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ycelial Growth of Monokaryotic and Dikaryotic Strains of Lentinula edodes Cultivars for Sawdust Cultivation on the Agar and Sawdust Culture media

톱밥재배용 표고 품종의 단핵균사체와 2핵균사체의 한천과 톱밥배지에서의 균사생장

  • Kim, M.K. (Korea National College of Agriculture and Fisheries) ;
  • Kim, S.T. (Korea National College of Agriculture and Fisheries) ;
  • Kim, D.Y. (Korea National College of Agriculture and Fisheries) ;
  • Kim, E.J. (Korea National College of Agriculture and Fisheries) ;
  • Jin, M.K. (Korea National College of Agriculture and Fisheries) ;
  • Lee, Y.K. (Korea National College of Agriculture and Fisheries) ;
  • Seo, G.S. (Korea National College of Agriculture and Fisheries)
  • 김민경 (한국농수산대학 버섯학과) ;
  • 김성태 (한국농수산대학 버섯학과) ;
  • 김소라 (한국농수산대학 버섯학과) ;
  • 김은지 (한국농수산대학 버섯학과) ;
  • 진미경 (한국농수산대학 버섯학과) ;
  • 이용국 (한국농수산대학 버섯학과) ;
  • 서건식 (한국농수산대학 버섯학과)
  • Published : 2017.06.30

Abstract

In order to develop the culture material for breeding of Lentinula edodes, dikaryotic and monokaryotic mycelia were cultured in agar and sawdust medium. The cultivars were used Sanjo No. 701, Sanjo No. 705, Chamaram and Chuje No. 2 in this study. The mycelial growth of the cultivars were highest in PDA except for Sanjo No. 705, but Sanjo No. 705 showed the best mycelial growth in MCM. Regardless of the cultivars, the mycelial growth showed the most stable in MEA.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ycelial growth among the cultivars in sawdust medium, but it was about 10% faster than that of Sanjo No. 701 and 705. Monokaryotic strains of Sanjo No. 701 and Chamaram showed less mycelial growth than dikaryotic mycelium. Dikaryotic mycelium of Chamaram showed better mycelial growth than that of Sanjo No. 701, but monokaryotic mycelium of Chamaram showed lower mycelial growth than Sanjo No. 701. The selected monokaryotic mycelium has a wide varience of mycelial growth, and the morphologies of the colonies are very diverse, so those are presumed that wide variences of monokaryotic are selected in genetically, and these monokaryotic mycelium are expected to be a good breeding materials.

표고 육종 소재를 개발하기 위하여 톱밥봉지재배용 품종의 2핵균사체와 단핵균사체를 한천배지와 톱밥배지에서 배양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품종은 산조 701호, 산조 705호, 참아람, 추제 2호를 사용하였다. 공시 표고 품종의 균사생장은 산조 705호를 제외한 품종 모두 PDA에서 가장 양호하였으나 산조 705호는 MCM에서의 균사 생장이 가장 양호하였다. 품종에 관계없이 표고 균사는 MEA에서 가장 안정적인 균사생장을 보였다. 톱밥배지에서 공시균주의 균사생장은 품종 간의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산조 701호와 705호보다 약 10%정도 빠르게 생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조701호와 참아람의 단핵균사체는 2핵 균사체보다 균사생장이 저조하였다. 2핵균사체는 참아람이 산조 701호보다 균사생장이 양호하였으나 단핵균사체는 전체적으로는 산조 701호가 참아람보다 균사생장이 양호하였다. 선발된 단핵 균사체는 균사생장이 매우 다양하고, 형성된 균총의 형태도 매우 다양하여 유전적으로 매우 다양한 단핵 균사체가 선발된 것으로 추정할 수 있고, 이들 단핵 균사체는 교배육종을 위한 좋은 육종 소재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고한규, 최선규, 김선철, 박용훈, 김경진, 이원호, 노종현, 이병석, 김인엽, 이형근. (2014). 표고버섯재배기술. 산림조합중앙회 산림버섯연구센터. 79-88.
  2. 김영호, 전창성, 박수철, 유창현, 성재모, 공원식. (2011). 표고 수집 균주의 재배적 특성 및 갈변과의 상관관계. 한국버섯학회지 9(4):145-154.
  3. 노종현, 고한규, 박흥수, 구창덕. (2015). 표고톱밥재배용 모균주 선발과 교배균주의 균사배양 및 생육특성. 한국버섯학회지 13(1):41-49.
  4. 노종현, 구창덕, 박흥수, 고한규. (2015). 표고톱밥재배용 교배균주의 자실체 온도형 및 생산성 비교. 한국버섯학회지 13(4):294-300.
  5. 유영복, 공원식, 장갑열, 김범기. (2010). 버섯의 육종. (In 버섯학). 자연과 사람. 186-243.
  6. 유창현. (2003). 한국버섯산업의 발전사. 한국버섯학회지 1(1):1-8.
  7. 이봉훈, 박원철, 윤갑희. (2006). 톱밥종균, 성형종균 및 액체 종균을 사용한 표고톱밥배지에서의 생산성 비교. 한국균학회지 34(2): 79-83.
  8. 이원호, 김인엽, 고한규, 김선철, 최선규, 노종현, 박흥수. (2014). 표고버섯의 배양적 특성 및 자실체 형석에 관한 연구. 한국버섯학회지 12(1):24-28.
  9. 임업연구원. (1998). 표고재배기술. 임업연구원 연구자료. 제141호. pp351.
  10. 산림청 국립산림품종관리센터 www.nfsv.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