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ycelial cultivation

검색결과 363건 처리시간 0.028초

Artificial Cultivation Characteristics and Bioactive Effects of Novel Tropicoporus linteus (Syn. Phellinus linteus) Strains HN00K9 and HN6036 in Korea

  • Min, Gyeong-Jin;Kang, Hee-Wan
    • Mycobiology
    • /
    • 제49권2호
    • /
    • pp.161-172
    • /
    • 2021
  • Phellinus strains were collected from different areas in Korea. Of them, the fast mycelial growing strains were artificially cultivated on the oak logs to produce fruiting body. The varieties, Phellinus linteus ASI26099 (Korea Sanghwang) and P. baumii PBJS (Jangsoo Sanghwang) were grown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controls. Their cultivating characteristics including mycelial colonization, pinhead formation, and fruiting body formation rate were investigated on the logs. Basidiocarps of Phellinus strains HN00K9, HN6036, and ASI26099 were concentrically zonate and shallowly sulcate, and dark chestnut showing typical characteristics of Tropicoporus linteus (synonyum: P. linteus, Inonotus linteus, polyporus linteus), which is distinguishably different to PBJS. HN00K9 showed the highest yield of fruiting body among the mushroom strains. The β-glucan content in fruiting bodies of HN00K9 was 20% higher than those of other strains. Bioactive effects of polysaccharide samples from fruiting bodies of Phellinus strains, HN00K9, HN6036, ASI26099, and PBJS were assessed on cell viability and cytokine (IL-6 and TNF-α) inhibition and finally on anticancer to different human cancer cells.

한국산 간버섯의 인공재배 및 항산화 활성 평가 (Artificial Cultiva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Korean Native Mushroom Pycnoporus coccineus)

  • 이용국;김민경;윤봉식;서건식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21권2호
    • /
    • pp.35-47
    • /
    • 2019
  • 간버섯 균주의 균사 생장은 PDA와 YMA에서 균사의 밀도와 생장량이 양호하였으나, MEA에서는 균사 생장량과 속도가 저조하였다. 배양 기간 중 광(光)조사는 균사체의 색소 형성과 균사체 밀도에 영향을 주었다. 간버섯은 병 재배와 봉지 재배 모두에서 자실체를 발생시킬 수 있었고 종균 배양과 재배를 위한 가장 적합한 배지 원료는 참나무톱밥으로 밝혀졌다. 톱밥배지를 사용한 인공재배에서 자실체의 발생은 15일째부터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정도로 자실체 원기가 생장하였으며 상대습도가 낮은 처리구에서 5일 정도 빠르게 형성되었다. 버섯 발생 40~45일째에는 성숙한자실체를 수확할 수 있었고, 생육실의 상대습도가 낮은 편이 버섯 발생과 생육에 유리하였다. 인공재배에서 수확한 자실체의 항산화 활성을 조사한 결과, 간버섯의 ABTS radical 소거 활성은 병 재배 자실체 추출물과 야생 간버섯 자실체 methanol 추출물이 각각 505㎍/㎖, 515㎍/㎖의 농도로 낮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나 봉지 재배에서 수확한 자실체는 910㎍/㎖로 높게 나타났다. DPPH radical 소거 활성 결과 모든 추출물이 활성 2,000㎍/㎖ 농도 이상의 IC50값으로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간버섯의 ethyl acetate 추출물의 경우 간버섯 병 재배 자실체 추출물이 IC50값 154.5㎍/㎖으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간버섯 methanol 추출물은 동일 농도(10mg/㎖)에서 ABTS radical 소거 활성은 야생 간버섯 자실체 추출물이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다.

간버섯과 주걱간버섯의 배양특성 (Cultural Characteristics of Pycnoporus coccineus and P. cinnabarinus)

  • 가강현;이정희;허태철;윤갑희;박원철
    • 한국균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84-88
    • /
    • 2003
  • 간버섯과 주걱간버섯의 배양특성은 최적 온도범위 $30{\sim}40{\circ}C$, 최적 pH범위 pH $5{\sim}6$이었다. 6종의 배지 중 간버섯과 주걱간버섯은 PDA, LBA, YMA 배지에서 생장이 양호하였고, 동일 배지상에서 간버섯보다는 주걱간버섯의 생장이 약간 양호하였다. 10종의 톱밥배지중, 간버섯과 주걱간버섯은 참나무류(상수리나무, 신갈나무, 굴참나무)와 물오리나무에서 생장이 양호하였지만, 밤나무에서는 생장이 불량하였다. 침엽수 3종 중에서, 낙엽송이 소나무와 잣나무보다 간버섯과 주걱간버섯의 생장이 양호하였다. 버섯발생양은 간버섯이 주걱간버섯보다 약 2배 많았다.

환경조건이 표고톱밥배지의 갈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nvironmental condition to the mycelial browning of Lentinula edodes (Berkeley) Sing. during sawdust bag cultivation)

  • 김영호;전창성;박수철;유창현;성재모;공원식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15-121
    • /
    • 2009
  • 표고 톱밥배지의 갈변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광을 조사한 결과 100Lux 이상의 광처리에서 원하는 수량을 얻을 수 있었으며 암상태에서의 자실체의 발생은 기형버섯율이 높았으며 수량도 저조하였다. 그러나 갈변은 200 Lux이상의 광에서 정상적으로 이루어졌으며 가장 빨리 갈변이 되기 시작하였다. 온도별 처리에서는 $25^{\circ}C$의 배양온도를 유지하여 배양한 것이 갈변시작일도 가장 빨랐고 갈변도 가장 많이 진행되었으며 수량과 개체중량도 가장 높았으며 정상적인 수량을 나타낸 처리 중 기형버섯의 발생량도 가장 적었다. 배지내에 통기성이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솜마개의 크기를 달리하여 처리한 결과 마개의 크기가 클수록 균사의 생장량도 빨랐으며 갈변이 이루어지는 시기도 빨랐다. 그러나 자실체의 수량은 솜마개의 직경이 16mm일 때 가장 높았으며 마개가 클수록 배지내의 $CO_2$함량은 낮았으며 배양기간 중 갈변이 진행되는 8주에서 14주 사이에서 $CO_2$함량이 가장 높았다. 배양기간 중 $C_2H_4$함량은 8mm의 솜마개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였으며 12, 16, 20, 0, 4mm의 솜마개으로 발생하였다. $C_2H_4$함량도 $CO_2$함량과 같이 8주에서 14주사이의 배양기간에서 가장 높았다. 침수시간에 따른 자실체의 발생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침수시간별로 자실체의 수량과 효소들의 활성을 조사하였다. 침수를 하지 않은 배지는 수량이 침수를 한 배지에 비하여 약 40%가 감소하였다. 침수시간은 4시간과 15시간 침수한 것이 각각 165g/1000ml, 175g/1000ml 이었다. 침수시 cellulose분해효소는 침수에 따른 변화가 없으나 lignin 분해효소인 laccase는 침수시간에 따라 약 4 배정도까지 효소의 활력이 증가되었다.

  • PDF

인도산(印度産) 참나무(Quercus incana)를 이용한 표고재배(栽培)의 가능성(可能性)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Possidility of Oak Mushroom(Shiitake) Cultivation on Ban Oak (Quercus incana) of India)

  • 이응래
    • 한국균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31-36
    • /
    • 1978
  • 본(本) 실험(實驗)은 인도(印度) Simla지방(地方)에서 자생(自生)하고 있는 참나무 Ban oak(Q. incana)의 표고재배별용(栽培利用) 가능성(可能性)을 검토(檢討)하기 위(爲)하여 수행(遂行)되였다. 표고 균멱(菌)의 活着과 發育 및 자실체(子實體)의 발생상황(發生狀況)을 관찰(觀察)하고 원목성분(原木成分)을 한국(韓國)의 졸참나무(Q. Serrata)와 비교(比較)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Q. incana는 Q. serrat에 비(比)하여 Alcohol-Benzen extract. NaOH extract 및 Ash의 함유량(含有量)이 많았으나 cellulose pentosan은 적었다. 2. Q. incana를 이용(利用)한 톱밥배지(培地)에서의 균멱발육(菌發育)은 Q. serrata보다 신장속도(伸長速度)는 늦으나 균멱(菌)가 세밀하게 발육(發育)하였다. 3. 원목(原木)에서의 균멱발육(菌發育)은 실내시험(室內試驗)이나 야외시험(野外試驗) 공(共)히 Q. serrate가 빨랐으며 균멱(菌)의 활착량(活着率)은 두 수종간(樹種間)에 차이(差異)가 없고 양호(良好)하였다. 4. 원본(原本)에 종균접종후(種菌接種後) 16개월(個月)만에 Ban oak(Q. incana) 및 졸참나무(Q. serrata)에서 전대에서 첫 버섯이 발생(發生)하였다. 5. 이상(以上)의 결과(結果)에서 Ban oak(Q. incana)를 이용(利用)한 표고재배(栽培)는 가능(可能)하다고 사료(思料)된다.

  • PDF

느타리버섯 재배기간중 배지의 성분변화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Compositional Change of Media During Oyster Muchroom Cultivation)

  • 홍재식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37-46
    • /
    • 1979
  • 나왕과 소나무배지에서 느타리버섯 재배기간 중 배지의 성분변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종균접종시부터 수확이 끝나는 폐상시까지의 두 가지 배지와 버섯의 여러가지 성분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느타리버섯의 전체수량은 나왕배지에서 6.39kg/$m^2$, 소나무배지에서 6.31kg/$m^2$이었고, 양배지 모두 94% 1, 2주기에서 얻어졌다. 2) 재배기간중 양배지의 회분량은 증가 되었으나 유기물은 감소되었으며 수분은 종균접종시 약 79%이던 것이 균사번식기간 중에 다소 감소되었고 그 이후부터는 큰 변화가 없었다. 3) 두 가지 배지의 전질소는 점차적으로 감소되었고 불용성질소의 절대감소량은 수용성 질소보다 컸으며 아미노태 질소는 계속 증가의 추세를 보이었다. 4) 두 가지 배지에서 pentosan, $\alpha$-cellulose, lig-nin 및 C/N율은 점차적으로 감소되었고 환원당, trehalose, mannitol은 계속 증가의 추세를 보이었다. 5) 두 가지 배지에서 P, K, Mn, Zn은 감소되었고, Mg, Ca, Fe, Cu는 불규칙하게 변화되었다. 6) 재배기간중 CMC 당화활성과 CMC 액화활성은 균사번식후부터 2주기 수확까지는 두 가지 배지에서 점차적으로 증가되었으나 그 이후부터는 감소되었다. Xylanase활성은 1주기보다 2주기에서 급격히 상승되었고 3주기부터는 서서히 감소되었으며, protease 활성은 균사번식 후 최고의 활성도를 보였다가 점차로 감소하였다. 또한 배지의 pH는 재배기간에 걸쳐 다소 감소되었다. 7) 두 가지 배지에서 버섯의 각 주기별 성분변화는 1~3주기까지는 거의 비슷하였으나 4주기에서는 다소 감소의 추세를 보였다.

  • PDF

흰깔대기버섯의 배양적 특성 및 인공재배에 관한 연구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Artificial Cultivation of Edible Mushroom, Clitocybe maxima)

  • 김민경;김동욱;강희완;서건식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20권1호
    • /
    • pp.35-47
    • /
    • 2018
  • 흰깔대기버섯(Clitocybe maxima) 총 6균주를 한국, 중국, 대만에서 수집 확보하였으며, 중국과 대만에서 각각 수집한 C. maxima와 L. giganteus는 중국명이 동일하고 배양적 특성 결과 동일종으로 판단되었다. 수집된 흰깔대기버섯 균주의 균사생장은 한천배지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액체배양에서는 YPMG에서 가장 좋았다. 또한 균사생장 최적온도는 25℃, 자실체 유도 최적온도는 30℃로 밝혀졌으며 균사생장 최적 pH는 6.0-8.0으로 밝혀졌다. 흰깔대기버섯을 인공재배하기 위하여 농산부산물 및 임업부산물을 이용하여 배양적 특성 및 인공재배를 실시하였으며, 볏짚, 미루나무톱밥, 콘코브, 미송배지에서 균사 생장이 양호하여 이를 재배용 배지 재료로 선발하였다. 공시균주를 접종한 7 종류의 배지에서 균사생장 속도는 폐면, 혼합배지2, 미루나무톱밥 순으로 균사 생장이 양호하였다. 흰깔대기버섯을 인공재배하기에 가장 적합한 배지는 혼합배지2(배합비 : 활엽수톱밥 55%, 면실피펠렛 5%, 면실박 10%, 비트펄프 15%, 팽연왕겨 15%)이며, 배양에서부터 수확까지 30여일 소요되어 느타리버섯보다 빠른 수확이 가능하였다. CMA-003 균주는 공시된 모든 배지에서 자실체 유도처리 8~10일 후 자실체 원기 형성되었고, CMA-003 균주는 다발성 발이를, 그 외의 균주들은 개체발이를 보이며, 원기 발생 후 7~17일 생육으로 자실체 수확 할 수 있었다. 다발성인 CMA-003 균주의 대길이, 갓직경과 개체중량은 개체 발이하는 다른 균주들보다 작았지만, 수확률이 높아 농가 재배용 균주를 선발하였다. 흰깔대기버섯 자실체 유도 및 생육에 적합한 온도는 25~30℃, 백색형광등 8시간/1일 조사, 상대습도 : 90~95%, 재배실 CO2 농도 1,500 ppm 이하로 유지하여, 국내의 여름철 고온기에 냉방시설이 없는 간이재배사, 영세 느타리버섯 재배 농가에서 재배 가능하였다.

톱밥재배용 표고 품종의 단핵균사체와 2핵균사체의 한천과 톱밥배지에서의 균사생장 (Mycelial Growth of Monokaryotic and Dikaryotic Strains of Lentinula edodes Cultivars for Sawdust Cultivation on the Agar and Sawdust Culture media)

  • 김민경;김성태;김소라;김은지;진미경;이용국;서건식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19권1호
    • /
    • pp.83-90
    • /
    • 2017
  • 표고 육종 소재를 개발하기 위하여 톱밥봉지재배용 품종의 2핵균사체와 단핵균사체를 한천배지와 톱밥배지에서 배양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품종은 산조 701호, 산조 705호, 참아람, 추제 2호를 사용하였다. 공시 표고 품종의 균사생장은 산조 705호를 제외한 품종 모두 PDA에서 가장 양호하였으나 산조 705호는 MCM에서의 균사 생장이 가장 양호하였다. 품종에 관계없이 표고 균사는 MEA에서 가장 안정적인 균사생장을 보였다. 톱밥배지에서 공시균주의 균사생장은 품종 간의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산조 701호와 705호보다 약 10%정도 빠르게 생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조701호와 참아람의 단핵균사체는 2핵 균사체보다 균사생장이 저조하였다. 2핵균사체는 참아람이 산조 701호보다 균사생장이 양호하였으나 단핵균사체는 전체적으로는 산조 701호가 참아람보다 균사생장이 양호하였다. 선발된 단핵 균사체는 균사생장이 매우 다양하고, 형성된 균총의 형태도 매우 다양하여 유전적으로 매우 다양한 단핵 균사체가 선발된 것으로 추정할 수 있고, 이들 단핵 균사체는 교배육종을 위한 좋은 육종 소재로 기대된다.

Ganoderma lucidum WK-003 균사체 액체배양으로부터 균체외 고분자물질의 생산조건과 간 보호 효과 (The Optimum Conditions for the Production of Exo-polymer from Submerged Mycelial Culture of Ganoderma lucidum WK-003 and It's Hepatoprotective Effect)

  • 송치현;양병근;전용재;나경수;손동환;김혁일;김영환
    • KSBB Journal
    • /
    • 제13권4호
    • /
    • pp.364-368
    • /
    • 1998
  • The optimum conditions of the production of exo-polymer by Ganoderma lucidum WK-003 and it's hepatoprotective effect was studied. Optimum conditions for the production of exo-polymer (3.18 g/$\ell$) by using shaken flask culture of G. lucidum WK-003 were pH 4.5, 30$^{\circ}C$, 120 rpm for 18 days cultivation. Also exo-polymer productio (7.15 g/$\ell$) was optimized by 5$\ell$ jar fermenter cultivation with condition of pH 4.5, 30$^{\circ}C$, 200 rpm, 1.0 vvm for 6 days cultivation. Glutamic pyruvic transaminase(GPT) activities in serum of intoxicated Sprague-Dawley rat were decreased from 704 IU/L to 330 IU/L by oral administration of the exo-polymer (20mg/kg$.$day)f or 4 consecutive days.

  • PDF

톱밥재배에 의한 목이의 자실체 생산 (Fruit-body Production of Auricularia auricula-judae by Sawdust Cultivation)

  • 조우식;황억금;강민진;최성용
    • 한국균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5-7
    • /
    • 2010
  • Auricularia auricula-judae is an edible mushroom, which is known as wood ear, free ear, black ear mushroom, and free jelly fish. Present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possibility of artificial cultivation with oak sawdust of A. auricula-judae. The duration of mycelial growth and days of pinhead formation on oak sawdust bag (1.4 kg) were 29~32 days and 13~17 days, respectively. The yield of fresh fruit-body was 275~350 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