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ltiple-input-multiple-output

검색결과 1,149건 처리시간 0.029초

스트림 데이터에서 슬라이딩 윈도우를 사용한 조인 연산의 효율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iciency of Join Operation On Stream Data Using Sliding Windows)

  • 양영휴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149-157
    • /
    • 2012
  • 이 논문은 슬라이딩 윈도우를 사용하는 스트림 데이터에서 모든 조인 연산의 상태를 저장하기에 메모리가 충분하지 않을 경우에, 연속적인 슬라이딩 윈도우 조인 연산의 근사치 답을 구하는 문제에 대한 연구이다. 근사치를 구하는 두 가지 방법으로는 최대 부분집합으로 근사치를 구하는 방법과 조인 결과에서 임의의 결과를 택하는 방법이 있다. 전자는 잃어버리는 튜플의 수를 최소화 하고, 후자는 조인의 결과가 집계로 나타날 때 사용된다. 이 논문에서는 임의의 입력 데이터에 슬라이딩 윈도우가 사용되는 경우 두 가지 방법으로 얻는 근사치 모두 효율적이지 못함을 보여준다. 기존의 최대 부분집합에 의해 근사치를 구하는 모델에서는 빈도-기반 모델을 사용하였는데. 샘플링이 문제가 되었다. 오히려 스트림 도착한 이후의 연령-기반 모델이 많은 응용분야에서 더 적절하게 사용 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최대 부분 집합과 임의의 결과라는 두 가지 근사치 측정법을 분석, 그 효율성을 비교하여 보여 준다. 또한, 메모리가 제한 되어있는 환경에서 다중 조인 연산이 수행 될 경우에, 어떤 경우에도 근사치 측정을 최적화할 수 있도록, 조인 연산 전체에 필요한 메모리를 적절하게 할당하는 알고리즘의 효율성을 분석한다.

조광제어를 고려한 MIMO-VLC 시스템의 전력 효율 분석 (Power-efficiency Analysis of the MIMO-VLC System considering Dimming Control)

  • 김용원;이병진;이병훈;이민정;김경석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169-180
    • /
    • 2018
  • 백색 발광다이오드(LEDs)는 형광등보다 경제적이며 높은 밝기, 수명, 내구성을 제공한다. 이러한 LED는 사람들의 일상생활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LED의 조광제어는 에너지 절약과 삶의 질 향상에 중요한 요소이다. 이 LED를 사용하는 가시광통신시스템에서는 안테나 수에 비례해 채널 용량을 확보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복수의 MIMO(입력 다중 출력) 기술이 많은 관심을 끌었다. 본 논문은 가시광통신(VLC) 시스템에서 적용된 공간-시간 블록 코드(STBC) 기법의 세 가지 변조의 전력 성능을 분석한다. 변조 방식은 RZ-OOK(Return-to-On-Ok), 가변 펄스 위치 변조(VPPM), 중첩 펄스 위치 변조(OPPM) 및 조광 제어를 적용하였다. 전력 요구사항과 전력 소비는 세 가지 종류의 변조 하에서 $2{\times}2$ STBC-VLC 환경에서 전력 효율을 비교하는 지표로 사용되었다. 조광 제어가 각 변조 체계의 통신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다. 확인 결과 VPPM은 세 가지 변조 중 소비량이 더 많았으며 OPPM은 VPPM에 비해 에너지 절감 효과를 보였다.

커패시터 커플링 노이즈를 줄인 단일 전원 CMOS 베타선 센서 회로 설계 (Design of Single Power CMOS Beta Ray Sensor Reducing Capacitive Coupling Noise)

  • 김홍주;차진솔;황창윤;이동현;;박경환;김종범;하판봉;김영희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338-347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DB하이텍 0.18㎛ CMOS 공정을 이용하여 진성난수 생성기에 사용되는 베타선 센서 회로를 설계하였다. CSA 회로는 PMOS 피드백 저항과 NMOS 피드백 저항을 선택하는 기능, 50fF과 100fF의 피드백 커패시터를 선택하는 기능을 갖는 회로를 제안하였다. 그리고 펄스 셰이퍼(pulse shaper) 회로는 비반전 증폭기를 이용한 CR-RC2 펄스 셰이퍼 회로를 사용하였다. 본 논문에서 사용한 OPAMP 회로는 이중 전원(dual power) 대신 단일 전원(single power) 사용하고 있으므로 CR 회로의 저항과 RC 회로의 커패시터의 한쪽 노드는 GND 대신 VCOM에 연결한 회로를 제안하였다. 그리고 펄스 셰이퍼의 출력신호가 단조 증가가 아닌 경우 비교기 회로의 출력 신호가 다수의 연속된 펄스가 발생하더라도 단조 다중발진기(monostable multivibrator) 회로를 사용하여 신호 왜곡이 안되도록 하였다. 또한 CSA 입력단인 VIN과 베타선 센서 출력단을 실리콘 칩의 상단과 하단에 배치하므로 PCB trace 간의 커패시터 커플링 노이즈(capacitive coupling noise)를 줄이도록 하였다.

전류모드 CMOS에 의한 다치 연산기 구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lementation of Multiple-Valued Arithmetic Processor using Current Mode CMOS)

  • 성현경;윤광섭
    • 전자공학회논문지C
    • /
    • 제36C권8호
    • /
    • pp.35-45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GF(p^m)$상에서 두 다항식의 가산 및 승산 알고리즘을 제시하였고, 가산 및 승산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전류 모드 CMOS에 의한 $GF(4^3)$상의 직렬 입력-병렬 출력 모듈 구조의 4치 연산기를 구현하였다. 제시된 전류 모드 CMOS 4치 연산기는 가산/승산 선택 회로, mod(4) 승산 연산 회로, mod(4) 가산 연산 회로를 2개 연결하여 구성한 MOD 연산회로, mod(4) 승산 연산 회로와 동일하게 동작하는 원시 기약 다항식 연산 회로에 의해 구현하였으며, PSpice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이 회로들에 대하여 동작 특성을 보였다. 제시된 회로들의 시뮬레이션은 $2{\mu}m$ CMOS 기술을 이용하고, 단위 전류를 $15{\mu}A$로 하였으며, VDD 전압은 3.3V을 사용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전류 모드 CMOS의 4치 연산기는 회선 경로 선택의 규칙성, 간단성, 셀 배열에 의한 모듈성의 이점을 가지며, 특히 차수 m이 증가하는 유한체상의 두 다항식의 가산 및 승산에서 확장성을 가지므로 VLSI화 실현에 적합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간섭 제거와 수신 성능 향상을 위한 전처리기법을 적용한 LDC기반의 다중 사용자 다중 입출력 시스템 (An LDC-based MU-MIMO System with Pre-coding for Interference Cancellation and Robust Reception)

  • 박명철;조봉균;한동석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0권4호
    • /
    • pp.17-25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다중사용자 다중입출력 시스템에서 대역폭 효율의 감소 없이 페이딩에 대한 수신 성능을 향상시키는 부호화 알고리듬을 제안한다. 기존의 다중사용자 다중입출력 방식으로 사용되는 공간분할다중화 방식은 페이딩 경로에 취약하며, 이를 극복하기 위한 시공간블록부호화 방식은 전송량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 부호화 알고리듬은 페이딩 환경에 강인하고 전송량이 송신 안테나 개수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LDC(linear dispersion code) 기법을 이용하여 송신 심벌을 부호화하고, 예측한 채널 이득의 특이값 분해 값을 LDC 부호화 심벌에 전처리하여 성능을 개선한다. 그리고 컴퓨터 모의실험을 통하여 기존 알고리듬과 제안하는 알고리듬의 성능을 비교 평가한다.

Knowledge Sharing in the New World of Work : Effects of the New Way of Working

  • de Kok, Arjan;Esten, Roel;Helms, Remko W.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315-335
    • /
    • 2015
  • The New Way of Working (NWOW) is changing the world in which we work today. The principles of NWOW are based on freedom of time and place to work, and steering on output (results) instead of input (presence). As NWOW is a relatively new phenomenon, research on the effect of NWOW on knowledge sharing in organizations is scarce. In this research two multiple-case studies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New Way of Working on knowledge. In the first study (A) different knowledge sharing scenarios were used at organizations that were in the process of implementing NWOW. This provided the opportunity to compare the sharing of knowledge between 'NWOW workers' and employees that still worked in the traditional way (non-NWOW workers). In total 216 scenario results were evaluated to determine differences in channel choice between the traditional and new work environment. For the second study (B) a Knowledge Sharing Framework was developed, based on the theories of Nonaka and Alavi & Leidner. This framework was used to determine the type of knowledge shared, e.g. tacit or explicit knowledge, in 84 situations. Additionally, to measure the level of NWOW adoption, a NWOW Analysis Monitor was used. The results show that NWOW workers use more different communication channels than traditional workers. When knowledge workers become more mobile, they will exchange knowledge less explicit (codified) and more tacit (personalized), use less face-to-face communication, but more video calls and e-mail. The adoption of the principles of NWOW seems to have a balancing effect on the knowledge that is shared in a tacit and explicit way, which in the view of Scheepers et al. is an effective knowledge sharing strategy. The research results show organizations need to realize that the New World of Working is affecting the way knowledge is shared. Missing out on this development may result in the loss of important knowledge and impact the operation of organizations.

FMCW 레이더 주파수합성기용 델타-시그마 변조기의 시뮬레이션 (A Simulation of Δ-Σ Modulators for Frequency Synthesizers of FMCW Radars)

  • 황인덕;김창환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707-714
    • /
    • 2012
  • 1단 2차 다중 피드백 델타-시그마 변조기와 2단 2차 MASH 델타-시그마 변조기를 해석하였으며 Simulink와 Matlab을 사용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동작 특성을 비교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두 델타-시그마 변조기는 군지연 왜곡을 일으키지 않는다. 2) 잡음 성형 성능은 거의 같으며 잡음 성형의 결과 전력 스펙트럼 밀도는 40 dB/dec의 기울기를 갖는다. 3) 스퓨리어스 톤은 없다. 4) 두 변조기의 입력 범위는 공통적으로 -1부터 1까지이다. 5) 2단 MASH 변조기는 출력이 2 비트(4 레벨)이어서 PLL의 주파수 분주기와 charge pump의 설계가 복잡해진다.

이동 차량에서의 실시간 자동차 번호판 인식 (Real-time Recognition of Car Licence Plate on a Moving Car)

  • 박창석;김병만;서병훈;김준우;이광호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32-43
    • /
    • 2004
  • 이동중인 차량에 카메라를 설치하여 주행 중에 정지 또는 주행중인 자동차의 영상을 획득하여, 이를 인식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주행 중에 획득한 영상에서 번호판 영역을 추출하기 위하여, 번호판 영역에서 나타나는 강한 수직 에지 성분을 이용하여 번호판 후보 영역들을 찾고 이진화 된 영상에서의 배경과 문자의 구성비를 따져 번호판 영역을 추출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자동차 번호판 인식을 위하여 다중 클래스 인식을 지원하는 SVM과 모듈라 신경망 인식 성능을 비교하였으며, 인식률을 높이기 위하여 SVM을 모듈라 신경망과 결합하여 다중 클래스 분류기로 확장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실험하였다. 실험결과, 제안하는 분류기를 이용한 방법이 번호판 인식에 우수한 성능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 PDF

다중경로를 갖는 가상병렬 다단계 상호연결 네트워크 (Virtual-Parallel Multistage Interconnection Network with multiple-paths)

  • 김익수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4권1호
    • /
    • pp.67-75
    • /
    • 1997
  • 본 논문은 프로세서와 기억장치 모듈 사이에 다중의 연결경로를 갖는 가상병렬 다단계 상호 연결 네트워크에 대해 서술하고 있다. 제안된 가상병렬 MIN 네트워크는 입력 스위칭 블럭에 $m{\times}1$ 멀티플렉서와 출력 스위칭 블럭에 $1{\times}m$디멀티플렉서를 그 리고 logN-1 단의 스위칭단을 사용하여 프로세서와 기억장치 모듈 사이에 최대 $2{\times}m$개의 독립된 연결경로를 갖고 있다. MIN 네트워크는 다중의 중복된 연결경로를 갖고 있기 때문에 다수의 프로세서들은 동시에 서로 다른경로를 통해 특정의 출력포트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새로운 가상-병렬구조의 MIN 네트워크는 스위칭 블럭에서 패킷 충돌의 가능성을 줄일 수 있으며 제안된 MIN 네트워크를 Passthrough ratio, 신뢰도 와 가격의 측면에서 MBSF 구조의 MIN 네트워크와 비교하였다. 가상-병렬구조의 MIN 네트워크는 MBSF 구조의 MIN에 비해 성능이 개선되었으며 매우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 졌음을 확인하였다.

  • PDF

DEA를 이용한 국립대학도서관 경영효율성 분석 (An Analysis of the Relative Efficiency for the National University Libraries using DEA Model)

  • 조성한;박동진;이길호;윤동원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253-274
    • /
    • 2009
  • 효율성은 산출물의 가치와 그 산출물의 생산과정에서 소요되는 투입물가치의 비율로 나타낸다. DEA모형은 효율성을 여러 가지 투입물의 가중평균에 대한 산출물 가중평균의 비율로 표시하며, 특정 의성결정단위의 효율성을 유사한 투입 산출구조를 가지는 준거집단과 비교함으로써 상대적인 측면에서 측정하는 방법이다. 본 연구는 DEA모형을 이용하여 국립대학도서관의 효율성과 효율성 개선에 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투입변수로는 직원수, 시설면적, 예산, 장서량을 사용하였고, 산출변수로는 자료실이용자수, 대출책수, 상호대차이용건수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전국 26개의 국립대학도서관 중 효율적인 도서관은 2007년, 2006년, 2005년에 각각 10개, 9개, 9개로 나타났다. 또한 비효율적인 국립대학도서관의 경우 투입물을 줄이고, 산출물을 늘여야 할 정보들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