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ltiple-baseline across behaviors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17초

3단계 지시따르기에 의한 수용언어촉진이 아스퍼거 아동의 반응시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prompting through 3-steps compliance training to reaction time for child with Asperger's syndrome)

  • 윤현숙;윤선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5권4호
    • /
    • pp.137-146
    • /
    • 2014
  • 본 연구는 3단계 지시따르기를 통한 수용언어촉진이 아스퍼거 아동의 반응시간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자는 3세 8개월 남아로, 반응이 느리고 지시따르기에 어려움을 보이는 특성을 보였다. 연구 설계는 행동간 복식기초선 설계법(multiple-baseline across behaviors)이었으며, 종속변인은 지시 후 아동의 반응에 걸리는 시간이었다. 연구결과 행동 1(손들기)의 경우 장면 1(자유놀이)의 기초선 반응시간 3회 평균 3.53초였던 것이 중재이후 평균 0.92초로 짧게 나타났다. 장면 2(생각놀이)의 기초선 반응시간 3회 평균 3.63초가 중재이후 평균 0.66초로 짧아졌다. 행동 2(지시수행하기)의 경우 장면 1(자유놀이) 6회 기초선 평균 3.12초에 나타난 반응이 중재 이후 평균 1.58초로 빠르게 나타났다. 장면 2(생각놀이)의 기초선 6회 평균 4.35초 였던 반응이 중재이후 평균 1.72초로 빠르게 나타났다. 행동 3(대답하기)의 경우 장면 1(자유놀이) 9회 기초선 평균 2.51초에 나타난 반응이 중재이후 평균 1.25초로 빠르게 나타났다. 장면 2(생각놀이)의 기초선 9회 평균 3.04초 였던 반응이 중재이후 평균 0.75초로 빠르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반응이 느린 아스퍼거 장애 아동의 수용언어 촉진에 3단계 지시따르기가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안전 리더십 코칭 프로그램이 건설 현장 근로자들의 안전 행동에 미치는 효과 : 행동기반 안전관리(Behavior Based Safety: BBS)를 중심으로 (An Effect of Safety Leadership Coaching Program on Safety Behaviors of Construction Workers: Based on Behavior Based Safety)

  • 이지동;오세진;문광수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115-122
    • /
    • 2018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safety leadership coaching program on managers' safety management and workers' safety behaviors in construction site. Three or four managers and about one hundred workers at each site participated in this study. Safety leadership coaching program consisted of safety leadership education, goal setting, self-monitoring and feedback on workers' safety behavior, reward for three safety management behaviors; (1) safety observations of workers safety behavior and (2) providing positive feedback on safe behavior (3) providing corrective feedback on risk behavior and daily safety education for workers. Dependent variables were the percentage of safe behaviors of workers and frequency of managers' safety management behaviors. A nonconcurrent AB multiple baseline design across settings was adopted. After baseline(A), safety leadership coaching program (B) was introduced to each site. The results showed that safety leadership coaching program was effective to increase managers' and workers' safety behaviors. These results suggest that safety leadership coaching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would be an alternative treatment technique to improve construction safety management. In addition, the implications,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uture studies are discussed.

Effect of a Safety Leadership Training Including Coaching on Safety Performance and Climate in Wood-processing Companies

  • Kwangsu Moon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15권3호
    • /
    • pp.310-316
    • /
    • 2024
  • Background: The wood-processing industry has historically exhibited high rates of occupational hazards resulting in illness and injury. One of the major causes of high injury rates is small firm size, as resource constraints generally preclude hiring safety officers.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a safety leadership training program that included coaching for managers on workers' safety behaviors and safety climate in three wood-processing companies. Methods: One or two managers at each sit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manager training consisted of safety leadership education, safety observation, positive or corrective feedback on workers' behaviors, goal setting, and low-cost rewards for meeting goals. The dependent variable was the percentage of safe employee behaviors recorded on a critical behavior checklist developed for this study. Safety climate was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An AB multiple baseline design across settings was adopted. After the baseline (A), the training program (B) was introduced to each site at different points in time. Results: After the introduction of safety leadership training, the mean rate of safety compliance increased by 15.3%, from 80.38% to 95.68%, and safety climate scores increased significantly from an average of 3.2 to 3.47.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safety leadership coaching can be effective in improving safety management in small sawmilling sites.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possible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discussed.

행동기반 안전관리(Behavior Based Safety: BBS) 프로그램이 버스 기사 및 승객의 안전행동에 미치는 효과 검증: 현장 사례 연구 (The Effect of Behavior Based Safety Program on Safe Behaviors of Bus Drivers and Passengers: A Field Case Study)

  • 노가은;오세진;문광수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09-117
    • /
    • 2018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Behavior Based Safety(BBS) program on safe behaviors of bus drivers and passengers. Four male bus drivers working at a H transportation company situated in Seoul participated in this study. BBS program consisted of education, prompts, and self-monitoring with goal setting. Dependent variables were the percentage of two safe driving behaviors of bus drivers (departure after stopping for 3 seconds, announcement for holding bus handles) and the percentage of one safe behavior of passengers getting on the busses those drivers drove (holding bus handles). A primary observer and two trained assistant observers measured two safe behaviors of the bus drivers with behavior checklists by riding on the busses and the passengers' safe behavior was observed by CCTV installed on each bus. An ABC multiple baseline design across participants was adopted. After baseline(A), education and prompts(B) and self-monitoring with goal setting(C) were introduced sequentially to each participant. The results showed that BBS program was effective to increase both bus drivers' and passengers' safe behaviors. Especially self-monitoring with goal setting was more effective in improving safe behaviors of bus drivers than education/promp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education/prompts and self-monitoring with goal setting would be an alternative treatment technique to improve safety for lone workers such as bus drivers.

자기-관리 기법이 운전자의 에코 드라이빙 행동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Self-management Technique on Eco-driving Behaviors)

  • 이계훈 ;최신정 ;최인섭 ;오세진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7권4호
    • /
    • pp.381-393
    • /
    • 2011
  • 에코 드라이빙은 자동차의 증가로 인하여 발생하는 환경오염, 에너지 소비, 교통사고를 줄이기 위한 친환경 운전 방법이다. 에코 드라이빙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는 주로 공학적, 교육적 방법에 초점이 맞추어져 왔으나, 심리학적 처치를 통해 이를 줄이고자 하는 연구는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는 행동주의 처치 기법의 하나인 자기-관리 기법이 운전자의 에코 드라이빙 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자기-관리 기법에는 세 가지 처치 요소가 포함되었다: 목표 설정, 셀프-모니터링, 보상. 자기-관리 기법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정기적으로 운전을 하는 세 명의 직장인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AB 다중 기저선 설계가 사용되었다. 기저선 단계(A)가 끝난 후, 자기-관리 기법 단계(B)가 적용되었다. 자기-관리 기법 단계에서 각 참가자는 두 가지 운전 행동(e.g., 과속, 급출발)에 대하여 목표를 설정하였으며, 자신의 운전 행동을 매일 기록하였다. 기록한 운전 행동이 목표에 도달할 경우 보상이 주어졌다. 연구 결과, 자기-관리 기법은 운전자의 에코 드라이빙 행동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감각통합치료가 발달지연 아동의 침 흘림과 놀이에 미치는 효과: 단일사례연구 (Effect of Sensory Integration Therapy with Oral Activity on Drooling and Play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 Single-Subject Research)

  • 박소희;홍은경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54-64
    • /
    • 2023
  • 목적 : 본 연구는 구강감각의 감각조절장애가 있는 발달지연 아동을 대상으로 구강활동을 포함한 감각통합 치료를 적용하여 침 흘림과 구강장난감을 활용한 놀이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대상은 2세 8개월의 구강감각의 감각조절장애가 있는 발달지연 남아 2명이었다. 단일대상연구 ABA' 중 대상자간 중다기초설계(multiple-baseline design across subjects)를 사용하였다. 목표행동은 목표성취도 척도(Goal Attainment Scale; GAS)를 사용하여 침 흘림과 구강 장난감을 활용한 놀이 대한 관심과 집중으로 측정하였다. 중재기(B) 10회기 동안 구강활동과 고유-전정 중심의 감각통합치료를 아동에게 적용하였다. 결과 : 침 흘림은 기초선 기간에 평균 목표행동 값(GAS)이 A 아동 0.25점, B 아동-0.5점에서 중재 기간에는 A 아동 1.88점, B 아동 1.4점으로 향상했고 유지기 동안 평균은 A, B 아동 모두 3점이었다. 놀이에 대한 기초선 기간에 평균 목표행동 값은 A 아동은 -0.75점, B 아동은 0.75점에서 중재 기간 A 아동은 1.9점, B 아동은 1.1점이었고 유지기 동안 평균은 A 아동 1.33점, B 아동 2점이었다. 결론 : 구강활동을 포함한 고유-전정감각 중심의 감각통합치료는 구강감각의 감각조절문제가 있는 아동에게 침 흘림과 구강장난감을 활용한 놀이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상호적 악기 연주 프로그램이 자폐범주성장애 성인의 사회적 상호작용 기능 향상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Interactive Instrument Playing Program on Social Interaction of Adul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 조수진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3권1호
    • /
    • pp.89-110
    • /
    • 2016
  • 본 연구는 그룹홈에 거주하는 자폐범주성장애 성인들을 대상으로 진행된 상호적 악기연주 프로그램이 사회적 상호작용 기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참여자는 발달장애 주간보호센터에 소속된 공동생활가정(그룹홈)에 거주하는 20대 후반 자폐범주성장애 1급 성인 남성 3명이다. 단일대상연구설계 중 참여자간 중다기초선설계를 적용하여 총 3개월 동안 각 참여자별로 기초선, 중재, 유지 구간을 포함하여 총 25회기 세션이 실시되었다. 중재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전에 조작적으로 정의된 상호작용 시도 행동과 반응 행동을 매회 기 촬영된 동영상 자료를 바탕으로 관찰 및 측정하였다. 각 참여자는 음악적 환경 안에서 사회적 상호작용 시도 및 반응 행동 시점을 알려주는 음악구조와 큐에 의해 구조화된 상호적 악기 연주에 참여하였는데, 중재 이후 모든 참여자의 상호작용 시도 행동, 반응 행동 발생률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상호적 악기 연주가 자폐범주성장애 성인의 자발적 상호작용 행동을 유도하는 데 효과적인 중재 방법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음악적으로 전달된 사회적 정보가 사회적 맥락 안에서 타그룹원의 의도를 이해하고 사회적 상호작용에 참여하도록 촉진하는 효과적인 매체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향후 자폐범주성장애 성인의 사회성 향상뿐만 아니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음악치료 중재가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적용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