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ive names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25초

"국립국회도서관건명표일표"의 한.중 관련 주제명표목에 대한 비교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Subject Headings Related to Korea and China in the NDLSH)

  • 문지현;김정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247-267
    • /
    • 2011
  • 이 연구는 일본의 대표적인 주제명표목표인 NDLSH 2008년판에 수록된 한국과 중국 관련 주제명을 추출하여 표목의 수와 주제별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 관련 주제명은 표목과 참조어를 포함하여 총 222개로, 중국 관련 주제명에 비해 33% 수준이며, 주제의 다양성이나 특정성 측면에서도 많은 한계를 나타내고 있다. 특히 현존하지 않는 '조선(朝蘇)'의 국호를 한국의 국가명으로 사용하고 있는 점이나 '발해(渤海)'를 중국의 역사로 배정한 점 등은 조속한 개정이 요구된다. 한편, 중국 관련 주제명에는 다민족국가의 특성을 반영하여 고대민족명, 소수민족의 거주 지역명, 그리고 소수민족의 언어 등 한국에는 거의 나타나지 않는 주제명이 다수 수록되어 있다.

"오만분일지형도(五萬分一地形圖)"에 나타난 20세기 초 한반도의 지명 분포와 특성 (The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Geographical Names on 1:50,000 Topographic Map of the Korean Peninsula in the Early 20th Century)

  • 김선희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87-103
    • /
    • 2008
  • 지명은 생활환경에 대한 인간의 인지적 표현이자 시 공간적으로 변화하는 역사, 문화적 산물로서 지역의 역사성과 지역성을 이해하는 유용한 기초자료이다. 본 연구는 일제시기 대축척 지도에 수록된 지명의 유형별, 지역별 분포와 빈도를 파악하고 이를 전자문화지도로 구현함으로써 시대적, 지역적 특성을 읽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20세기 초 한반도의 지명분포 양상은 지형과 지세, 인구와 경지, 군현 수, 행정 및 군사 기능 등 국토의 자연 및 인문 환경의 보편적 특성을 반영하고 있다. 또한 지명의 양태별 비중과 빈도를 통해 우리 고유지명의 변화는 물론 자원수탈, 철도부설, 국경관리, 만주경영 의욕 등 한반도 식민경영을 위한 일제의 정책적 수요와 필요에 따른 시대적 변화상을 읽을 수 있었다. 나아가 '치(峙)' '령(嶺)' '덕(德)' '항(項)' '평(坪)' '곡(谷)' 등과 같은 자연 및 인문지명어의 빈도와 분포 특성을 비교하여 당대 사람들의 환경인식과 선호경향, 지명의 명명기반과 형태 등의 지역적 차이를 확인하였는데 이는 서로 다른 지리환경적 특성에 가장 크게 영향을 받은 것으로 설명된다.

Korean Native Medicinal Plants

  • Park, Jong-Hee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0년도 정기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
    • /
    • pp.7-7
    • /
    • 2010
  • Korea is one of the Northeast Asian countries in the Northern climatic zone. It is wide spread from north to south so that can be affected by various kinds of plants flora of the continent of Asia. Korea has complicated topography, mountains and hills included by an alpine belt.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of plants, it can be classified to 5 areas; Northern part, Central part, Southern part, JeJuDo(濟州道) and UlLungDo(鬱陵島). Nakai of Japan, reported Plants in Korean peninsula as 3176 species, 841 varietal species and 174 varieties in "A Synoptical sketch of Korean flora". Lee of Korea, reported 3409 species, 6 sub-species, 756 varietal species and 287 varieties in "Korean Plants Resources". Isidoja(石戶谷) of Japan, simply described crude drug names, scientific names, effects, etc. of 45 species of Korean Medicinal Plants in the book "Journal of Jo-Seon Pharmacy(朝鮮藥學會會報)" third edition (published in 1925) and also explained 250 species of crude drug collected in Manchuria, Mongolia and Korean peninsula in the book "Medicinal plants in Northern Asia(北支那의 藥草)"(1931). Im and Jung organized 227 species of Medicinal Plants in "Wild Medicinal Plants from Jo-Seon(北支那의 藥草)" and it is said that 1000 species of plants can be used for medicinal purposes in Korea.

  • PDF

Database of National Species List of Korea: the taxonomical systematics platform for managing scientific names of Korean native species

  • Park, Jongsun;An, Jung-Hyun;Kim, Yongsung;Kim, Donghyun;Yang, Byeong-Gug;Kim, Taeho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9권3호
    • /
    • pp.233-246
    • /
    • 2020
  • A scientific name is one of changeable terms in biology whenever additional research results of specific taxa is accumulated. The Database of the National Species List of Korea (DBNKo) was developed to manage taxonomic information of Korean species, designed to describe the changeable and complex taxonomical structure and information. A Korean Taxonomical Serial Number (KTSN) was assigned to each taxon, different from the normally used systems that the scientific name was considered as primary key to manage higher rank of taxa systematically. Common names were also treated with the KTSN, reflecting that common name is considered as one type of taxon. Additional taxonomic information (e.g., synonyms, original names, and references) was also added to the database. A web interface with an intuitive dashboard presenting taxonomic hierarchical structure is provided to experts and/or managers of the DBNKo. Currently, several biological databases are available in the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NIBR) such as a specimen database, a digital library, a genetic information system, and the shared species data based on the DBNKo. The DBNKo started sharing species information with other institutions such as the Nakdonggang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It is an ideal centralized species database to manage standardized information of Korean species.

장서각 소장 『국풍』에 나타나는 물명 고찰 (Consideration of the name of a thing appearing in the Jangseogak Archives "Gugpung(국풍)")

  • 이현주
    • 동양고전연구
    • /
    • 제69호
    • /
    • pp.325-347
    • /
    • 2017
  • 본고에서는 "국풍"에 나타나는 물명의 특징을 살펴보기 위해서 이 보다 앞서 17세기 초에 간행된 "시경언해"의 물명과 비교하는 작업을 수행하였다. 본고에서는 "시경언해"와 "국풍"의 물명이 다르게 나타나는 이유를 "두 문헌의 편찬목적의 차이"와 "국어사적 변화의 반영"이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검토하였다. "시경언해"는 식물이나 동물의 총칭어나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동식물명에 대해서는 고유어 물명을 제시하지 않았지만, "국풍"에서는 이에 대해서도 고유어 물명을 제시하였다. '(麥), 모(茅), 도(稻), 서(黍), 샹(桑)'에 대해 고유어 물명 '보리, ?, 벼, 기쟝, ?'이라는 고유어 물명을 제시하였고, 동물명의 경우에도 '안(?), 어(魚), 호(狐), 셔(鼠), 고(羔), 고양(羔羊)'에 대해 '기럭이, 고기, 여이, ?, 염소, 염소와 양'과 같은 고유어 물명을 제시하였다. 본고에서는 그 이유를 "국풍"의 편찬 목적에서 찾았다. "국풍"은 여성교육을 위해 만들어진 책이다. "국풍"은 그 내용 뿐만 아니라, 내용 안에 포함된 한자를 익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시경언해"와 달리 대부분의 물명 한자에 대해 고유어 물명을 제시하였다. "국풍"과 "시경언해"의 고유어 물명은 서로 일치하는 어휘들도 보이지만, 다르게 나타나는 경우도 다수 발견되었다. 이들은 "시경언해"가 간행된 17세기 초와 "국풍"이 필사된 19세기 초의 국어사적 변화를 반영하는 경우가 많았다. "시경언해"의 '(荇)'-말암, 도악이, 번(?)-, (柏)-, 뎌(?)-열, 뎌(樗)-개듕나무, 구(?)-염규, 창경(倉庚)-아리새'에 대해 "국풍"에 나타나는 '믈나믈, ?, 삼, 가?나무, 부초, '는 19세 초의 현실언어를 반영한 것이다.

한국 도시 상징의 분석 -시가, 시조, 시목, 시화를 중심으로- (The Analysis of Korean Urban Symbols -Urban Songs, Urban Birds, Urban Trees, and Urban Flowers-)

  • 황홍섭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227-253
    • /
    • 1997
  • 21C는 문화 예술의 시대가 될 것임을 예고하고 있다. 따라서 전통적으로 지역을 연구해 온 지리학은 지역 문화에 대한 심층적 연구를 필요로 하게 되었다. 지역 문화를 밝힐 수 있는 중요한 것 중의 하나가 지역의 상징이다. 오늘날 지구 도시의 출현과 더불어 특히 도시 문화에 대한 연구는 시대적 요청이 되고 있다. 도시 문화를 도시의 상징 즉 한국 각 도시가 제정하고 있는 상징 노래(시가(市歌)), 상징새(시조(市鳥)), 상짐꽃(시화(市花)), 상징 나무(시목(市木))를 통해 분석하여 도시 상징의 공간 환경을 밝혀 보고자 한다. 한국 도시의 상징 노래를 분석해 보면 노래가사 속에는 공간 환경 요소를 포함하고 있는데, 그 중 지형 주로 산과 강의 명칭 그리고 해당 지역의 지명은 거의 모든 노래 가사 속에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공간 환경 요소들은 특정 도시의 정체성을 나타내 주며, 그 시민들의 통합성과 일체감을 불러일으키는 상징적 공간으로 볼 수 있다. 특히, 산 및 강과 관련된 지명은 국토의 70%가 산지지형인 우리나라에서는 풍수의 기본 요소로서 산 및 물과 관련된 상징적 공간으로 볼 수 있다. 지명 또한 그 지역의 이미지를 잘 나타내는 상징적 공간이 핀다. 한국 도시의 상징물 즉 상징새, 상징 나무, 상징꽃 분석을 통해 한국 도시의 상징물은 중복 제정이 많다. 특히 상위 계층의 상징물이 하위 계층에서 중복 제정되었다는 점이다. 이러한 상징물들은 우리 민족의 삶을 통해 내려온 상징의 공간 환경으로 볼 수 있으나, 해당 도시의 기후, 토양 등 공간 환경적 특성과 상관없이 중복 제정된 점과 정체성이 없는 외래종이 많은 점은 시대적으로 상징물을 재검토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가장 지방적인 것이 가장 지구적인 것이 되어야 할 시대에 우리의 기후, 토양, 문화적 특성에 맞는 도시의 상징물을 정할 것이 요망된다.

  • PDF

펑크헤어스타일의 근원 고찰 -닭 볏 머리형을 중심으로- (Studies on the Origin of Punk Hair Style -With Specific Emphases on Cockcomb Hair Style-)

  • 이연희;김주애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42-253
    • /
    • 2005
  •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and examine the punk hair styles which, with their various, rather vague names, help to describe the twentieth century subordinate culture or subculture and also their place today as one of the mainstream male hair trends. The scope of this research will stretch to include also: North-east and around that areas native Americans'hair styles which, are thought to have strong links with the Punk hair tend. The focus of this research will remain with the so-called Mohican or Mohawk hair styles(collectively referred to as Punk styles), which have originated mainly from native American warrions residing in North-east and South-east region of the United States. This study clarified a few questions in doubt concerning the origin of cockcomb hairstyle. Firstly, the cockcomb hairstyle known to represent punk hairstyle was influenced the American Indian's Roach style. Secondly, since Roach style is referred as Mohawk tribe's hairstyle in some refernces, the view of seeing cockcomb hairstyle as a Mohawk style is considered more persuasive. Thirdly, although Roach style was a usual hairstyle through North-east and South-east region of the United States, the people in South-east region did Roach hair style because of the North-east's influences. Lastly alike the Punkers had several kinds of cockcomb hairstyle. American Indians'Roach style also differed in shape concerning of their regions and their kindred. In addition, the reason why the most common term to refer punk hairstyle became Mohican is considered as that the film 'Last Mohican' has influenced on it. That film can appeal their history and play a good role of mediator to let the public know better about themselves, 'Mohican' naturally became the name of the specific hair style.

사람 ?토스피라병 발생지역의 동물에 대한 ?토스피라균의 혈중 항체조사 (Serological survey on the leptospiral antibody in domestic animals in the area occurred human leptospirosis)

  • 서익수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09-215
    • /
    • 1991
  • Serological survey were conducted on the leptospiral antibody in domestic animals which were fed in the three rural village occurred human leptospirosis. Names of three villages are Shinnam-li, Shinjeop-li and Jinai-li which are located in near the northeastern part of Yeoju town in Kyunggi province. Total 66 serum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 domestic animals in which 12 dairy cows, 10 Korean native cattle, 12 pigs and 32 dogs were included. Leptospiral antibody were detected with 4 different serovars of leptospira living antigens, such as Leptospira icterohaemorrhagiae, L. pomona, L. canicola and L. tarassovi by microscopic agglutination test for each serum sample. The results are obtained as follow. 1. All 66 sera collected from the domestic animals at three villages showed negative reaction with 4 different serovars of leptospiral antigen. 2. Only one serum sample taken from a dairy cow in Shinjeop-li showed a weak positive reaction with Leptospira tarassovi. It is suggest that this positive case is not infected with L. tarassovi, but with vaccination. 3. It is indicated that all domestic animals which wen, fed in the villages occured human leptospirosis were not infected with above 4 different serovars of leptospira at least.

  • PDF

Comparis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n Terms, Related to Clothing and Textiles

  • Lee, Hana;Choi, Jin O;Lee, Yoon-Jung;Lee, Yhe-Yo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Costume and Fashion
    • /
    • 제15권2호
    • /
    • pp.37-47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terminologies used in South and North Korea, to describe objects or activities related to clothing and textiles, as a part of a bigger project that aims at developing an educational program in provision of reunification of the Koreas. In this study, a total of 176 North Korean terms that differ from South Korean terms were collected from various sources, including dictionaries that are developed to compare South-North Korean languages as well as texts such as magazines and news articles, about North Korean daily life. The terms were classified into sub-categories: materials for clothing, clothing management, construction and design, garment names, body parts, description of physical appearance or state of hygiene, and apparel industry. Many of the North Korean terms were derived from native expressions, rather than adopting foreign terms or terms in Chinese characters. Some North Korean terms did not have any corresponding words in South Korean terms or vice versa. We expect the terminology list to become a useful educational resource in establishing a clothing and textiles curriculum in preparation of reunification, by allowing the students to familiarize with the differences in the usage of terms.

한국 곤충 국명 속에 나타난 혐오 표현과 일본어 잔재 (Hate Speech and Usage of Japanese in Korean Insect Common Name)

  • 강승호;김삼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0권2호
    • /
    • pp.155-165
    • /
    • 2021
  • 우리나라의 생물상 52,628종의 35.4%를 차지하는 곤충 18,638종의 국명 유형을 크게 11개(색깔, 크기, 모양, 식물, 위치, 생태, 외국어, 사람이름, 고유, 생리, 긍정·부정)범주로 구분하고, 그 뜻은 무엇인지를 조사하였다. 그 중 인종차별, 장애 및 생김새의 차별, 지역 차별 등의 혐오표현이 사용된 유형 506개에 대해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해당 표현의 본 뜻과 함께 향후 사용할 만한 대체 용어를 제시하였다. 더불어 일본어 표현(일본어, 일본인 이름, 일본 지명 등)이 사용된 유형 508개에 대해 분석하여, 세부 유형을 밝히고 해당 생물종의 국명의 사용이 적절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대체 용어를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