번째 테스트에서 베개 4개 중 2개에서 약한 양성(100 미만)으로 감지되었다. 테르펜을 사용한 두 번째 실험에서, 모든 시료들이 20 미만으로 음으로 감소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테르펜의 최상의 항진드기 효능은 20%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 연구의 목적은 천연물 유래의 테르펜을 이용한 침구용 항균 및 진드기 방지 제품의 개발 가능성을 제안하는 것이다.

품종이 다른 뽕잎추출물의 Helicobacter Pylori에 대한 항균활성 탐색과 항산화 효과 (The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Helicobacter pylori and Antioxidant effect from the extracts of Mulberry leaves (Morus Alba L.))

  • 조영제;주인식;김병오;김정환;이병구;안봉전;추재원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0권4호
    • /
    • pp.334-343
    • /
    • 2007
  • 108종의 표본묘목으로부터 채취한 뽕나무잎을 이용하여 항산화효과와 Helicobacter pylort에 대한 억제효과를 측정하였다. 항산화효과 중 DPPH에 대한 전자공여능은 물 추출물에서는 양면상 등 13종의 뽕잎에서 80% 이상의 높은 전자공여능이 확인되었으며, 80% ethanol 추출물에서는 고수9 등 59종의 뽕잎에서 80% 이상의 높은 전자공여능이 확인되어, 물 추출물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ABTS radical decolorlization을 측정한 결과 물 추출물과 80% ethanol 추출물 모두에서 대부분의 뽕잎 추출물들이 90% 이상의 높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TBARS 값은 control값이 $0.493{\times}10^{-2}{\mu}M$로 나타났으며, 물 추출물에서는 청운뽕, 도내, 축무, 사천금, 수원상 1호, 불전 2호, 오노다마구와, 야마나까다까스께를 제외한 모든 품종에서 대조구보다 낮게 나타났으며, 80% ethanol 추출물에서도 대축면을 제외한 107종의 품종에서 대조구보다 낮은 TBARS 값을 나타내어 산화촉진인자를 binding하는 능력이 뛰어난 것으로 판단되었다. TBARS와 같이 지용성 물질의 항산화력을 나타내는 antioxidant protection factor(PF)에서는 많은 종류의 뽕잎 80% ethanol 추출물에서 2이상의 높은 PF를 나타내었으며, TBARS값과 PF값 모두 80% ethanol 추출물이 물 추출물보다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뽕잎 품종별 추출물로 Helicobacter pylori균을 저해하는 물질을 탐색한 결과 108종의 뽕잎 중에서 감락상, 다호조생, 신일뽕, 국상 27호, 개량십문자, 국부, 수중상, 백광 6호, 이상, 사천금, 영변추우, 사175, 당상 2호, 청목노상 및 수중상 등 15 품종의 뽕잎에서 저해환을 나타냈으며, 그 중 물 추출물에서는 다호조생 품종이 지름 13mm의 저해환을, 알코올 추출물에서는 청목노상 품종이 지름 15mm의 저해환으로 효과가 가장 우수하여 천연 항균제 및 생리활성 물질로의 이용가능성을 추측할 수 있었다.

구름버섯 균사체 배양 추출물의 복합내성 세균에 대한 항균활성 및 활성물질의 정제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Coriolus versicolor Liquid Culture Extracts Against Antibiotic Resistant Bacteria and Purification of Active Substance)

  • 이정선;김택;이윤희;김성민;김현걸;김우중;오덕철;박용일
    • 한국균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92-97
    • /
    • 2006
  • 구름버섯 균사체를 12% 감귤 추출액에서 7일간 배양한 배양액을 열탕 추출한 후 균사체 잔사를 여과하여 제거하고, 동량의 ethyl acetate(1 : 1, v/v)로 재차 추출하였다. EA 추출물은 복합내성을 갖는 MRSA 균주인 S. aureus CCARM3230와 P. aeruginosa CCARM2171에 대해 현저한 생육저지 활성을 확인하였다. 본 추출물을 silica gel chromatography로 분획하였을 때 dichloromethane : methanol(9 : 1, v/v)의 용매조건으로 용출한 분획물의 항균활성이 가장 높았으며, 활성물질이 높은 순도의 단일 물질로 정제되었음을 HPLC 분석으로 확인하였다. 다제 내성 균주들에 대해 현저한 항균 활성을 보이고, 특히, 그람음성균인 P. aeruginosa CCARM2171과 그람양성균인 S. asures CCARM3230 균주 모두에서 현저한 항균활성을 나타낸 것은 본 추출물의 활성물질이 광범위 항균 스펙트럼을 갖는 신규의 항생물질로 개발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손바닥 선인장 분말로부터 추출된 항균물질의 특성 (Identification of Anti-Microbial Material Originated from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Makino)

  • 김해남;조대원;윤웅찬;전홍기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7호통권87호
    • /
    • pp.915-922
    • /
    • 2007
  • 본 연구자들은 동${\cdot}$서양에서 오랫동안 민간요법으로 사용되어져 왔고, 문헌에도 약리적인 작용이 기록되어 있는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Makino (손바닥 선인장, 백년초) 줄기 분말을 사용하여 항균생리활성 물질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줄기 분말을 황산으로 가수분해 처리한 후 메탄올, 메틸클로라이드, 에탄올 등의 용매로 추출하였다. 용매추출물 가운데 methylene chloride 추출물의 경우 가장 탁월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생리활성 물질을 분리 분석하기 위하여 조제용 TLC를 이용하여 산 가수분해 추출물로부터 7개의 분획물을 분리하였다. 7개 분획물 가운데 가장 광범위한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유효 분획물로 분리된 것을 MBT-01108이라 명명하였다. 산가수분해로 추출된 분획물 MBT-01108을 구조 분석한 결과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화합물이 levulinic acid임을 밝혀냈다.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Makino로부터 분리된 levulinic acid는 식품 또는 화장품의 천연 보존제로써 사용가능하리라 판단되며, 또한, 세균성 질병예방, 여드름, 노화 예방, 미백 화장품 성분, 그리고 항생제로도 사용 가능한 물질임을 밝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