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검색결과 123건 처리시간 0.03초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과학 문항 특성 분석 : 광학 내용을 중심으로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NAEA) Items for Science Subject: With a Focus on Optics)

  • 이봉우;이인호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465-475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과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서 물리의 광학 영역 문항의 평가 결과를 분석하고 답지 반응률 분포 곡선을 활용하여 중학생들의 반응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2010년부터 2013년까지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시행된 과학과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물리 문항 중 광학 영역에 해당되는 10개 문항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의 '광학' 영역의 성취수준은 다른 영역(역학, 전자기학)에 비해서는 높았다. 둘째, '빛' 영역에서 '상의 형성'과 관련되어 학생들이 낮은 성취수준을 보였으며, '파동' 영역에서는 '파동의 전파에서 위상의 변화'와 관련되어 낮은 성취수준을 나타내었다. 셋째, 학생들은 상황 의존적인 문제풀이 전략 및 결과를 보이고 있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광학 개념에 대한 교육과정 수준의 재검토, 기초학력 단계 학생들에 대한 추가적인 교수학습의 필요성, 실제적인 현상 및 상황 중심의 교수학습의 필요성 등의 제언을 논의하였다.

답지 반응률 분포 곡선을 통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과학 평가 문항 특성 분석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NAEA) Items for Science Subject through the use of Option Response Rate Distribution Curve)

  • 김현경;이인호;이봉우;이기영;심재호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21-130
    • /
    • 2015
  • 국가 수준의 표준화된 학업 성취도 평가 결과를 분석하여 학생들의 성취 수준을 파악하고 이를 교육정책 수립이나 교수활동 개선에 반영하는 과정은 교육의 책무성으로 중요한 부분이다. 본 연구에서는 과학과 국가 수준 학업 성취도 평가 결과를 분석하고, 답지 반응률 분포 곡선을 활용하여 평가 문항의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0년부터 2013년까지 시행된 과학과 성취도 평가 결과를 성취 수준에 따라 분석하였으며, 성취도 점수에 따른 특정 문항의 정오답 반응률을 토대로 최적 곡선을 추정한 그래프인 답지 반응률 분포 곡선을 활용하여 선다형 평가 문항 112개의 정답지와 오답지 반응률 곡선의 유형을 분류하고, 유형별 문항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정답지는 5가지 유형(S자형, J자형, 직선형, F자형, 계단형)으로 분류하였고, 오답지는 4가지 유형(보통형, 평지형, 산지형, 상승형)으로 분류하였다. S자형의 정답지 반응 곡선과 보통형의 오답지 반응 곡선이 조합인 문항이 가장 많았으며, 성취 수준에 따라 학생들을 변별하는데 적절한 문항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정답 반응률 분포와 오답 반응률 분포가 서로 연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교수 학습, 교실 평가 등에서 함의를 논의하였다.

대학생들의 인성교육 요구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Educational Needs Assessment for Character Education)

  • 임광명;박덕병;이신영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3권4호
    • /
    • pp.375-385
    • /
    • 2016
  • Since the discussion on solving some problems in modern socity began in the late 1990s, the interest in students' character education has increased.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educational needs assessment for character education in Korea. A self-administered survey was obtained from 318 students in a university. Three factors extracted from factor analysis were individual, interpersonal, social character factor. Results showed that the determinants influencing character educations are academic achievement and volunteer activities for individuals character, academic achievement and school activities in campus for interpersonal and social character educational factor. The findings should be of interest to practitioners to develop education programs for students.

다문화·탈북 가정 학생의 과학 학업성취도 특성 및 화학 문항 분석 (An Analysis of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and Chemistry Items for Multiple Culture and North Korean Migrant Students)

  • 김현경
    • 대한화학회지
    • /
    • 제58권3호
    • /
    • pp.303-312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전수로 시행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중학생 과학 성취도를 다문화 탈북 집단별 성취특성, 문항별 집단별 정답률 및 변별도, 내용영역별, 정답률 차이가 큰 문항유형별 특성을 계량적, 질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다문화 탈북 가정 학생의 과학과 학업성취도는 일반 학생에 비해 매우 낮았으며, 기초학력과 기초미달 학생의 비율이 매우 높았다. 또한 다문화 탈북 가정 학생의 하위집단별로 과학과 학업성취도가 다르게 나타났으며, 특히 중도입국 학생과 탈북 가정 학생의 학업성취도가 가장 낮았다. 일반 학생과의 정답률 차이가 큰 문항을 분석한 결과, 중도입국 학생과 탈북 가정 학생의 경우는 전 영역에서 고르게 취약한 반면, 외국인 가정 학생의 경우는 특정 영역에서 취약함을 보였다. 이로부터 다문화 탈북 가정 학생을 위한 교수 학습 및 교육 지원이 각각 집단의 상황을 고려하여 적합한 방식으로 이루어지도록 교육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수학과 교육과정의 질 관리 측면에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 내실화 방안 탐색 (How to Mak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Better for Managing Na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 조영미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6권3호
    • /
    • pp.199-220
    • /
    • 2006
  • 이 논문에서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시행하고 있는 ${\ulcorner}$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lrcorner}$를 교육 프로그램 평가 연구로 규정하고, 그 연구의 주요 목적 중에 하나인 '교육과정의 질 관리' 목적을 위해 평가 방법과 결과 분석 방법에서 개선되어야 할 점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교육과정의 질 관리라는 측면에서 국가수준 성취도 평가 연구의 현황을 네 가지로 구분하였으며, 각각에 대해 면밀히 분석하고 그에 바탕을 둔 내실화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수학 교육 내용에 관한 학생들의 이해 정도 평가와 관련하여, 성취수준의 의미를 교과 차원에서 좀더 구조화하고 명료화하여야 한다. 둘째, 내용 영역 간 학생들의 이해 정도 비교 평가와 관련하여, 타당성을 높이기 위하여 출제 문항 수를 현재보다 늘리는 방안을 강구하여야 한다. 셋째, 성취수준별 수학 학력 특징에 관한 정보 수집과 관련하여, 평가문항 개발 단계에서부터 각 성취수준별 특징이 드러나도록 문항을 개발하고, 또한 그 방안을 구체화하여야 한다. 넷째, 수학 교육 내용 적정화에 활용 가능한 기초 자료 수집과 관련하여, 교육과정의 질 관리만을 목적으로 한 문항군을 별도로 개발하고, 수행평가로부터 유의미한 심층 분석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표집 대상학생 전체가 아니라 일부만을 대상으로 수행평가를 실시하여야 한다.

  • PDF

한국과 일본의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문항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the National Level Academic Achievement Assessment Items between Korea and Japan)

  • 김부미;조형미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4권4호
    • /
    • pp.407-428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와 일본의 최신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최초로 시행한 중학교 국가수준 학업성취도평가 수학 문항을 비교,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수학과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의 개선을 위해 국가수준 학업성취도평가에 적용가능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먼저 두 국가에서 시행되고 있는 국가수준 학업성취도평가를 개괄하였고, 두 국가의 중학교 수학 학업성취도평가의 문항을 내용영역, 맥락, 역량에 따른 분석틀에 따라 수와 식, 함수, 기하, 확률과 통계 영역에서 두 국가의 문항의 특성을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실생활 맥락을 강조하고 문제해결 과정과 결과를 반성할 수 있는 문항 개발, 교육과정 개정의 중점사항을 반영한 평가 문항 개발 등의 국가수준 학업성취도평가 개선방안과 2022 개정을 앞두고 '증명' 용어의 도입 필요성 및 방법 등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화학 문항에서 나타난 초.중학교 학생의 성취수준별 특징 비교 (Comparison of the Characteristics of each Educational Achievement Level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Shown in the Chemistry Items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 최원호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1186-1201
    • /
    • 2013
  • 우리나라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2009, 2010, 2011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를 이용하여 학생들의 성취수준별 특징을 조사하였고, 초 중학교 학생들의 특징을 비교하였다. 초 중학생의 성취수준별 대표 문항 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내용을 알았다. 초 중학교 공통적으로 우수학력 학생들은 모두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정확히 이해하고 있었지만 보통학력 학생들은 용어를 단순히 기억하는 수준과 같이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피상적으로 이해하고 있었다. 그래서 보통학력 학생들은 교육과정 목표 달성을 위해 수업 및 평가에서 내용을 정확히 이해하도록 돕는 방안을 늘릴 필요가 있다. 예를들어 선다형 평가 대신 서술형 평가를 요구하는 교육환경은 개념을 정확히 이해하는 습관을 길러줄 수 있을 것이다. 기초학력 학생들은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거의 이해하지 못하고 있었기 때문에 단순한 상황에서 성취기준을 다루는 보정 교육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교육과정에서 다루는 과학 개념은 학교급별로 위계적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기초학력 미달 수준을 위한 보정 교육만으로는 과학교육에서 학습 결손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이를 위해서는 과학에서 수준별 수업을 대폭 확대할 필요가 있다.

한국의 수학교육 평가 유형에 관한 연구동향

  • 김영옥;정성희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28권4호
    • /
    • pp.487-504
    • /
    • 2012
  •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 related to mathematics education evaluation in the analysis of the articles on , . The study explores the future direction of mathematics education assessment research by investigating whether such evaluation was suitable for the expectation about the assessment required in the current mathematics curriculum. This study was to classify the evaluation-related researches based on Korea educational curriculum revision from 1991-2010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 on the mathematics education evaluation in each season in Korea, analyze the articles by 'monitoring of student's progress', 'judgement on instruction', 'giving the value on mathematics achievement of students', 'value judgement of the program' that were the purpose of evaluation presented in 1995 NCTM(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As a result, looking at the research trend classified by the time of the educational curriculum revision,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had the most number of the papers announced from 1997-2006. Despite 2007 educational curriculum revision was the short period from announced 2007-2008 before the next educational curriculum was placed, 11 papers(34.4%) were published. According to the category by the purpose of the assessment prescribed in NCTM, it showed that researches of 'monitoring of student's progress(46.9%)' were the most, those of 'value judgement of the program' and 'giving the value on mathematics achievement of students had a similar percentage.

성취수준별 대표문항의 개념 및 수준별 수업에의 활용 방안 (Representative items for each achievement level in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of Mathematics : the Concept and Use for Individualized Education)

  • 도종훈;고정화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2권2호
    • /
    • pp.109-124
    • /
    • 2008
  • 2007년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의 특징 중 하나는 단계형 수준별 교육과정을 폐지하고 수준별 수업을 내실화하는 것이다. 수준별 수업의 실제 운영을 위해서는 학생들의 성취수준을 어떤 기준으로 어떻게 판단할 것인가의 문제가 선결되어야 한다. 이를 통해 개별 학생이 어떤 성취수준에 있는지, 그리고 특정 성취수준에 속한 학생은 교육과정에 제시된 각각의 성취기준에 얼마만큼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어야 하고, 이를 토대로 해당 학생의 수준에 부합하는 교육을 제공하여야 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수준별 반 편성을 위한 학생들의 성취수준 판단 방법으로서 현행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서 활용되고 있는 앙고프 방법(Angoff method)을 소개한다 그리고 성취수준별 대표 문항의 개념 및 수준별 수업에의 활용 방안을 학생들의 성취수준 진단 문제를 중심으로 논의한다.

  • PDF

학업성취도 평가에서 답지 반응률 분포 그래프를 활용한 중학생의 수학과 학업 특성 분석 (An Analysis about the Features of Mathematical Learning of Middle School Students through the Distribution Graphs of the Responses Percentages in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 조윤동;이광상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5권1호
    • /
    • pp.1-19
    • /
    • 2015
  • 이 글은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 출제된 선다형 문항을 분석하여 교육과정이나 교수 학습, 평가에 개선할 여지가 있는지를 탐색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답지 반응률 분포 그래프를 이용하여 문항 전체뿐만 아니라 특정 답지가 담고 있는 내용에 대하여 학생들이 어떠한 특성을 보이는지를 분석할 것이다. 이러한 분석은 전체 집단의 평균 정답률과 변별도, 부분 집단별 평균 답지 반응률과 같은 기술통계치보다 많은 정보를 제공해 준다. 왜냐하면 학생들의 능력에 따른 반응의 변화가 잘 드러나기 때문이다. 이러한 방식의 문항 분석으로부터 소인수 개념이나 소인수분해, 속도와 같은 비, 일차함수의 개념, 원뿔의 부피, 입체도형의 성질, 공사건과 전사건의 확률 등에 대해서 시사점을 얻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