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sopharyngeal virus detection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35초

Respiratory syncytial virus 감염진단을 위한 신속항원검사의 유용성 (Clinical usefulness of rapid antigen test to detect respiratory syncytial virus infection)

  • 김형수;김희라;박기형;조경순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1권10호
    • /
    • pp.1071-1076
    • /
    • 2008
  • 목적: RSV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은 해마다 영유아에서 심한 호흡기 질환의 중요한 원인이 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 검사 방법이 간편하고 결과를 빨리 알 수 있는 면역 크로마토그래피법이 신속 항원 검사법으로서 소개되어 그 정확성과 임상에서의 유용성이 많이 연구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연구례가 드문 실정이다. 이에 저자들은 이 검사법의 정확성과 유용성을 평가하여 실질적인 검사법으로 정착시키고자 하였다. 방법: 2007년 4월부터 2008년 3월까지 발열, 기침, 천명, 호흡곤란, 빈호흡 등의 증상으로 외래 내원 및 입원치료를 받은 112명의 환아를 대상으로 비인두 가검물을 채취하여 RSV Respi-Strip과 효소 면역 측정법, RT-PCR(ASTEC)을 동시에 시행하였다. RT-PCR을 표준으로 하여 RespiStrip 과 EIA의 결과를 비교 분석하여 정확성과 유용성을 평가하였다. 결 과: RSV RespiStrip, RT-PCR, EIA에 양성을 보인 환아는 각각 42명, 45명, 39명 이었다. RespiStrip는 RT-PCR 검사법에 대하여 민감도 88%, 특이도 94%, 양성 예측도 90%, 음성 예측도는 92% 였으며 위양성률과 위음성률 그리고 일치도가 각각 5.9%, 11%, 83% 로 나왔다. EIA는 RT-PCR 검사법에 대하여 민감도 84%, 특이도 94%, 양성 예측도 90%, 음성 예측도 90%, 일치도 79% 로 나왔다. 결론: 신속 항원 검사가 비교적 민감도가 높으므로 RSV 감염의 선별 검사로서 적합하다고 생각한다. 외래 진료실에서 빠르고 경제적이며 간편하게 검사하여 조기에 적절한 치료를 함으로써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고 아울러 불필요한 항생제의 사용을 줄일 수 있다. 앞으로 이러한 신속검사가 실제 임상에서 많이 적용되리라 기대된다.

Comparative Analysis of the Multiple Test Methods for the Detection of Pandemic Influenza A/H1N1 2009 Virus

  • Choi, Young-Jin;Nam, Hae-Seon;Park, Joon-Soo;Kim, Hwi-Jun;Park, Kyung-Bae;Jeon, Min-Hyok;Kim, Chang-Jin;HwangBo, Young;Park, Kwi-Sung;Baek, Kyoung-Ah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0권10호
    • /
    • pp.1450-1456
    • /
    • 2010
  • Accurate and rapid diagnosis of Pandemic Influenza A/H1N1 2009 virus (H1N1 2009) infection is important for the prevention and control of influenza epidemics and the timely initiation of antiviral treatmen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several diagnostic tools for the detection of H1N1 2009. Flocked nasopharyngeal swabs were collected from 254 outpatients of suspected H1N1 2009 during October 2009. This study analyzed the performances of the RealTime Ready Inf A/H1N1 Detection Set (Roche), Influenza A (H1N1) Real-Time Detection Kit (Bionote), Seeplex Influenza A/B OneStep Typing Set [Seeplex Reverse Transcriptase PCR (RT-PCR)], BinaxNow Influenza A & B Test Kit [Binax Rapid Antigen Test (RAT)], and SD BIOLINE Influenza Ag kit (SD RAT). Roche and Bionote real-time RT-PCR showed identical results for the H1N1 2009 hemagglutinin gene. Compared with real-time RT-PCR, the sensitivities and specificities were 83.7% and 100% for Seeplex RT-PCR, 64.5% and 94.7% for Binax RAT, and 69.5% and 100% for SD RAT. The sensitivities of Seeplex RT-PCR, Binax RAT, and SD RAT in patients aged over 21 years were 73.7%, 47.4%, and 57.9%, respectively. The sensitivities of Seeplex RT-PCR, Binax RAT, and SD RAT on the day of initial symptoms were mostly lower (68.8%, 56.3%, and 31.3%, respectively). In conclusion, multiplex RT-PCR and RAT for the detection of H1N1 2009 were significantly less sensitive than real-time RT-PCR. Moreover, a negative RAT may require more sensitive confirmatory assays, because it cannot be ruled out from influenza infection.

급성 호흡기 감염으로 입원한 소아에서 호흡기 감염의 원인: 중복검출의 임상적 의미 (Clinical significance of codetection of the causative agents for acute respiratory tract infection in hospitalized children)

  • 노의정;장영표;김재경;임인수;박귀성;정은희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2권6호
    • /
    • pp.661-666
    • /
    • 2009
  • 목 적 : 최근 호흡기 감염의 원인에 대한 검사 방법의 발달로 중복검출에 대한 높은 비율이 보고되고 있다. 이에 소아에서의 급성 호흡기 감염의 원인으로 중복검출에 대한 임상 양상과 그 특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3년 9월부터 2005년 6월까지 단국대학교병원 소아과에 급성 호흡기 증상으로 입원한 환아들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지를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비인두 흡인물의 호흡기 바이러스(AdV, RSV, PIV 1, 2, 3, IFA, IFB)의 항원과 배양 검사, 혈청의 MP 항체 측정(1:640 이상 혹은 4배 이상의 항체 상승시 양성으로 함), 비인두 흡인물의 MP PCR, CT 항원의 PCR 검사, enterovirus PCR 및 배양검사, 객담의 항산균 도말 염색 및 배양 검사를 받은 환아들 중 2가지 이상에서 양성으로 나온 환아들의 임상 양상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결 과 : 1) 호흡기 감염의 원인에 대한 검사에서 2가지 이상의 양성을 보인 환아는 총 28명이었으며 남아가 17명이었고, 평균 나이는 2년 3개월(19일-13세), 6개월 미만이 11명이었다. 2) 중복검출의 원인 중 RSV가 14례, PIV 3 10례, AdV 10례, MP 8례, PIV 2가 7례, CT, PIV 3가 각각 3례였다. 중복검출되는 원인으로 RSV+PIV 2 6례, AdV+MP 4례, AdV+PIV 3, RSV+MP, PIV 1+PIV 3가 각각 3례였다. 3) 임상 진단으로 폐렴 19례, 세기관지염 16례, 후두염이 3례였으며, 4) MP, 호흡기 바이러스의 각각의 유행 시기에 이들에 의한 중복검출이 있었다. 결 론 : 소아의 급성 호흡기 감염의 원인에 대한 중복검출은 영아에서 흔하며, 원인으로 RSV, PIV, AdV, MP가 많았다. MP, 호흡기 바이러스의 각각의 유행 시기에 이들에 의한 중복 검출률의 빈도가 증가함을 볼 수 있었다. 호흡기 감염의 원인에 대한 검사 방법의 발달로 중복 검출률이 높아지고 있어 이의 임상적 의미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소아 보카바이러스 호흡기 감염증의 역학적 특징 (Epidemiologic Characteristics of Human Bocavirus-Associated Respiratory Infection in Children)

  • 최재홍;백지연;최은화;이환종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8권1호
    • /
    • pp.61-67
    • /
    • 2011
  • 목 적 : 본 연구는 소아에서 보카바이러스와 연관된 하기도 감염증의 역학적인 특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2000년 3월부터 2005년 9월까지 서울대학교 병원과 분당 서울대학교병원에 하기도 감염증으로 입원한 658명의 소아에게서 비인두 흡입 검체를 채취하였다. 다중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 반응을 이용하여 11종의 바이러스를 조사하였고,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전체 호흡기바이러스는 658명의 환아 중 325명(49.4%)에서 검출되었다. 보카바이러스는 62명(9.4%)에서 검출되었으며, 3개월 이상 5세 미만에서 많았다. 보카바이러스가 중복감염이 확인된 것은 37.1%로, 전체 바이러스 양성 환자들의 중복감염률(12.3%)보다 의미 있게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P =0.000). 또한 늦은 봄부터 이른 여름인 5월부터 7월에 많이 검출되었다. 결 론 : 보카바이러스는 국내에서 소아의 하기도 감염증에서 유병률이 높았고, 특히 늦은 봄부터 초여름에 유행하였다.

국내에서 유행한 Respiratory Syncytial 바이러스의 염기서열 및 계통분석 (Sequence and Phylogenetic Analysis of Respiratory Syncytial Virus Isolated from Korea)

  • 권순영;최영주;김소연;송기준;이용주;최종욱;성인화
    • 대한바이러스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9-22
    • /
    • 1996
  • Respiratory Syncytial virus (RSV) is an important cause of acute lower respiratory tract infections in human, with infants and young children being particularly susceptible. In the temperate zones, sharp annual outbreaks of RSV occur during the colder months, in both the northern and the southern hemisphere. RSV is unusual in that it can repeatedly reinfect individuals throughout life and infect babies in the presence of maternal antibody. RSV isolates can be divided into two subgroups, A and B, on the basis of their reactions with monoclonal antibodies, and the two subgroups are also distinct at the nucleotide sequence level. The specific diagnosis of RSV infection was best made by isolation of virus in tissue culture, identification of viral antigen, or by specific serologic procedures. Recently, rapid detection of RSV and analysis of RSV strain variation became possible by development of methods of reverse transcription and polymerase chain reaction amplification. In this study, to determine the genetic diversity of RSV found in Korea, 173 bp and 164 bp spanning selected regions of the RSV F and SH genes were enzymatically amplified and sequenced, respectively. Eight for F gene and three for SH gene were detected in 66 nasopharyngeal swap samples tested. Two major antigenic subgroups, A and B were confirmed from Korean samples (seven for subgroup A and one for subgroup B). At the nucleotide level of the F gene region, Korean subgroup A strains showed 95-99% homologies compared to the prototype A2 strain of subgroup A and 93-100% homologies among Korean subgroup A themselves. For the SH gene region, Korean subgroup A strain showed 97.5% homology compared to the prototype A2 strain of subgroup A, and Korean subgroup B strain showed 97% homology compared to the prototype 18537 strain of subgroup B. Most of base changes were transition and occured in codon position 3, which resulted in amino acid conservation. Using the maximum parsimony method, phylogenetic analysis indicated that Korean RSV strains formed a group with other RSV strains isolated from the United States, Canada, the Great Britain and Australia.

  • PDF

Respiratory Syncytial Virus 감염의 조기 진단 kit "바이오라인 알에스브이TM"의 평가 (Evaluation of a rapid diagnostic kit "BIOLINE RSVTM" for the detection of respiratory syncytial virus)

  • 김소희;성지연;양미애;은병욱;이진아;최은화;이환종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4권1호
    • /
    • pp.91-96
    • /
    • 2007
  • 목 적 : RSV 감염증 진단을 위한 여러 가지 신속 진단법이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하기도 감염 소아의 비인두흡인물에서 RSV를 검출하는데 있어서 lateral-flow immunoassay 법을 이용하여 국내에서 개발된 RSV 조기 진단 kit인 바이오라인 알에스브이$^{TM}$(Standard Diagnostics, Inc., 용인, 대한민국)의 성적을 세포배양과 면역 형광법 결과와 비교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방 법 : 2002년 7월부터 2007년 2월까지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의 응급실을 방문하거나 입원한 하기도 감염소아로부터 채취한 비인두 흡인물 319개를 대상으로 하여 RSV를 검출하는데 있어서 바이러스 배양과 면역 형광법을 기준으로 하여 바이오라인 알에스브이$^{TM}$ 검사의 성적을 평가하였다. 바이오라인 알에스브이$^{TM}$ 검사는 각 검체의 바이러스 배양과 면역 형광법 결과를 모르는 검사자에 의해서 두번 이상씩 시행되었다. 결 과 : 면역 형광법과 바이러스 배양이 모두 양성인 검체 110개 중 107개(97.3%), 면역 형광법만 양성인 검체 33개 중 29개(87.9%), 바이러스 배양법만 양성인 검체 26개 중 20개(76.9%)가 바이오라인 알에스브이$^{TM}$로 검사한 결과 양성으로 나타났으며, 두 가지 기준 검사에서 모두 음성인 검체 150개 중 140개(93.3%)가 바이오라인 알에스브이$^{TM}$ 검사 결과 음성이었다. 면역 형광법 또는 바이러스 배양법에 대한 바이오라인 알에스브이$^{TM}$ 검사의 민감도는 92.3%(156/169, 95% confidence interval[CI], 87.1-97.5%), 특이도는 93.3%(140/150, 95% CI, 88.4-98.2%), 양성 예측도는 94.0%(156/166, 89.5-98.5%), 음성 예측도는 91.5%(140/143, 95% CI, 86.0-97.0%), 일치도는 95.9%(306/319, 92.1-99.7%)이었다. 결 론 : 국내에서 개발된 RSV 감염 조기 진단 kit인 바이오라인 알에스브이$^{TM}$는 높은 민감도와 특이도를 보였다. 간단한 검사 방법과 신속한 결과라는 장점이 있어 향후 유행 시기에 유용한 진단법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PDF

Respiratory Syncytial Virus 유행 시기에 따른 Palivizumab 예방요법시기의 적정성 평가: 22년간 단일기관 연구 (Evaluation of Timeliness of Palivizumab Immunoprophylaxis Based on the Epidemic Period of Respiratory Syncytial Virus: 22 Year Experience in a Single Center)

  • 김승연;이고은;강수영;최은화;이환종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2권3호
    • /
    • pp.172-177
    • /
    • 2015
  • 목적: 본 연구는 respiratory syncytial virus (RSV) 유행 시기에 따른 palivizumab 투여 시기의 적절성을 분석함으로써 palivizumab 예방요법을 시작하는 시기의 적절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1991년 1월부터 2012년 7월까지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에서 호흡기 증상이 있는 소아의 호흡기 검체를 채취하여 RSV 항원 검사, 배양 검사 및 중합효소 연쇄 반응 검사를 시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RSV 양성건수와 RSV 검출률을 2주 단위로 조사하였으며 중합효소 연쇄 반응 검사가 도입되기 전, 1991년 1월부터 2007년 10월까지는 RSV 항원 및 배양 검사로 바이러스를 검출하였고 이후에는 중합효소 연쇄 반응 검사 방법으로 검출하였다. RSV 유행 시기의 시작은 2주 동안 4건 이상의 검체에서 양성을 보이면서 RSV의 검출률이 10% 이상을 동시에 만족하는 시기로 정의하였다. 또한 2007년 1월부터 2014년 3월까지 2세 미만의 RSV 감염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palivizumab의 예방요법 시작시기를 분석하였다. 결과: 22년간 RSV 검출률은 2,013/21,698 (9.69%)였으며 RSV 평균 유행기간은 10월 2-3주에서 2월 1-2주로 확인되었다. 가장 빨리 유행이 시작되었던 시기는 7월 셋째 주(2001년)이었고 가장 늦게 유행 시기가 끝났던 시기는 5월 셋째 주(1990년)였다. 가장 많이 palivizumab을 시작한 시기는 10월 셋째 주(18.7%)였으며, 9월 15일 이전에 palivizumab 예방요법을 시작하는 비율이 2007년 3.8%에서 2013년에는 14%로 증가하였다. 결론: RSV 유행 시기에는 해마다 차이가 있으며, palivizumab의 비용효과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매해 RSV 유행이 시작하는 시점에 따라 palivizumab 투여 시작 시기와 투여 기간을 조절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소아 급성 바이러스성 하기도 감염의 유행 및 임상양상 (1998년 9월-2003년 5월) (Epidemiology and Clincal Analysis of Acute Viral Respiratory Tract Infections in Children(September, 1998-May, 2003))

  • 이수진;신언우;박은영;오필수;김광남;윤혜선;이규만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8권3호
    • /
    • pp.266-275
    • /
    • 2005
  • 목 적 : 바이러스는 소아 하기도 감염증의 가장 흔한 원인으로 소아에서 흔히 이환되어 모세기관지염, 폐렴, 크룹, 기관 기관지염 등의 하기도 감염을 일으키는 원인 바이러스들로서 이들의 유행 시기 및 임상 양상을 조사하여 각 질환의 특성을 알아 보고자 하였다. 방 법 : 1998년 9월부터 2003년 5월까지 한림대학교 한강성심병원과 강남성심병원 소아과에 급성 호흡기 감염증으로 입원했던 환아 10,630명 중 총 4,554례에서 비인두 흡인물을 채취하여 바이러스 배양 및 단일 클론 항체를 이용한 면역 형광 검사법으로 881례(19%)에서 호흡기바이러스가 분리되었다. 그 중 모세기관지염, 폐렴, 크룹, 기관 기관지염 등의 급성 하기도 감염증으로 진단 받은 837례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고찰하였다. 결 과 : 1) RSV가 485례(55%)로 가장 많았고, PIV 152례(17%), FluA 114례(13%), ADV 79례(9%), FluB 51례(6%) 순이었다. 2) 발생시기는 RSV의 경우 연중 발생하였고, 주로 11-12월에 많았다. PIV 매년 4-6월에 최고치를 이루었고, FluA는 매년 11-12월부터 다음해 1월까지 발생하였으나, 2002년 1월과 11월에 가장 많았다. FluB는 매년 3-4월에 유행하였고, 그 중 2002년 4월에 최고치를 이루었다. ADV는 연중 비슷하게 발생하였다. 3) 남녀 성별 비는 3 : 2로 남아가 더 많았고, 중앙연령은 9개월이었다. 4) 임상적 진단에는 세기관지염 395례(47%), 폐렴 305례(36%), 크룹73례(9%), 기관 기관지염 64례(8%)의 순이었고, RSV의 경우 세기관지염이 280례(60%)였다. 5) 임상증상 및 징후에는 각 바이러스 모두 기침(96%), 가래(83%), 비루(65%), 발열(61%)이 많았고, ADV는 설사(23%)가 다른 바이러스에 비해 많았다. 6) 청진 소견으로 천명음이 들렸던 경우는 RSV가 55%로 많았고, 수포음은RSV(47%), ADV(43%), FluA(40%) 순이었다. 건성수포음은 FluB가 49%로 많았으며, 협착음은 PIV가 27%로 높았다. 7) 말초 혈액 백혈구 수는 전체 62%에서 정상이었고, 36%에서 증가하였다. 적혈구 침강 속도는 30%에서 증가하였고, C 반응 단백은 20%에서 양성이었다. 8) 방사선 소견은 고찰이 가능하였던 803례 중 각 바이러스 모두 정상 소견이 557례(69%)로 가장 많았고, 특징적으로 하인두 확장은 PIV에서 31례(21%)로 현저하게 많았다. 결 론 : 소아에서 급성 하기도 감염증의 중요한 원인을 차지하는 호흡기 바이러스는 각각 발생시기 및 유행 양상에서 차이를 보였으나, 임상 양상은 서로 비슷하였고, 배양검사 결과가 확인되기 이전에 정확한 원인 바이러스를 예측하고 규명하기에는 어려운 점이 있었다. 이에 질병을 예측할 수 있는 신속한 진단법들이 개발되어 항바이러스제제를 적절한 시기에 선택하고 또한 예방접종시기를 예측하는데 도움이 되어야겠다.

하기도 감염으로 입원한 소아에서 12종 바이러스의 검출 및 임상 양상 (Detection and clinical manifestations of twelve respiratory viruses in hospitalized children with acute lower respiratory tract infections : Focus on human metapneumovirus, human rhinovirus and human coronavirus)

  • 김금향;이정호;선동신;김용배;최영진;박준수;김창진;정동준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1권8호
    • /
    • pp.834-841
    • /
    • 2008
  • 목 적 : 급성 바이러스성 하기도 감염의 원인으로 알려진 바이러스의 임상 양상 및 역학 을 연구하고자 하였으며, 특히 새롭게 밝혀진 hRV, HCoV-229E/NL63, HCoV-OC43, hMPV를 중심으로 하였다. 방 법 : 2005년 12월부터 2006년 11월까지 순천향대학교 천안병원 소아과에 하기도 감염으로 입원한 환아들 중 863명을 대상으로 환아들의 비인두 흡인물에서 multiplex RT-PCR 법을 이용하여 총 12개의 바이러스를 검출하였다. 결 과 : 총 12개의 호흡기 바이러스에 대하여 검사를 하였을 때 863명 중 474명(54.9%)에서 바이러스 양성이 나타났다. hMPV이 6.8%, HCoV-229E/NL63 1.4%, HCoV-OC43 2.1%, hRV 9%로 검출되었고, 혼합감염은 22.8%였다. 급성 바이러스성 하기도 감염은 1세 미만에서 가장 흔하게 나타났다. 임상진단은 폐렴이 59.5%로 가장 많았고, 세기관지염이 24.7%, 기관기관지염이 11.4%, 크룹이 4% 순이었다. 세기관지염의 가장 흔한 원인 바이러스는 RSV B이고, 반면에 hMPV, hRV, HCoV-229E/NL63은 폐렴의 주요 원인 바이러스로 나타났다. 바이러스별 유행 양상은 hMPV는 3월부터 5월까지 유행하였고, HCoV-OC43은 11월부터 2월까지 유행하였다. 반면에 HCoV-OC43, HCoV-229E/NL63과 hRV는 연중 고른 분포를 보였다. 결 론 : 본 연구는 비록 연구 기간이 1년으로 짧았지만, 다른 나라의 경우와 비교해 hMPV가 겨울엔 검출되지 않고 3월에서 4월까지 주로 검출된다는 점과 HCoV가 우리나라에서는 별로 검출되지 않아 하기도 감염에서는 그 비중이 매우 미미하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