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ional R%26D

검색결과 464건 처리시간 0.025초

사육시설 기준 설정 연구: 사료급여 전 젖소 발성음에 대한 음성학적 분석 (A Study on Standards for Farm Housing Systems: Acoustic Analysis of Feed Anticipating Calls of Heifers and Cows)

  • 천시내;이준엽;양승학;박규현;전중환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21-26
    • /
    • 2014
  •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coustic characteristic of feed anticipating calls of heifers and cows. 6 cows and 6 heifers housed in a pen ($6.0m{\times}10.0m$) which was bedded with sawdust and straw. They were fed a standard ration of commercial concentrate and hay was ad libitum. The calls of heifers and cows were divided into Type 1 and Type 2 which were classified based on the shapes of waveform and spectrograms, respectively. There was difference in the fundamental frequency (P < 0.0001) and $1^{st}$ formant (P < 0.0077) among the calls. Acoustic parameters with the exception of fundamental frequency and $1^{st}$ formant were no difference between cows' calls and heifers' calls (P > 0.05). Duration of cows' calls was lower than that of heifers' calls, whereas the intensity of Type 1 calls was higher than that of Type 2 calls (P > 0.05).

육경 조직판 이식이 사슴뿔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Pedicle Flap-graft Transplantation on Antler Growth in Deer)

  • 김상우;최순호;상병돈;김영근;이승수;상병찬;서길웅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6호
    • /
    • pp.949-956
    • /
    • 2006
  • 본 연구는 육경 조직판 이식이 사슴뿔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육경 조직판을 육경과 전두골 정중선 부위에 각각 이식 하였을 때 조직판의 발달, 조직판을 제공한 부위의 녹용 생산량 및 이식한 조직판의 발육성적을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사슴뿔의 조직판 이식은 육경과 전두골 정중선 중앙과 좌우 양 뿔의 정수리에 이식 시 이식 성공률은 12두 중 5두로 42%이었다. 사슴뿔의 발생 정규부위가 아닌 사슴의 전두골에서 조직판 이식으로 추가적인 사슴뿔 발생을 유도할 수가 있었다. 레드디어의 경우 대조구와 조직판을 제공한 쪽의 녹용 총생산량은 각각 716, 1,071g으로 이식을 하기 위하여 절단된 쪽의 녹용 생산량이 더 많았으며, 가짓수도 조직판을 제공한 쪽이 2.3개로 대조구 1개보다 많았다. 엘크의 경우 1두에서 이마에 조직판이 이식된 뿔에서 길이 17cm, 무게 302g 녹용을 생산하였으며, 레드디어는 다음해 낙각 된 녹각에서 길이 26cm에 무게 122g을 생산하였다. 조직판 이식시 이식부위의 피부는 진피까지 제거하여야만 두개골에 이식한 조직판이 견고하게 부착되었다.이상의 결과에서 조직판 이식으로 사슴뿔 발생의 정규부위가 아닌 전두골에서 부가적인 사슴뿔을 생산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예인체의 투하 및 인양 자동화를 위한 사변형 Overboarding Mechanism의 최적설계 (Optimal Design of Quadrilateral Typed-Overboarding Mechanism for Drop/Lift Automation of Towed Object)

  • 강석정;정원지;박성학;최종갑;김효곤;이준구
    • 한국생산제조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74-81
    • /
    • 2017
  • A crane is typically used as a means to lift and load equipment or materials. A surface vessel uses a towed object for underwater activity. Such a mechanism for dropping and lifting of equipment is necessary, and is called an overboarding unit. The present study is focused on the overboarding unit used for a crane structure. This paper deals with new overboarding mechanism design and GA-based $MATLAB^{(R)}$ optimization. By using a quadrilateral link mechanism, it is possible to set the constraint function for optimizing the GA method. The optimization with $MATLAB^{(R)}$ is followed by the $SolidWorks^{(R)}$ simulation and verification. When applying the proposed mechanism, the operator is expected to have a big advantage in safety and efficiency of operations. Furthermore, the technology developed in this study will be helpful in similar circumstances and in the proposed mechanism.

제한 및 무제한 포유방법이 홀스타인 송아지의 성장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d libitum and Restricted Milk Feeding on Growth Performance of Holstein Calves)

  • ;이현준;이왕식;기광석;김현섭;안병석;박수봉;홍중산;최윤재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6호
    • /
    • pp.871-880
    • /
    • 2006
  • 본 연구는 2개월간의 포유기간 동안 홀스타인 젖소 송아지를 무제한 포유방법을 사용하여 무제한 포유시 송아지의 최대 우유섭취량과 급여회수를 조사하고 관행의 제한 포유방법(10%/live weight, kg)과 송아지의 성장능력, 설사발생, 사료건물 섭취량 등에 대한 영향을 비교하였다. 신생 홀스타인 젖소 20두를 공시하여 체중의 10%로 제한 포유구(conventional)와 무제한포유구(4~6회/일)로 각각 10두씩 구분하여 초유는 출생 후 3일 동안 급여하고 이후 60일령에 이유할 때까지 5일 간격의 체중조사 값에 따라 관행방법과 무제한 포유방법을 각각 개체별로 실시하였다. 무제한 포유송아지의 출생당일에 생체중의 13.49%에서 30일령에는 23.51%로 섭취량이 최대값을 나타났다가 이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포유기간 전체 평균 우유섭취량은 관행포유구는 4.3kg, 무제한포유구는 9.8kg으로 나타났다(p<0.05). 어린송아지사료(젖떼기용 사료)와 혼합목초건초 섭취량은 시험송아지 모두가 일령 증가에 따라 증가하여 40일령까지는 시험구간에 현저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고 시험 전기간 동안의 관행포유구의 송아지가 건물 섭취량, 조단백 섭취량 및 가소화영양소총량(TDN) 섭취량에서 무제한 포유구의 것보다 각각 18.4%, 20.0% 및 18.9% 많이 섭취한 것으로 나타났다(p<0.05). 1개월령과 2개월령 및 포유기간 전기간 동안의 송아지의 체중 증가에 있어서 무제한 포유구 송아지의 것이 관행구 송아지의 것에 비해 각각 49%, 18.4%, 26%의 증체효과를 나타냈는데, 20일령까지는 시험구간의 체중차이가 뚜렷하지 않았지만 30일령이후 90일령(이유 후 30일령)까지는 무제한 구의 송아지의 체중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그리고 120일령 이후 180일령까지 체중변화를 살펴보았을 때, 시험구간 체중은 비슷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사료효율은 무제한 포유구의 것보다 관행구의 것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p<0.05), 시험 전기간 동안 감기, 발열, 설사 등의 질병은 모든 시험구에서 나타나지 않았다. 본 시험을 통해 우리는 무제한 포유방법은 이유 전 송아지의 빠른 성장과 건강유지에 도움이 됨과 이 영향은 최소한 90일령까지 지속된다는 결론을 얻었다.

자기 조립 반응에 의한 그래핀이 코팅된 알루미늄 입자의 합성 방법 (Synthesis of Graphene Coated Aluminum Powders by Self-assemble Reaction)

  • 황진욱;탁우성;남상용;김우식
    • 한국분말재료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383-388
    • /
    • 2019
  • To improve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aluminum, graphene has been used as a reinforcing material, yielding graphene-reinforced aluminum matrix composites (GRAMCs). Dispersion of graphene materials is an important factor that affects the properties of GRAMCs, which are mainly manufactured by mechanical mixing methods such as ball milling. However, the use of only mechanical mixing process is limited to achieve homogeneous dispersion of graphene. To overcome this problem, in this study, we have prepared composite materials by coating aluminum particles with graphene by a self-assembly reaction using poly vinylalcohol and ethylene diamine as coupling agents. The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nd Fourier-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results confirm the coating of graphene on the Al surface. Bulk density of the sintered composites by spark plasma sintering achieved a relative density of over 99% up to 0.5 wt.% graphene oxide content.

Dissolved Organic Matters Characteristics in Freshwater

  • Park, Je-Chul;Oh, Young-Taek;Bae, Sang-Deuk;Ryu, Dong-Kyeong
    • 한국환경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생물학회 2004년도 학술대회
    • /
    • pp.26-26
    • /
    • 200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of dissolved orgamc matters based on their origins. The dissolved organic carbon(DOC) represents an index for dissolved organic matter and basically regarded as a source of organic pollution. The monthly variations and vertical profiles of dissolved organic carbon(DOC) in Kumoh reservoir were surveyed from May 2001 to April 2002. In addition, other areas such as river, reservoir, sewage and industrial wastewater were also surveyed in summer 2001. Kumoh reservoir was divided with depth into three layers .: epilimnion, metalimnion and hypolimnion. The proportion of total DOC(T-DOC) was classified by labile DOC(L-DOC) and refractory DOC(R-DOC) on the basis of long-term incubation. DOC of freshwater and Kumoh reservoir was ranged to be 1.6~4.1 mgC/L and 2.1~4.0 mgC/L, respectively. L-DOC accounted for 3~30% of DOC from watershed. Therefore, refractory dissolved organic carbon(R-DOC) was major component of DOC in the watershed. The decomposition rate(k) ranged from 0.008 $d^{-1}$ to 0.083 $d^{-1}$ in Kumoh reservoir. The highest decomposition rate(k) was observed at River Hoein III freshwater. Therefore, modified total organic carbon analyzer is needed to be applied for effective management of dissolved organic matter.

  • PDF

배터리 팩 내부 과방전 사전 진단을 위한 모델기반 셀 간 불균형 특성 파라미터 분석 연구 (Model-based Analysis of Cell-to-Cell Imbalance Characteristic Parameters in the Battery Pack for Fault Diagnosis and Over-discharge Prognosis)

  • 박진형;김재원;이미영;김병철;정성철;김종훈
    • 전력전자학회논문지
    • /
    • 제26권6호
    • /
    • pp.381-389
    • /
    • 2021
  • Most diagnosis approaches rely on historical failure data that might not be feasible in real operating conditions because the battery voltage and internal parameters are nonlinear according to various operating conditions, such as cell-to-cell configuration and initial condition. To overcome this issue, the estimator and the predictor require integrated approaches that consider comprehensive data, with the degradation process and measured data taken into account. In this paper, vector autoregressive models (VAR) with various parameters that affect overdischarge to the cell in the battery pack were constructed, and the cell-to-cell parameters were identified using an adaptive model to analyze the influence of failure prognosis. The theoretical analysis is validated using experimental results in terms of the feasibility and advantages of fault prognosis.

부산지역 일부 소아의 혈청 지질 분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rum Lipid Levels of Children in Pusan)

  • 강수용;조병만;이수일;황인경;김영욱;김영실;차애리;하이호;이철호;김돈균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0권4호
    • /
    • pp.686-696
    • /
    • 1997
  • 본 연구는 부산지역 소아의 연령별 혈청지질치의 분포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단면조사연구로서 1996년 4월에 2세부터 12세의 941명을 대상으로 혈청 지질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평균 혈청지질치 혈청지질치는 여아의 경우 총콜레스테롤 $171.4{\pm}26.2mg/dl$, 중성지방 $104.7{\pm}50.6mg/dl,\;LDL-C\;95.4{\pm}32.9mg/dl$로 남아의 $167.9{\pm}25.2mg/dl,\;90.6{\pm}45.5mg/dl,\;94.4{\pm}23.6mg/dl$보다 높았다. 총콜레스테롤 (p<0.05)과 중성지방(p<0.01)에서는 여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HDL-C은 남아가 $55.4{\pm}11.7mg/dl$로 여아의 $54.4{\pm}14.8mg/dl$보다 높았다. 2. 혈청지질치의 백분위수 소아의 혈청지질치의 백분위수는 총콜레스테롤의 경우 95퍼센타일이 남아에서 210mg/dl, 여아의 경우 214mg/d1로 미국에서 보고된 남아의 191mg/dl과 여아의 209mg/dl보다 오히려 높았다. 3. 혈청 지질과 비만도 경도 비만군과 중등도 비만군이 정상군보다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LDL-C 등에서 의미있게 높았고, HDL-C에서 의미있게 낮았다(p<0.05). 4. 혈청 지질과 부모의 학력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LDL-C은 아버지의 최종학력이 높을수록 의미 있게 감소하였고(p<0.05),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LDL-C은 어머니의 최종학력이 높을수록 의미 있게 감소하였고(p<0.01), HDL-C은 어머니의 최종학력이 높을수록 통계학적으로 의미있게 증가하였다(p<0.05).

  • PDF

기술현황분석 - 한국의 소재분야 논문현황 분석

  • 문병근;차재우
    • 기계와재료
    • /
    • 제22권1호
    • /
    • pp.84-93
    • /
    • 2010
  • 본 고에서는 소재분야의 기술수준을 정확히 파악하고, 앞으로 나아갈 R&D 정책방향을 설정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하기 위해 NS(National Science Indicators) DB와 Web of Science DB의 재료과학(Materials Science) 분야를 토대로 논문분석을 수행하였다. 최근 10년간(1999-2008년) 소재 분야에 대한 분석결과 양적 지표인 논문수는 연평균 12%로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세계순위는 1999년 9위에서 2008년 4위까지 상승하였다. 질적지표인 논문1편당 피인용횟수는 세계 평균 대비 1999년 94.7%(한국 9.35건, 세계 9.87건)에서 2008년 88.4%(한국 0.23건, 세계 0.26건)로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10년간 연구주체간 협력 논문수를 살펴보면 대학-대학간 이 4,337편(39.8%)으로 가장 많으며, 대학-공공연구기관간은 3,135건(28.8%), 대학-기업은 2,295건(21.1%)으로 전체의 약 90%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해외 협력논문수는 전체 논문에서 약 26%를 차지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기초연구성과의 실용화 연계 지원책 마련, 질중심 논문평가의 강화, 국내외 협력주체간 협력 연수의 강화, 주기적 논문분석을 통한 소재 R&D 정책 수립 및 연구사업기획에의 활용강화 필요하다.

  • PDF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wo unrecorded yeast species in the order Filobasidiales

  • Inyoung Choi;Sathiyaraj Srinivasan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13권1호
    • /
    • pp.100-104
    • /
    • 202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solate and identify wild yeasts from soil samples collected in Daegu and Cheongju city, Republic of Korea. To identify the wild yeast strains, pairwise sequence comparisons of D1/D2 region of the 26S rRNA gene sequence were done using Basic Local Alignment Search Tool (BLAST). The cell morphologies were observed by phase contrast microscope and assimilation test are done using API 20C AUX kit. All strains were assigned to the phylum Basidiomycota. Among 13 strains, 11 strains were previously reported, but two strains were unreported from the Republic of Korea. The two unrecorded yeast strains, GW1-3 and PG1-1-10C, belong to the genus Solicoccozyma (family Piskurozymaceae, order Filobasidiales, class Tremellomycetes). The two strains had oval-shaped and polar budding cells. This research showed the morphological and biochemical properties of the two unreported yeast species that had not officially reported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